목화(면화) 무엇인가?

이 세상에서 대단히 부드러운 솜털 목화

 

 

 

 

 

 

 

 

 

 

 

 

[목화의 떡잎, 꽃, 푸른 열매, 익은 열매, 꽃송이, 종자의 모습, 사진출처: 일본/대만/한국 구글 이미지 검색]

▶ 지해작용, 거담작용, 평천작용, 항균작용, 항바이러스작용, 항암작용, 자궁에 대한 작용, 남성피임작용, 보기, 지해, 평천, 만성기관지염, 임포텐츠, 폐결핵으로 기침과 토혈이 오래도록 멎지 않을 때, 도안, 젖이 적은 경우, 위한으로 아픈증상, 암치질과 장홍하혈, 직장 궤양 출혈, 치질, 치루, 월경과다, 몸이 허약하여 기침이 나고 숨이 가쁜 증상, 빈혈, 자궁탈수, 칼에 찔리거나 베인 상처로 인한 출혈, 동상, 체허부종, 피멎이약, 자궁수축약, 내장출혈, 자궁출혈, 약솜과 붕대 재료, 레몬산 원료, 사과산 원료, 섬유 원료, 어린이 영양장애, 구루병, 골연화증, 신경쇠약, 인결핍증, 포진(헤르페스)성 피부염, 버짐, 포진성 각막염, 바이러스성 감기, 유선암, 식도암, 결막염을 다스리는 목화

목화(木花: cotton plant)는 쌍떡잎식물 아욱목 아욱과 한해살이풀의 총칭이다.

목화의 학명은 <
Gossypium hirsutum L.>이다. 면화(綿花), 초면(草綿)이라고도 한다. 열대지방 원산이 많으나, 섬유작물로서 온대지방에서도 널리 재배하고 있다. 보통 한해살이풀이지만 작은 관목형태도 있다. 온대에서는 90cm 내외, 열대에서는 2m까지 자라기도 한다. 뿌리는 곧게 뻗으며, 줄기가 곧게 자라면서 가지가 갈라진다.

잎은 어긋나고 3∼5개가 손바닥 모양으로 갈라지며, 턱잎은 세모꼴의 바소꼴이다. 꽃은 백색 또는 황색이고, 지름 4cm 내외다. 5개의 꽃잎은 나선상으로 말린다. 꽃받침 밑에 톱니가 있는 3개의 포(苞)가 있고, 안쪽에 작은 꽃받침이 있다. 1개의 암술과 약 130개의 수술이 있다. 열매는 삭과(蒴果)로 달걀 모양이며 끝이 뾰족하다. 삭과가 성숙하면 긴 솜털이 달린 종자가 나오는데, 털은 모아서 솜을 만들고 종자는 기름을 짠다.

※ 참조: 중국에서는 아래에 기록된 목화 4종류를 함께 약용한다.


1, 면화(목화)
[
棉花: Gossypium herbaceum L.]

2, 수면
[樹棉:
Gossypium arboreum L.]

3, 육지면
[
陸地棉: Gossypium hirsutum L.]

4, 해도면
[海島棉:
Gossypium herbadense L.]

목화 솜털의 다른 이름은
면화[
棉花=mián hua=미앤후아: 본초강목(本草綱目)], 초면[草棉: 승엄집(升奄集)], 고종등[古終藤: 남월지(南越誌)], 육지면[陸地棉: 중국본초도록(中國本草圖錄)], 와타[ワタ=棉花: 일문명(日文名)], 목화[木花], 목화솜, , 솜털, 미영, 재래면 등으로 부른다.

목화 겉열매껍질의 다른 이름은
면화각[
棉花殼: 백초경(百草鏡)]이라고 부른다.

목화 뿌리의 다른 이름은
면화근[
棉花根, 밀근:蜜根: 상해상용중초약(上海常用中草藥)], 초면근피[草棉根皮: 중국약식도감(中國藥植圖鑑)] 등으로 부른다.

목화 씨의 다른 이름은
면화자[
棉花子: 백초경(百草鏡)], 목면자[木棉子: 신농본초경소(神農本草經疏)], 면화핵[棉花核: 난대궤범(蘭臺軌範)], 목화씨 등으로 부른다.

목화씨 기름의 다른 이름은
면자유[棉子油: 본초강목(
本草綱目)]라고 한다.

[채취]


<솜털>


<중약대사전>: "가을에 채취한다."

[약재]


<뿌리>


<중약대사전>: "말린 뿌리껍질은 대롱 모양인데 부서져 있거나 둘둘말려 있으며 길이가 약 30cm, 너비가 0.5~1mm이다. 겉면은 연한 갈색이고 세로 줄무늬와 자잘한 껍질눈이 있으며 코르크층은 거칠고 쉽게 떨어진다. 안쪽은 연한 갈색이고 세로로 길게 뻗은 줄무늬가 있다. 절단면은 억세고 질긴 섬유질이며 속껍질은 섬유층으로 되어 있고 바깥쪽과 쉽게 분리 된다. 냄새는 미약하고 맛은 조금 맵다."

[성분]


<솜털>


<중약대사전>: "면화(
Gossypium herbaceum L.)의 털에는 cellulose 91%, 납과 지방 0.4%, 세포 내용물 0.6%가 들어 있다. 수면(Gossypium arboreum L.)의 어린 잎에는 histamine 113㎍/g이 들어 있고 신선한 포에는 histamine 6㎍/g이 들어 있다."

<뿌리>


<중약대사전>: "면화(
Gossypium herbaceum L.)의 뿌리껍질에는 고시폴(gossypol) 1.8%(말린 목화뿌리), 플라보노이드(flavonoid), acetovanilone, 페놀산, salicylic acid, 무색의 페놀류, 황색의 산성물질, betaine, aliphatic alcohol, sterol 등이 들어 있다. 뿌리에는 사포닌(saponin), 플라보노이드(flavonid) 및 페놀성 성분이 들어 있다. 육지면(Gossypium hirsutum L.)과 해도면(Gossypium herbadense L.)의 뿌리에는 고시폴(gossypol), 6-methoxygossypol, 6, 6'-dimethoxy-gossypol, hemigossypol, 6-methoxyhemigossypol이 들어 있다."

[성미]


<종자>


<신농본초경소>: "맛은 맵고 성질은 더우며 독이 있다."

