큰메꽃 무엇인가?

잎이 넓으면서 긴 큰메꽃

 

 

 

 

 

 

 

 

 

 

 

 

[큰메꽃의 잎, 잎, 꽃봉오리, 꽃, 꽃을 감싼 포엽, 꽃받침의 모습, 사진출처: 일본/대만/한국 구글 이미지 검색]

▶ 이뇨작용, 청열, 고혈압, 자음, 강장, 단독, 칼에 베인 상처, 소아 열독, 손상 보양, 익기, 근육과 뼈를 접합, 요폐, 대소변불통, 혈압 강하, 소변을 잘 못보는 증상, 복통, 위통, 소화불량, 건위, 혈당 강하, 당뇨병, 골절의 유합을 촉진시키는 큰메꽃

큰메꽃은 쌍떡잎식물 통화식물목 메꽃과의 여러해살이풀이다.

큰메꽃의 학명은 <Calystegia sepium (L.) R. Br.>이다. 잎은 호생하며 엽병이 길고 삼각상 난형 또는 삼각형이며 밑부분이 옆으로 퍼져서 다시 각 2개로 갈라져 심장저로 되고 위끝이 뾰족하며 길이 4~8cm, 폭 3~7cm로서 양면에 털이 없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꽃은 6~8월에 피며 연한 홍색이고 깔때기 모양으로 각 엽액에 1개씩 달리며 화경은 길고 윗부분에 주름진 날개가 생기지 않으며 길이는 5~6cm로 애기메꽃보다 크다. 포는 2개로서 녹색이며 난형이고 약간 심장저이며 길이 2~2.5cm이고 꽃받침이 5개로 갈라지며 화관은 길이 5cm 정도로서 연한 홍색이다. 수술은 5개, 암술은 1개이며 주두가 2개로 갈라지고 자방은 2실이다.

열매는 삭과이며 난구형으로 황갈색이며 종자는 흑갈색으로 9~10월에 익는다. 줄기는 덩굴성으로 전체에 털이 없다. 지하경 군데군데에서 순이 나와 번식한다. 지하경은 다소 굵고 길며 백색이고 사방으로 퍼진다. 우리나라가 원산지로서 동북아시아, 중앙아시아, 유럽, 북미에 분포한다.

큰메꽃의 여러 가지 이름은
이천검[籬天劍=tiān jiàn=티엔찌엔, 이타완화:籬打碗花: 회편(滙編), 중국본초도록(中國本草圖錄)], 선화[旋花=xuán huā=쉬앤후아, 근근화:筋根花: 신농본초경(神農本草經)], 고자화[鼓子花: 본초도경(本草圖經)], [葍: 시경(詩經)], [img1.jpg, 경모:藑茅: 이아(爾雅)], [img1.jpg: 설문(說文)], 오거[烏: 광아(廣雅)], 연부[燕img1.jpg: 육기(陸璣), 시소(詩疏)], 미초[美草: 명의별록(名醫別錄)], 선부[旋img1.jpg: 당본초(唐本草)], 부선[img1.jpg旋: 사성본초(四聲本草)], 순장초[腸草: 본초도경(本草圖經)], 천검초[天劍草: 본초강목(本草綱目)], 반등[飯藤: 식물명실도고장편(植物名實圖考長編)], 이천검[籬天劍: 중약대사전(中藥大辭典)], 히로하히루가오[ヒロハヒルガオ=広葉昼顔: 일문명(日文名)], 넓은잎메꽃, 음양곽메꽃, 큰메꽃 등으로 부른다.   

큰메꽃의 뿌리를 선화근[旋花根, 근근:筋根: 신농본초경(神農本草經)], 속근근[續筋根: 본초도경(本草圖經)], 선복초근[葍草根: 구급방(救急方)], 줄기와 잎을 선화묘[旋花苗: 본초습유(本草拾遺)]라고 하여 모두 약용한다.

고대에 본초(本草)서에 기록된 메꽃에는 상술한 종류 이외에 동속 식물로 타완화(打碗花: C. hederacea Wall)도 포함시키고 있다. 상세한 내용은 '면근등(面根藤)' 조목을 참조할 수 있다.


[채취]


꽃:
5~7월에 채취하여 그늘에서 말린다.

뿌리:
3월이나 9월에 채취하여 햇볕에 말린다.

[성분]


구구앙(
狗狗秧): 줄기와 잎에는 kaempferol-3-rhamnoglucoside, saponin 등을 함유하고 있다. 사하(瀉下), 이뇨 작용이 있다. 큰메꽃도 메꽃인 구구앙과 성분이 같다.