[약리작용]


<뿌리>


<중약대사전>: "
1, 지해(止咳) 작용: mouse에게 면화 뿌리껍질의 물달임제제나 면화 뿌리 껍질에서 분리 추출한 gossypol 또는 asparagine을 경구투여하면 모두 뚜렷한 지해 작용을 한다(암모니아수 분무로 기침을 일으킨 방법). 면화 뿌리에서 먼저 ethyl acetate, 무수(無水) 에틸 알코올 및 물을 차례대로 써서 추출하는데 추출물을 각각 '면화 클로로포름', '면화 에스테르', '면화 알코올', '면화 물'이라고 부른다. mouse에게 면화 뿌리의 달임제제나 '면화 클로로포름', '면화 물'을 복강 주사하여도 지해 작용을 한다. 그러나 '면화 에테르', '면화 에스테르', '면화 알코올' 및 면화 뿌리껍질에서 추출한 crude resin 등은 모두 뚜렷한 지해 작용이 없었다.

2, 거담(祛痰) 작용:
mouse에게 면화 뿌리껍질에서 추출한 crude resin을 내복시키면 뚜렷한 거담 작용(phenol sulphon phthalein법)을 한다. 그러나 달임제제, gossypol, asparagine 등은 거담 작용이 뚜렷하지 않다. mouse에게 면화 뿌리의 달임제제 혹은 '면화 클로로포름', '면화 물'을 복강 주사하여도 뚜렷한 거담 작용이 없다. 그리고 '면화 에테르', '면화 에스테르', '면화 알코올'등은 거담 작용이 비교적 약하다.

3, 평천(平喘) 작용:
guinea-pig에게 추출한 crude resin이나 asparagine을 경구투여하면 일정한 평천 작용을 한다(히스타민 분무법). 달임제제는 효곽 없다. 면화 뿌리의 유동엑스나 '면화 에테르', '면화 클로로포름', '면화 에스테르', '면화 알코올', '면화 물' 등을 복강 주사하여도 모두 뚜렷한 평천 작용이 없다.

4, 항균 및 항바이러스 작용:
in vitro에서 면화 뿌리껍질의 달임제제 및 그의 각종 추출물은 폐렴균, 용혈성 연쇄상 구균, 카타르균, 유행성 감기 간균(杆菌) 등에 대하여 상당한 억제 작용을 한다. gossypol은 미약한 항균 작용(황색 포도상 구균, 용혈성 연쇄상 구균, 결핵균 등에 대하여)과 항병원충 작용(질 Trichomonas, 용조직:溶組織 아메바 등에 대하여)을 하지만 진균에 대해서는 무효이다. gossypol은 항바이러스 작용을 하고 계배(계배)의 요낭강(尿囊腔)에 주입하면 A형 유행성 감기바이러스 PR8의 번식을 억제한다. 그 작용은 aminoadamantan보다 더 강하다. gossypol을 mouse의 콧속에 떨어뜨려 넣으면 A형 유행성 감기바이러스 PR8의 접종에 의한 사망을 예방한다. 8일간 콧속에 떨어뜨려 넣으면 상술한 바이러스 인한 실험성 폐렴을 치료할 수 있다.

5, 항암 작용:
접촉시험에서 gossypol은 요시다(吉田) 육종에 대하여 현저한 억제작용이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Erlich's 복수암에 대해서도 상당한 효과가 있다. 실험성 이식종양에서 mouse의 Erlich's 복수암에 대한 효과가 뚜렷하였고 sarcoma-37, sarcoma-180, rat의 복수형(腹水型) 간종양, Walker carcinosarcoma 및 mouse의 유선암 등에 대하여서도 어느 정도 작용을 한다.

6, 자궁에 대한 작용:
잎 및 줄기의 달임제제나 물 추출물(즉, 달임제제에 알코올을 넣고 침전물을 제거한 것)은 rat의 적출한 자궁에 대하여 흥분 작용을 한다. 달임제제나 물 추출물은 적출한 guinea-pig의 회장(回腸)에 대해서 뚜렷한 흥분 작용을 한다. 초면(草棉) 종자의 물 추출물은 적출한 guinea-pig의 자궁에 대하여 뚜렷한 흥분 작용을 하며 임산부에게 내복시켜도 자궁 수축을 강화하는 작용을 한다.

7, 기타 작용:
면호 뿌리껍질의 달임제제를 rat나 mouse에게 7~14일간 경구투여하면 부신 피질 호르몬, 성 호르몬과 동화(同化) 호르몬양 작용이 없어진다. Warburg, Otto Heinrich 호흡기를 사용하여 조직 호흡을 관찰하여 보면 rat의 간장, 신장, 성선 조직 등의 산소 소모량에 대하여 아무런 영향이 없다. 잎 및 줄기의 물 추출물은 rat의 뒷다리 관류 시험에서 혈관을 확장시키는 작용을 한다. 목화씨 깻묵은 티록신(thyroxine)의 장(腸) 중 흡수와 간(肝)-장(腸)의 순환을 방해하기 때문에 항갑상선 작용을 한다. 동속 식물인 해도면(海島棉), 대륙면(大陸棉)의 뿌리 추출물은 또 혈액 응고를 증가시키는 작용을 한다.

<독성>

mouse에게 잎과 줄기의 달임제제 0.5g생약/마리를 복강 주사하면 두 마리의 mouse가 모두 죽어 버렸다. 물 추출물 1g생약/마리에서도 그와 같은 독성이 나타났다. mouse에게 면화 뿌리 껍질 달임제제를 복강 주사할 때의 LD50은 21.5g/kg이다. mousedprp 1일 5g/kg을 40일간 계속 내복시켜도 심장, 간장, 비장, 폐, 신장, 고환조직 절편에서 뚜렷한 병리 변화가 보이지 않았다.

rabbit에게 매일 달임제제 12.5g/kg/d 및 25g/kg/d을 28일간 경구 투여하면 활동이 둔해지고 식욕이 조금 감퇴되는데 심전도, 간장, 신장 기능검사 및 혈액 상태 등에서 이상이 보이지 않았다. 병리 절편에서는 부분적으로 심근섬유 괴사가 나타났다. mouse에게 gossypol을 내복시켰을 때의 LD50은 315mg/kg이다. 매일 25, 50, 75mg/kg을 내복시키면 체중이 경감되고 식욕이 떨어지며 설사(변혈) 및 정신쇠약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소량을 투여한 무리에서는 40일내에 죽어 버린 것이 4/10이었는데 그 병리 변화는 주로 심근세포이 탁종(濁腫)이었고 드물게 수종 변성도 있었다. 대량을 투여한 무리에서는 폐에 국한성 출혈이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gossypol은 뚜렷한 축적 작용이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rat에게 매일 gossypol 35mg/kg(즉, 목화씨 기름 10~15%가 들어 있는 사료)을 투여하면 한 달 보름 후에 체중이 감쇠되고 계속 투여하면 3~5개월 후에는 죽어 버린다. 병리 검사에서 고환이 뚜렷이 축소되고 정세포(精細胞)가 현저히 감소되거나 완전히 없어졌으며, 자궁이 뚜렷하게 축소되고 내막 및 선체(腺體)가 위축되고 난소 및 일부 간세포가 경미하게 축소되고 신장의 실질 세포가 경미하게 부어오른 것이 발견 되었다.

수컷 rat에게 부롬으로 처리한 목화씨 기름이 2.5% 들어 있는 사료를 80일간 투여하면 생장 정지, 가벼운 빈혈, 심장 확대, 심근지방변성에 따른 근육 세포 용해, 갑상선 증식, 간지방변성, 고환 위축, 세뇨관 상피 공포(空泡) 변성 등이 있었다. 2500mg/kg을 3일간 경구투여하면 심장이 확대되었다가 이완되면서 무력화되고 담황색으로 된다. 현미경으로 보면 크기가 여러 가지인 소공포(지방염색은 양성)가 심근섬유의 전체에 그득하게 있고 거품 모양이다. 전자 현미경으로 관찰해 보면 광범위한 지방침윤이 뚜렷이 보이고 간장도 뚜렷한 지방변성을 나타낸다. 생화학 시험에서 투여량이 같지 않을 때에도 간장 또는 심근의 homogenata 장(漿)은 pyruvic acid염 혹은 palmitic acid염에 대한 대사 능력이 낮아진다는 것이 밝혀졌다. 이것은 아마 심근의 fatty acid 이용이 장애를 받았기 때문에 일어났을 것이다.

개에게 매일 gossypol 1.5, 3, 30mg/kg/d을 경구투여하면 대량 투여한 그룹은 3~4일 후에 식욕이 감퇴되고 구토, 설사, 활동 감속 나타나며 후에 콜 타르(coal tar)와 대변이 나온다. 맨 나중에는 먹이를 먹지 못하고 체중이 감소되고 악성 질병이 나타나며 대부분 복용 24~28일 내에 죽어 버린다. 중 정도의 양을 투여한 그룹의 중독 증상은 비교적 가볍지만 4마리 개가 43~64일 만에 전부 죽어 버렸다. 소량투여한 그룹은 투여 후 60일에 경미한 식욕감퇴가 나타났고 한 마리가 60일 후에 죽어 버렸다. 그러나 나머지 3마리는 80일이 지나도 이상이 보이지 않았다. 대량 투여군의 사망은 전신소모와 악액질에 관계가 있는 것 같다. 보통 조제량의 투여군의 증상은 그다지 현저하지 않지만 심근에 혼탁 종창, 변성이 일어나고 아울러 4마리도 모두 징조 없이 갑자기 죽어 버렸으며 급성 심부전의 증상과 일치하였다.

개, rabbit,고양이에게 면자(棉子)를 주어 일으킨 만성 중독에서도 설사, 식욕감퇴, 수척, 폐수종, 호흡 곤란, 회음부(會陰部) 수종, 신경염 및 마비 등이 있었고 소화불량, 영양 불량은 장폐색 및 출혈성 장염에 의해 발생된다. gossy-pol의 알칼리성 용액 또는 기름 용액을 주사할 때 국부에 대한 자극성이 매우 강하며 정맥 주사 또는 복강 주사를 하면 내장 출혈, 심장 확장, 폐수종 때문에 사망을 초래한다. 심장 및 적출한 창자에 대하여서는 특이한 작용이 없다. rabbit와 돼지에 대해서는 prothrombin에 저항하여 출혈을 일으킨다. 그 항응혈 작용은 쌍향두소(雙香豆素: dicoumarol)와 비슷한데 더 빠르다. 만성 gossypol 중독시에 병리 해부를 해 보면 내장이 충혈되고 흉막과 복막에 삼출이 증가되고 위장염과 다발성 대장 괴사가 보인다.

소 및 양에게 오랫동안 소량의 목화씨 깻묵을 먹이면 동물의 일반적 상황이 열성화되고 빈혈을 일으키며 죽어 버린다.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는 위출혈성 염증, 혈성(血性) 설사, 혈뇨, 황달, 근육 무력증, 호흡 곤란, 마비, 유산, 맹목 등이다. 어미소에게 목화씨 깻묵을 주고 그 우유로 만든 버터는 품질이 나쁘고 점도 세진다. 죽은 후 내장기관에 출혈이 있고 흉강, 복강, 심강(心腔) 등에 액체가 차고 심근 변성과 폐수종이 발견되었다. 또 간비대와 지방변성, 급성 신장염, 장염 등도 발견되었다.

수컷 rat에게 매일 gossypol 35.6 혹은 20.3mg/kg을 42일간 계속 경구투여하면 모두 그 생육 능력이 뚜렷이 억제되고 부고환의 정자 활성이 완전히 소실되었으며 또 정체로의 변성이 있었다. 대량 투여한 구룹은 생정(生精) 상피 단계가 감소되었다.

암컷 rat에게 매일 gossypol 59~71mg을 35~42일간 계속 복용하여 그 총 조제량이 2.4~2.5g에 이르면 일반적으로 치료 과정후 짧은 시일내에 정자가 전부 죽어 버리고 점차적으로 정액 중에서 사라진다. 그러나
성생활에는 거의 영향이 없다. 남아메리카에서는 목화뿌리의 달임제제피임에 사용하고 있다. 목화씨의 독성은 고압 가열, 제2철염에 의한 산화 혹은 침전 등 방법으로 독성을 없앨 수 있다. 목화씨 갯묵중의 gossypol은 단백과 결합하면 독성이 약해진다. gossypol은 강한 알칼리(수산화 나트륨)로 처리하여 얻은 apogossypol은 독성이 비교적 약한데 rat에게 복강 주사할 때의 M.L.D는 60~75mg/kg이다."