[약리작용]


줄기와 잎:
전초의 탕제는 먹이와 아드레날린으로 발병시킨 토끼의 고혈당증에 대해 혈당을 하강시키는 작용을 한다.

[성미]


꽃:
맛은 달고 약간 쓰며 성질은 미끄럽다.
1, <신농본초경>: "맛은 달며 성질은 따뜻하다."
2, <명의별록>: "독이 없다."
3, <본초강목>: "맛은 달고 약간 쓰며 성질은 미끄럽다."

뿌리:
맛은 달고 약간 쓰며 성질은 따뜻하다.
1, <신농본초경>: "맛은 맵다."
2, <당본초>: "맛은 달다."
3, <구황본초>: "맛은 달고 성질은 따뜻하다."
4, <본초강목>: "맛은 달고 약간 쓰며 성질은 미끄럽다."

줄기와 잎:
1, <본초강목>: "맛은 달고 약간 쓰며 성질은 미끄럽다."
2, <호남약물지>: "잎은 약간 맵다."

[약효와 주치]


뿌리:
정기(精氣)를 붇돋우고 근골을 잇는 효능이 있다. 단독, 상처를 치료한다.
1, <신농본초경>: "복중(腹中)의 한열사기(寒熱邪氣)를 다스리고 소변을 잘 배출시킨다."
2, <명의별록>: "근을 결합시킨다."
3, <본초강목습유>: "뿌리와 싹을 찧어서 그 즙을 복용하면 단독, 소아 열독을 치료한다. 뿌리는 근골을 접합시키고 칼 따위에 배인 상처를 아물 게 한다."
4, <본초강목>: "노손(勞損)을 보양하고 정기(精氣)를 북돋운다."

꽃:
<신농본초경>: "주로 원기를 북돋우고 면간흑색(面
黑色)을 치료한다."

줄기와 잎:
1, <본초습유>: "뿌리와 줄기 및 잎을 찧은 즙을 짜서 복용하면 단독을 다스리고 소아의 열독을 치료한다."
2, <국약적약리학>: "이뇨약이며 당뇨병도 치료한다."
3, <광서약식명록>: "복통, 위통을 치료한다."

[용법과 용량]


꽃: 내복: 달이거나 찧어서 즙을 내어 복용한다.

줄기와 잎:
내복: 달이거나 찧어서 낸 즙을 복용한다.

애기메꽃, 메꽃, 큰메꽃의 효능에 대해 안덕균의
《CD-ROM 한국의 약초》에서는 이렇게 기록하고 있다..

[구구앙(狗狗秧)


[기원]
메꽃과의 여러해살이풀 애기메꽃[Calystegia hederacea Wall.], 메꽃[Calystegia japonica(Thunb.) Chois.], 큰메꽃[Calystegia sepium var. americana Matsuda]의 뿌리줄기와 지상부이다.

[성미]
맛은 달고, 약성은 차다.

[효능주치]
청열(淸熱), 자음(滋陰), 강압(降壓)한다.

[임상응용]


1. 자음(滋陰)시키면서 혈압을 내린다.

2. 이뇨(利尿)작용이 있어서 소변을 잘 못보는 증상에 쓰인다.

3. 뿌리줄기는 소화불량에 쓰이고, 건위(健胃), 혈당 강하와 아울러 골절의 유합을 촉진시킨다.

[화학성분]
줄기와 잎에는 kaempferol-3-rhamnoglucoside, saponin 등을 함유하고 있다.]

메꽃 및 큰메꽃에 대해 배기환의
<한국의 약용식물>에서는 아래와 같이 기록하고 있다.

[메꽃

메꽃과[Calystegia japonica Choisy]

덩굴성여러해살이풀. 잎은 어긋난다. 꽃은 연한 홍색으로 6~8월에 핀다. 열매는 삭과로 잘 맺지 못한다.

분포/
전국의 들에서 흔히 자라며, 일본, 만주, 중국에 분포한다.

약효/
전초를 구구앙(狗狗秧)이라고 하며, 청열, 자음(滋陰), 혈압 강하의 효능이 있고, 당뇨병, 골절을 치료한다.

성분/
지상부에는 kaempferol-3-rhamnoglucoside가 함유되어 있으며, 이 물질은 이뇨 작용이 있다. .

사용법/
전초 15g에 물 700ml를 넣고 달인액을 반으로 나누어서 아침 저녁으로 복용한다.

참고/
잎의 끝이 뾰족하고 포는 끝이 둔하거나 뾰족한 큰메꽃(C. sepium (L.) R. Brown)도 약효가 같다.]


큰메꽃의 효능에 관하여 중국에서 펴낸 <중국본초도록> 제 2권 152면 777호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이천검(籬天劍)

기원: 선화과(施花科=메꽃과: Convolvulaceae)식물인 이타완화(籬打碗花=큰메꽃: Calystegia sepium (L.) R. Brown)의 근(根)이다.