[성미]


<솜털>


<본초강목>: "맛은 달고 성질은 따뜻하며 독이 없다."

[약효와 주치]


<솜털>


1, <중약대사전>: "지혈하는 효능이 있다. 토혈, 하혈, 자궁출혈, 칼에 찔리거나 베인 상처로 인한 출혈을 치료한다."

2, <본초강목>: "자궁출혈, 칼에 베인 상처를 치료한다. 태운 재를 쓴다."

3, <약성고>: "태운 재는 지혈한다. 동상에 바른다."

<겉열매껍질>


<백초경>: "격증(膈證)을 치료한다."

<뿌리>


1, <중약대사전>: "보허(補虛), 평천(平喘), 조경(調經)하는 효능이 있다. 신체허약에 의한 해천(咳喘), 헤르니아, 자궁탈을 치료한다."

2, <민간상용초약회편>: "산증 및 자궁출혈과 대하증을 치료한다."

3, <중국약식도감>: "통경제(通經劑: 월경 불순 및 무월경에 쓴다)와 지혈제로 쓴다."

<종자>


1, <중약대사전>: "온신(溫腎), 보허(補虛), 지혈하는 효능이 있다. 양위(陽
), 고환편추(睾丸偏墜), 야뇨증, 치혈(痔血), 탈항, 자궁출혈, 대하증을 치료한다."

2, <본경봉원>: "약성이 남게 태워 쓰면 매창독(梅瘡毒)을 풀고 치루, 탈항, 하혈을 치료한다. 한 번에 면화자(棉花子) 18.5g을 흑두림주(黑豆淋酒)로 복용한다."

3, <약성고>: "보허(補虛)하고 허리를 따뜻하게 하며 손상된 것을 치료한다."

4, <현대실용중약>: "산모의 젖 분비를 촉진시키는 효능이 있다."

5, <민간상용초약회편>: "온신(溫腎), 지통(止痛)한다. 백대하를 치료하고 또 어린 아이의 야뇨증을 치료한다."

[용법과 용량]


<솜털>


<중약대사전>: "내복: 약성이 남게 태운 다음 가루를 만들어 먹는다.

외용: 태운 재를 뿌린다."

<뿌리>


<중약대사전>: "내복: 뿌리는 37.5~75g씩 물로 달여서 먹고 뿌리 껍질은 11~37.5g씩 물로 달여서 먹는다."

<종자>


<중약대사전>: "내복: 7.5~15g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혹은 환을 짓거나 가루내어 쓴다.

외용: 달인 물로 훈세(燻洗)한다."

[배합과 금기
(주의사항)]

<뿌리>


<중약대사전>: "임신부는 복용하지 못한다."

목화의 효능에 대해서 중국에서 펴낸 <중국본초도록> 제 2권 112면 697호에서는 다음과 같이 적고 있다.

[면화(棉花)

기원: 금규과(錦葵科=아욱과;Malvaceae) 식물(植物)인 육지면(陸地棉: Gossypium hirsutum L.)의 뿌리이다.

형태:
일년생 초본으로 높이는 1.5m에 이른다. 잎은 넓은 난형(卵形)으로 장상(掌狀)으로 갈라지며, 엽저(葉底)는 심장형(心臟形)이다. 꽃은 단생(單生)하고, 꽃자루는 부드러운 털로 덮여 있으며, 부악(
副萼)은 3장이고, 꽃받침은 술잔모양의 삼각형(三角形)이고, 수술대는 대부분 붙어 있으나 상부(上部)는 분리(分離)되어 있다. 삭과(蒴果)는 구난형(球卵形)이다.



[목화꽃과 목화털로 만든 이불솜, 흰솜털이 밖으로 나온 익은 목화의 모습, 사진 출처: 중국본초도록/대만 구글 이미지 검색]

분포:
보통 중국의 각지(各地)에서 재배한다.

채취 및 제법:
가을철에 면화(棉花)를 재취한 후 뿌리를 캐어 씻어서 햇볕에 말린다.

성분:
고시폴(gossypol), asparagin, 방향성 정유(芳香性 精油).

기미:
맛은 달고 매우며 성질은 따뜻하다.

효능:
보기(補氣), 지해(止咳), 평천(平喘).

주치:
만성기관지염(慢性氣管支炎), 자궁탈수(子宮脫垂), 체허부종(體虛浮腫).

용량:
18∼30g.

참고문헌:
중약지(中藥誌), 제 2권, 540면.
]

목화의 효능에 대해서 북한에서 펴낸
<약초의 성분과 이용> 469~471면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목화(Gossypium nanking Meyer)

다른 이름:
면화

식물:
높이 30~60cm 되는 한해살이풀이다. 3~5개월로 갈라진 잎이 어긋나게 붙는다. 꽃색은 품종에 따라 여러 가지인데 흔히 섬유 원료로 심는 것은 노란색이고 저녁에 붉은색을 띤다. 열매는 3~5개로 터지는 둥근 삭과이다.

각지에서 섬유 원료로 심는다.

뿌리껍질(면근피):
가을에 열매를 딴 다음 뿌리를 캐어 물에 씻고 껍질을 벗겨 햇볕에 말린다.

약솜(탈지면):
솜을 1~3기압에서 5% 수산화나트륨용액과 약 15시간 끓이고 물로 씻은 다음 5% 표백분용액에 10~18시간 담가 표백한다. 물로 씻고 묽은 염산에 약 4시간 담갔다가 다시 물로 씻고 말린 것이다.

성분:
뿌리껍질에는 비타민 K, 고시폴(마른뿌리에 1.8%) C30 H30 O8(녹는점 184℃), 흔적의 정유, 탄닌질, 트리메틸아민, 비타민 C, 수지 10~11%(누런색이고 물에 안 풀리며 공기 속에서 붉은색으로 변하여 풀리지 않게 된다), 아세토바닐린, 살리실산, 2, 3-디히드로안식향산, 페놀성 물질 C9 H10 O3과 C13 H18 O5, 베타인, 피토스테롤, 트리아콘탄, 지방산 등이 있다.

씨에는 고시폴(0.8~2%), 고시핀 C21 H20 O13(녹는점 200~202℃, 물분해하면 포도당과 고시페틴 C15 H10 O8, 녹는점 310~314℃), 고시포오스(라피노오스) C18 H32 O16, 색소물질인 고시폴푸린 C30 H32 O7 N이 있다. 또한 기름이 39~41%(d15/15 0.913~0.927, ηD 1.4570~1.4638, 비누화값 190~198, 요오드값 101~120이고 리놀레인 41~45%, 올레인 30~35%, 팔미틴 20~22%, 스테아린 2%, 단백질 2%, 고시폴 0.6%로 이루어졌다) 들어 있다.
고시폴은 기름의 색성분이며 내장장기의 염증을 일으키는 독물질이므로 기름을 데우거나 알칼리처리하여 독을 없앤다. 고시폴은 기름의 산화를 막는다. 기름의 비누화되지 않는 부분에는 β-시토스테롤이 있다.

씨껍질은 만난, 펜토산, 메틸펜토산, 갈락탄, 리그닌으로 되어 있다.

꽃에는 고시페틴, 쿠에르시메리트린, 이소쿠에르시트린 C21 H20 O12, 헤르바세틴(3, 3'7, 8, 4'-펜타오깃플라본)과 그 배당체 헤르바시트린, 고시피트린 C21 H20 O13이 있다.

솜(섬유)에는 섬유소 약 95%와 적은 양의 단백질, 수지물질, 고형기름 유리스테아린, 팔미트산이 있다.
잎에는 레몬산 5~7%, 사과산 3~4%, 알코올 C30 H60 0(녹는점 85℃), β-시토스테롤이 있다.

작용:
뿌리껍질 유동엑스는 피의 응고성을 높이며 새끼집의 율동성 수축을 뚜렷이 세게 한다. 장관윤동에 대해서는 일시적으로 억제한다. 심장, 핏줄 계통에 대한 부정적 영향은 없다.

이전에 자궁수축성 물질이라고 하는 에크볼린을 줄기와 뿌리에서 분리하였다고 하는데 이것은 질산 칼륨이다.

고시폴은
남성 피임약으로 개발되고 있다. 목화씨기름(면실유)을 많이 먹는 사람들에게서 불임증이있다는 점에 착안하여 연구된 것이다. 흰쥐의 수컷에게 15~40mg/kg(하루)의 고시폴을 2~4주일 동안 먹이면 생식능력이 없어진다. 이 작용은 고시폴에 의하여 정자세포와 정모세포가 파괴되어 떨어지며 정자수가 적어지거나 또는 머리와 꼬리가 없거나 죽은 정자들이 생기게 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황체생성호르몬(LH)의 수준은 대추와 큰 차이가 없다.

고시폴은 위에서 그리 빨리 흡수되지 않으며 몸 안에서는 간에 가장 많이 분포된다. 그리고 비장, 폐, 콩팥, 심장, 피, 피질층에도 적게 분포되며 쓸개즙에는 높은 농도로 들어 있다. 그러나 뇌조직에는 분포되지 않는다. 즉 고시폴은 쓸개즙으로 배설되어 간-문맥순환을 이룬다. 그러므로 몸 안에 머무는 시간이 길다. 고시폴의 고환에서의 농도는 다른 장기보다 낮지만 적은 양으로도 고환조직이 손상된다. 배설은 대변으로 83%, 오줌으로 2.5%, 폐로 11.7%이여 약을 써서 48시간이 지나면 많은 양이 배설된다.

흰쥐에서 최소피임량은 7.5mg/kg(하루)이며 1년 동안 계속 써도 특별한 부작용이 없었다. 흰쥐에 20mg/kg(하루)씩 9개월 동안, 30mg/kg(하루)씩 2개월 동안 써도 중요 장기의 형태 변화는 없었다.

남자가 하루 20mg씩 2개월 동안 먹으면 정액 속의 정자수는 피임수준에 이른다. 이때의 피임유효율은 99.89%이다. 그 후 유지량은 매달 150~220mg이며 두 번에 나누어 1주일에 먹는다. 약을 쓰지 않으면 정액 속의 정자수와 형태가 정상으로 회복된다. 그리하여 3개월이면 약 쓰기 전 수준에 이른다.

부작용으로 칼륨저혈증이 제기되고 있다. 이 문제를 풀기 위하여 다른 피임약과 엇바꾸어 쓰거나, 남성피임과 여성피임을 엇바꾸어 조절하는 등의 방도가 제기되고 있으나 아직 연구 중에 있다.

응용:
뿌리껍질은 자궁출혈 때의 피멎이약, 수축약으로 쓴다. 이밖에 일반적인 내장출혈에 쓰이는 경우도 있다.

씨는 기름과 피틴, 고시폴 등의 원료로 쓴다. 기름을 짠 찌꺼기는 고시폴을 없애고 먹는 단백으로 이용된다.
솜(씨의 털)은 섬유 원료로 중요할 뿐만 아니라 약솜과 붕대 재료로 쓴다. 씨는 기름을 짜서 쓴다. 기름을 짠 찌꺼기는 항생소 발효의 질소원으로 쓰거나 피틴 원료로서도 중요하다. 떨어진 잎은 작용 레몬산, 사과산을 만드는 원료로 쓰인다. 줄기껍질도 섬유 원료로 쓰인다.

목화뿌리껍질 달임약(6~15:200):
자궁수축약, 피멎이약으로 하루 3번 나누어 먹는다.

목화뿌리껍질 유동엑스:
뿌리껍질 1kg을 잘게 썰어서 40% 알코올로 우리고 전체 양을 1리터 되게 한다(목화뿌리껍질 1kg에 100% 알코올로 0.179kg). 붉은밤색의 흐린 액체이고 비중 0.955~0.990, 알코올 함량 26~33%, 증발 찌꺼기는 2.3% 이상이다. 한번에 2ml씩 먹는다. 역시 자궁수축약, 피멎이약으로 쓴다.

피틴:
기름을 짠 씨 찌꺼기에 0.5~0.6%의 질산(또는 염산)을 3배량 넣고 하룻밤 놓아둔다. 거른액에 20% 암모니아수를 넣어 pH 7.5로 한다. 이때 생긴 암금을 걸러내어 85℃ 아래에서 말린다. 거둠률은 4~4.5%이다.

어린이 영양장애, 구루병, 골연화증, 신경쇠약, 인결핍증에 쓴다. 한번에 0.25~0.5g씩 하루 3번 먹는다. 치료 주기는 6~8주일이다. 한 알에 피틴 0.1g씩 들어가게 알약을 만들기도 한다.

산화섬유소:
솜을 22~25℃에서 아질산가스를 14~16일 동안 작용시켜 산화시킨다. 피멎이약으로 쓴다.