형태: 다년생 초본으로 전체에 털이 없으며, 줄기는 얽히거나 포복경(匍匐莖)의 형태를 가진다. 잎은 단엽(單葉)으로 어긋나며 장삼각상(長三角狀) 난형(卵形)이고 길이는 4∼8cm이고 너비는 3∼5cm이며, 잎끝은 급첨두(急尖頭)이고 엽저는 화살형 혹은 극형(戟形)이다. 꽃은 엽액에서 단생(單生)하고, 포편(苞片)은 넓은 난형(卵形)이며 기부(基部)는 심장형(心臟形)이고, 꽃받침잎은 난원상(卵圓狀) 피침형(披針形)이며, 화관(花冠)은 누두상(漏斗狀)이고 담홍색(淡紅色)이며 불분명(不分明)한 5개의 열편(裂片)이 있고, 수술은 5개로 수술대의 기부(基部)에는 가는 비늘모양의 털이 있고, 자방은 2실(室)이며 다수의 배주(胚珠)를 가지며 암술머리는 2갈래이다. 열매는 삭과(蒴果)로 구형(球形)이고, 종자는 흑갈색(黑褐色)으로 난원상(卵圓狀) 삼릉형(三稜形)이다.



분포: 산비탈, 길가에서 자란다. 거의 중국(中國) 각지(各地)에 모두 분포한다.

채취 및 제법: 가을에 뿌리를 채취하여 햇볕에 말린다.

기미: 맛은 달고 성질은 차다.

효능: 청열이습(淸熱利濕), 이기건비(理氣健脾).

주치: 급성결막염(急性結膜炎), 인후염(咽喉炎), 백대하(白帶下), 산기(疝氣).

용량: 9∼30g.

참고문헌: 회편(滙編), 하권, 694면.]

큰메꽃으로 질병을 치료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

1, 정을 수렴하고 익수(益髓)하는 치료

오색용골(五色龍骨) 5냥, 복분자(覆盆子) 5냥, 그늘에서 말린, 꽃이 피지 않은 연화예(蓮花
) 4냥, 고자화(鼓子花: 큰메꽃) 3냥, 계두자인(鷄頭子仁) 100개를 섞어서 가루내어 껍질을 제거한 금액자(金櫻子) 200개와 함께 나무 절구에 짓찧어 물 7되를 넣고 1되의 농즙으로 달여 찌꺼기를 버리고 약을 섞어서 절구공이로 2000번 찧어서 벽오동씨 크기의 환제로 하여 공복에 따뜻한 소금술로 30알을 복용한다. 규채(葵菜)와 함께 복용하면 안 된다. [서죽당경험방(瑞竹堂經驗方), 태을금쇄단(太乙金鎖丹)]

큰메꽃의 뿌리의 효능에 대해 <본초강목>에서는 말하기를 "선화근(旋花根: 큰메꽃뿌리)은 젓가락처럼 가늘어 먹을 수 있다. 따라서 <명의별록>에서는 오랫동안 복용하면 허기가 사라진다고 한다. 나는 서울에서 돌아오던 중 북방에서 마부가 이것을 뜯어 가지고 가면서 저녁에 늘 달여서 마시면 손상을 보양할 수 있다고 말하는 것을 들었는데, 이것은 익기(益氣)하고 속근(續筋)한다는 것을 증명해준다."고 기록하고 있다.

상기 자료는 약초연구가로서 지구상에 존재하는 천연물질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고 질병으로 고통을 겪고 있는 환우들에게 희망을 주며 기능성 식품과 신약을 개발하는데 통찰력을 갖게하고 약초를 사랑하는 모든 사람에게 정보의 목적으로 공개하는 것임을 밝혀 둔다.  

(글/ 약초연구가 & 동아대 & 신라대 대체의학 외래교수 전동명)

큰메꽃
사진 및 감상: 네이버+구글+다음+일본구글+대만구글: 1, 2, 3, 4, 5,

 큰메꽃 사진 상세 웹사이트: 1, 2, 3,

문의 및 연락처: 010-2545-0777 ; 051-464-0307

홈주소: http://jdm0777.com

페이스북 주소: http://www.facebook.com/jdmsanyacho

이메일: jdm0777@naver.com


아래의 식물도 함께 참조해 보시기 바랍니다.

 

 

  1. 갯메꽃 무엇인가?
  2. 메꽃 무엇인가?
  3. 애기메꽃 무엇인가?
  4. 큰메꽃 무엇인가?

 

 

홈페이지 주소 : http://jdm0777.com 클릭하시면 홈으로 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