고시폴(gossypol):
노란 가루로 물에 풀리지 않고 기름과 유기용매에 잘 풀린다. 공기 속에 오래 두면 쉽게 산화되는데 용액상태에서 더 빨리 산화된다. 고시폴이 변화되기 쉬운 것은 화학구조에서 8과 8' 위치에 알데히드기가 있기 때문이다.

여러 가지 바이러스 특히 피부친화성 바이러스에 대한 활성이 있다. 그리하여 3% 리니멘트를 포진(헤르페스)성 피부염, 버짐에 하루 4~6번 바른다. 치료 기간은 5~7일이다. 포진성 각막염, 결막염에는 0.1% 용액의 방울눈약을 만들어 하루 5~6번씩 11~15일 동안 쓴다.

또한 아에로졸 형태로 바이러스성 감기에도 쓴다. 유선암에 고약을 만들어 바르면 효과가 있다고 한다.
]

목화의 효능에 대해서 배기환의
<한국의 약용식물> 332면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목화(Gossypium indicum Lam.) [아욱과]

한해살이풀. 높이 60cm 가량. 꽃은 연한 황색 바탕에 꽃 밑은 검붉은색이며 8~9월에 핀다. 열매는 삭과로 포에 싸이고, 익으면 3개로 갈라진다.

분포/
동아시아 원산으로, 전국에 섬유 자원으로 재배한다.

약효/
뿌리를 면화근(棉花根)이라고 하며, 보허(補虛), 평천(平喘), 조경(調經)의 효능이 있고, 체허해천(體虛咳喘), 산기(疝氣), 붕대(崩帶), 자궁탈수를 치료한다. 종자를 면화자(棉花子)라고 하며, 온보(溫補), 보허(補虛), 지혈의 효능이 있고, 양위(陽萎), 유뇨를 치료한다.

성분/
종자에는 gossypol, 6-methoxygossypol, 6, 6'-dimethoxygossypol, hemigossypol이 함유되어 있다.

약리 작용/
쥐에게 뿌리의 물 추출액을 투여하면 지해, 거담 작용이 있고, 또 폐렴구균, 황색포도상구균, 적리균에 대한 항균력이 있다. gossypol은 Ehrlich 복수암에 대하여 항암 작용이 있다.

사용법/
뿌리 40g에 물 800mL, 종자 10g에 물 700mL를 넣고 달인 액을 반으로 나누어 아침 저녁으로 복용한다.]

목화와 관련해서
<통찰 제 1권 703면>에서는 이렇게 알려주고 있다.

[
무명, 목화(cotton)

일부 식물에서 나는 흰 종자 섬유로서 직물을 만드는 데 사용된다. 히브리어 카르파스는 고운 무명이나 고운 아마포를 가리킬 수 있는데, 산스크리트어 카르파사와 그리스어 카르파소스와 유사하다. 많은 현대 번역판들은 에스더 1:6의 경우 “무명”으로 번역하는 편이다. 이 구절에서는 무명이, 아하수에로 왕이 수산에서 베푼 칠 일간의 연회에서 궁정 뜰을 장식하는 데 사용된 재료들 중 하나로 언급되어 있다. 페르시아와 인도에서 목화를 재배한 때는 멀리 고대로 소급한다. 이집트와 팔레스타인에서는 아마포가 더 널리 사용되었던 것으로 보이지만, 그 지역에서 기원전 첫 번째 천년기부터 무명이 사용되었다는 증거도 존재한다.

성서 기록에 나오는 목화 식물은 고시피움 헤르바케움(Gossypium herbaceum)으로 분류되는 종류였던 것으로 여겨진다. 이 관목은 다 자라면 키가 1.5미터쯤 되고 노란 꽃 혹은 때로는 분홍 꽃이 피며, 꽃이 시들면 목화 꼬투리 즉 삭과(蒴果)가 맺힌다. 성숙하면 꼬투리가 터져 입을 벌리고 솜털 같은 목화가 드러나게 된다. 목화를 모아들이고 나면 목화를 조면기(繰綿機)에 넣어 씨를 뽑아내야 하였다. 이제 목화 섬유는 최종적인 가공과 베 짜기를 할 준비가 된 것이다. 일부 학자들에 의하면, 이사야 19:9에 언급된 이집트 직조공들의 “흰 천”은 아마도 무명이었을 것이라고 한다.—천 참조.
]

목화로 질병을 치료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

<솜털>


1, 토혈, 하혈

면화(棉花: 태운 재), 지각(枳殼), 사향(麝香)을 미음으로 복용한다. [본초구원(本草求原)]

2, 자궁출혈

면화(棉花), 혈여탄(血餘炭), 백초상(百草霜), 종회(棕灰), 연화심(蓮花心), 당귀(當歸), 모화(茅花), 홍화(紅花)를 진흙에 싸서 약성이 남게 태운 후 사향(麝香)을 넣어 술로 복용한다. [본초구원(本草求原)]

<겉열매껍질>

3, 격식(膈食), 격기(膈氣)

8~9월에 채취한 면화각(棉花殼)을 양의 다소를 막론하고 끓여서 차처럼 마신다. 거위 고기를 먹으면 안 된다. [백초경(百草鏡)]

<뿌리>


4, 어린 아이의 영양 불량의 치료

면화근(棉花根: 목화뿌리) 18.5~37.5g, 홍조(紅棗: 붉은대추) 10개를 물로 달여서 복용할 때 설탕 적당량을 넣어 먹인다. [상해상용중초약(上海常用中草藥)]

5, 몸이 허약하여 기침이 나고 숨이 가쁜 증세

면화근(棉花根: 목화뿌리), 규화두(葵花頭),한채(蔊菜) 각 37.5g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상해상용중초약(上海常用中草藥)] 

6, 빈혈

면화근(棉花根: 목화뿌리), 단삼(丹參) 각 같은 양을 함께 갈아서 가루낸 다음 물에 반죽하여 환제(丸劑)를 만든다. 하루에 세 번, 한번에 7.5g씩 복용한다. [소의(蘇醫), 중초약수책(中草藥手冊)]

7, 자궁탈수

면화근(棉花根: 목화뿌리) 222g, 신선한 지각(枳殼) 14.8g을 물로 달여서 하루에 2번 나누어 먹는다. 계속 며칠간 복용한다. [소의(蘇醫), 중초약수책(中草藥手冊)] 

8, 만성 기관지염
(임상보고)
수천 례의 임상 관찰에 의하면 유효율이 약 70~80%였고 효과가 현저한 것이 30% 내외였다. 면화(棉花) 뿌리껍질 제제를 달이는 시간을 연장하면 치료 효과가 높아진다. 181례의 관찰에 의하면 유효율이 86~89%였고 효과가 현저한 것이 50% 안팎이었다. 면화근(棉花根: 목화뿌리)을 주로 하여 만든 복방을 채용한 1,300여례의 관찰에서는 유효율이 89~94%였고 효과가 현저한 것이 53~57%였다. 또 지해, 거담 등의 효과는 좋고 천식을 일차적인 관찰에서 알아냈다. 일반적으로 복용 2~3일 후에 효과가 나타난다. 많은 환자는 복용과정 중 식욕이 증진되고 잠이 잘 오고 체력이 증가되었다. 일부 환자는 복용초기에 현운(眩暈)이 나는 것도 있었지만 저절로 없어졌다.

용법:
면화근(棉花根: 목화뿌리) 75~150g을 2시간 이상 달여서 매일 2~3번 나누어 복용한다. 10일을 1개 치료 기간으로 한다. 정제, 주사제로 하여도 좋다. 면화(棉花) 뿌리껍질의 사용량은 면화근(棉花根: 목화뿌리)보다 적은데 11~37.5g으로 일정하지 않다. [중약대사전]

9, 만성 간염
(임상보고)
면화근(棉花根: 목화뿌리)을 주약으로 하여 1일 18.~37.5g씩 쓴다. 증상에 따라 기타 약물도 적당히 배합한다. 전제(煎劑)는 2번 나누어 복용하고 15일을 1개 치료 기간으로 한다. 23례의 관찰 결과 혈청 알부민(albumin)이 증가되었으며 글로불린(globulin)의 감소가 0.2g%를 넘는 것이 9례, 무효가 5례였다. 알부민 증가에 필요한 시간은 약 15~30일이다. 대다수 환자는 간 기능이 개선됨에 따라 현운(眩暈)도 경미해지고 정신상태, 식욕도 호전되었다. 그외에 유미뇨(乳
尿: 우유와 같이 뿌옇게 혼탁된 오줌) 2례의 치료에 면화(棉花) 뿌리껍질 1량을 물로 달여서 매일 3번 나누어 복용한 결과 단기간에 억제 효과를 보았다는 보고도 있다. 식도암 1례의 치료에 면화근(棉花根)과 반지련(半枝蓮)을 함께 달여서 복용한 결과 상당한 치료 효과를 보았다고 한다. [중약대사전]

<종자>


10, 임포텐츠(impotenz)

면화자(棉花子: 물에 담갔다가 꺼내어 햇볕에 말린 후 소주를 붓고 휘저으면서 볶은 다음 껍데기를 벗겨내고 속알맹이만 쓴다) 250g, 파고지(破故紙: 소금물로 볶은 것), 구채자(
韭菜子: 볶은 것) 각 75g을 가루내어 마늘즙에 반죽하여 벽오동 열매만한 크기의 환을 만든다. 한 번에 7.5g을 빈속에 술로 복용한다. [축목시효방(祝穆試效方)]

11, 음낭의 한쪽이 부어 처지는 병증

면화자(棉花子)의 끓인 물을 항아리에 부어 넣고 그 항아리에 음낭을 밀어 넣는데 끓인 물이 식을 때까지 넣고 그 항아리에 음낭을 밀어 넣는데 끓인 물이 식을 때까지 넣고 있는다. 한 두 번하여 그 냉기가 흩어지면 자연히 치유된다. [회생집(回生集)]

12, 폐병(폐결핵)으로 기침과 토혈이 오래도록 멎지 않은 경우

면화자(棉花子)를 양의 다소를 막론하고 사내아이 소변에 하룻밤 담가서 가루낸다. 한 번에 3.75g을 측백엽탕(側柏葉湯)으로 복용한다. [집효방(集效方)]

13, 도한(盜汗)이 멎지 않은 경우

면자인(棉子仁) 11~15g을 매일 달여서 한 사발씩 빈속에 복용하는데 3~4일간 계속 복용한다. [본초강목습유(本草綱目拾遺)]

14, 젖이 적은 경우

면화자(棉花子) 11g을 짓찧은 다음 황주(黃酒) 2숟가락과 적당량의 물을 넣고 달여서 복용한다. [상해상용중초약(上海常用中草藥)]

15, 위한(胃寒)으로 아픈 증세

새 면화자(棉花子)를 황혹색이 되게 볶고 갈아서 가루내어 하루에 한두 번, 한 번에 7.5g씩을 담강탕(淡薑湯)이나 미지근한 물에 개어서 복용한다. [상해상용중초약(上海常用中草藥)]

16, 암치질과 장홍하혈(腸紅下血)

회면화핵(
棉花核) 한 되, 괴미(槐米) 25.9g, 천목아차(天目芽茶) 148g을 우린 즙으로 앞의 두 가지 약을 바삭바삭하게 볶아서 그 우려낸 즙에 담갔다가 꺼내어 다시 볶는다. 우려낸 즙에 담갔다가 볶는 것을 여러 번 반복하여 우려낸 즙이 마르면 갈아서 가루낸다. 한 번에 11g을 빈속에 술로 복용한다. [덕승당경험방(德勝堂經驗方)]

17, 직장 궤양 출혈

생시자(生
柿子) 2개를 대칼로 꼭지와 핵(核)을 베어내고 면화자(棉花子)를 시자(柿子)속에 넣고 덮개를 덮은 다음 기와 위에서 약성이 남게 태워 갈아서 가루낸다. 이 가루를 뜨거운 미음에 개어 복용하는데 심한 사람은 세 번 복용한다. [왕점계(王玷桂), 불약양방(不藥良方)]

18, 치질

면화자(棉花子), 괴수(槐樹)의 가지와 잎을 함께 달여서 훈세(훈세)한다. [양소원전신방(養素園傳信方)]

19, 치루

면화자인(棉花子仁) 222g, 오매(烏梅) 222g을 함께 짓찧어 벽오동 열매만한 크기의 환을 만든다. 아침, 저녁으로 한번에 11g을 끓인 물로 복용한다. [주익생가보방(周益生家寶方)]

20, 자궁출혈

① 노랗게 볶은 면화자인(棉花子仁), 감초(甘草), 황금(黃芩) 각 같은 양을 가루내어 1회 7.5g을 빈 속에 황주(黃酒)로 복용한다. [만병회춘(萬病回春)]

② 진종(陳棕)과 면화자(棉花子)를 약성이 남게 태워 황주(黃酒)로 복용한다. [발췌양방(拔萃良方)]

21, 월경 과다

면화자(棉花子)를 질그릇에 연기가 나지 않을 때까지 볶고 가루내어 한 번에 7.5g을 빈속에 황주(黃酒)로 복용한다. [자항활인서(慈航活人書)]

[비고(備考)]


<솜털>


<본초강목습유(本草綱目拾遺)>: "<대취편(代醉編)>에 의하면 면화(棉花)는 송(宋)나라 말기에 처음으로 강남(江南)에 들어 왔다. 청(靑), 황(黃), 백(白) 세 가지가 있었는데 지금은 그 중에서 흰 것만이 전해져 오고 있다. 강소(江蘇), 절강(浙江) 등 지방에서는 초면(草棉)을 많이 재배하며 목면(木棉)이 드물다. 초면 중에는 황색인 것도 있어서 전부 백색이 아니다. 약용에는 백색인 것이 가장 좋다."

[각가(各家)의 논술(論述)]


<겉열매껍질>

<본초정의(本草正義)>:
"면화각은 격병(膈病)을 치료한다. 성질이 따뜻하여 잘 통행시키는 효능이 있고 담어(痰瘀)를 배출시킨다."

<종자>

1, <신농본초경소(神農本草經疏)>:
"목면자(木棉子)는 풍습(風濕)과 한습(寒濕)을 제거하는 약물이다. 오직 그 성질이 맵기 때문에 풍사(風邪)를 흩어지게 하고 뜨겁기 때문에 한습(寒濕)을 제거하는 효능이 있으며 무릇 신체 하부에 풍한습사(風寒濕邪)가 있으면 적합하다."

2, <본초정의(本草正義)>:
"옛 처방에는 면화자인(棉花子仁)을 지혈화혈제(止血和血劑)로 하여 변혈, 임혈(淋血), 자궁출혈, 대하증, 치루 등 증상을 치료한 것은 화혈(和血)의 뜻이고 한냥적어(寒凉積瘀)할 우려가 없다. 또 보신기위(補腎起
), 양노부약(養老扶弱) 등에 쓰는 것은 온양법(溫養法)으로 강폭조열(剛暴燥烈)할 우려가 없다.  온화자윤(溫和滋潤)하는 작용이 아주 순수하여 음액(陰液)을 자양하고 양기를 도우며 모발을 윤택하게 하고 피부를 매끄럽게 한다. 질은 원래 지방이 많아 결국 계지(桂枝)와 부자(附子) 등 신조(辛燥) 성질을 가진 것과 같지 않다. 오직 이 종자에 흥양(興陽)하는 작용이 있기 때문에 신기허한(腎氣虛寒), 족냉음위(족냉음위)한 자에게 적합하고 조금이라도 허약하여 굳지 않고 상화(相火)가 진정되지 않은 자에게 쓰면 기(氣)를 문란하게 할 우려가 있다. 또 순수한 유성(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활설(滑泄)할 수 있다. 조학민(趙學敏)은 <본초강목습유(本草綱目拾遺)>에서 <회생집(回生集)>을 인용하여 이르기를 면자(棉子)를 끓여서 항아리에 부어 넣고 앉아서 쏘이면 음낭의 한쪽이 부어 처지는 병증을 치료한다고 하였다. 고환의 한쪽이 부어 처지고 저리며 아프지 않는 자는 대부분 한기(寒氣)에 속하기 때문에 온산(溫散)으로 치료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필자도 옛날 시골에 살 때 목화밭에서 덜익은 목화열매를 따서 먹은 기억이 나는데 단맛이 나면서 먹기가 좋았다. 목화 열매가 벌어지면서 속에서 흰색의 뭉쳐 있는 목화솜은 마치 흰눈이 내린 것처럼 눈을 즐겁게 하기도 한다. 추운겨울에는 목화솜을 타서 만든 이불을 덥고 잠을 자면 일반 화학솜보다 좀더 무거운 감은 있지만 엄동설한 추위를 막아주고 자연에서 저절로 자란 솜으로 만들었기 때문에 건강에도 대단히 유익하다.

상기 자료는 약초연구가로서 지구상에 존재하는 천연물질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고 질병으로 고통을 겪고 있는 환우들에게 희망을 주며 기능성 식품과 신약을 개발하는데 통찰력을 갖게하고 약초를 사랑하는 모든 사람에게 정보의 목적으로 공개하는 것임을 밝혀 둔다.  
 

(글/ 초연구가 & 동아대 & 신라대 대체의학 외래교수 전동명)

목화 사진 감상: 1, 2, 3, 4, 5, 네이버+구글+다음+일본구글+대만구글: 1, 2, 3, 4, 5,

문의 및 연락처: 010-2545-0777 ; 051-464-0307

주소: http://jdm0777.com

페이스북 주소: http://www.facebook.com/jdmsanyacho

메일: jdm0777@naver.com

아래의 열대 및 아열대 식물도 함께 참조해 보시기 바랍니다.

 

 

  1. 고추 무엇인가?
  2. 꽃기린(철해당) 무엇인가?
  3. 노니 무엇인가?
  4. 두리안 무엇인가?
  5. 등삼칠(운남백약) 무엇인가?
  6. 레몬 무엇인가?
  7. 로젤(히비시커스) 무엇인가?
  8. 망고 무엇인가?
  9. 멜론 무엇인가?
  10. 목화 무엇인가?
  11. 무화과잎호박 무엇인가?
  12. 바나나 무엇인가?
  13. 아보카도 무엇인가?
  14. 야자나무 무엇인가?
  15. 차요테(불수과) 무엇인가?
  16. 키위 무엇인가?
  17. 파인애플 무엇인가?
  18. 파파야 무엇인가?
  19. 피망(파프리카) 무엇인가?

 

 

※ 아래에 jdm 필자가 찍은 목화 사진도 감상해 보시고 행복하시기 바랍니다~~~^.^

 

 

홈페이지 주소 : http://jdm0777.com 클릭하시면 홈으로 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