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비쑥(모호) 무엇인가?

주로 산의 언덕 길가의 황무지에 자라는 제비쑥

 

 

 

 

 

 

 

 

 

 

 

 

[제비쑥의 봄철 어린잎, 전초 자란 모습, 갈라진 잎 앞면, 매끈한 줄기, 꽃봉오리, 열매, 마른 열매, 종자의 모습, 사진출처: 일본/대만/한국 구글 이미지 검색]

▶ 청열작용, 기생충구제, 몸이 마른데, 여자 혈붕, 편도선염, 부종, 구창, 개선, 음종, 치질, 주독, 하혈, 두통, 소아의 소화기능쇠약, 혈열 및 간열제거, 학질[말라리아=malaria, 하루거리 열, 3일열, 4일열로 인한 오한 발열], 대소변불통, 감기로 인한 열, 지나친 노동으로 인한 해수, 조열[날마다 일정한 시간에 일어나는 열], 쓴맛건위약, 열내림약, 피멎이약, 고혈압, 만성기관지염, 진해, 해열, 지혈, 타박상, 거담, 천식, 홍반성낭창, 간디스토마, 구강 점막의 편평태선, 결핵열, 여름철 더위로 인한 메스꺼움, 구토, 가슴이 답답하고 열이 많은 증상, 뼛골이 쑤시면서 열이 날 때, 손과 발에 열이 나는 증상, 여름 감기에 열이 나면서 아픈데, 간헐열, 신경성 열병, 만성 열병, 혈변, 토혈, 염증약, 곪은 상처를 빨리 터지게 하는 약, 백혈병, 피부병, 벌에 쏘인 데, 태선, 옴, 농피증, 류마티즘, 황달, 습진, 옴, 버짐을 다스리는 제비쑥

제비쑥은 국화과 쑥속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제비쑥의 학명은 <Artemisia japonica Thunb.>이다. 쑥속은 북반구에 약 250여종이 있으며 우리나라에는 약 25종이 분포하고 있다.

또한 일본, 만주, 중국, 아무르, 몽고, 시베리아, 인도, 유럽, 북아메리카에 분포되어 있다. 쑥속을 뜻하는 학명 'Artenisia Linn
é'의 뜻에 관해서 'Artenisia'는 '부인병에 유효하다'는 뜻으로 그리스 신화의 'Artemis(Diana)' 여신을 기념하여 'Linné'가 명명하였다고 한다.

제비쑥은 줄기는 직립하고 높이가 60~90cm이다. 잎은 어긋나고 줄기의 중간 이하의 잎은 기부가 쐐기 모양이고 끝부분이 깃 모양으로 3개로 갈라져 있으며 가운데 열편이 비교적 넓고 역시 깃 모양으로 3개로 갈라져 있다. 중간 이상의 잎은 실 모양으로 밋밋하다. 잎의 양면은 녹색이고 털이 없다. 두상 화서는 원추 화서 모양으로 배열되어 있고 두상 화서 자체는 공 모양으로 지름이 약 1.5mm이다. 총포는 공 모양이고 꽃떡잎은 3~4 층이다. 그중 외층의 꽃떡잎은 비교적 작고 달걀 모양이며 내층의 꽃떡잎은 타원형으로 뒷부분의 가운데가 녹색이고 가장자리는 막질로 되어 있다. 꽃턱은 공 모양이고 그 위에 양성(兩性)화와 암꽃이 붙어 있다. 꽃부리는 모두 대롱 모양으로 되어 있다. 암꽃은 꽃턱의 바깥둘레에 위치하고 꽃부리 중앙에 암술이 한 개만 있으며 암술머리가 2개로 갈라져 있다. 중앙이 양성화로 꽃부리의 끝부분은 5개로 갈라져 있다. 수술은 5개이고 꽃밥은 합생하여 암술머리의 주위를 둘러싸고 있다. 암술은 한 개이고 중앙에 있으며 암술머리는 사람의 머리 모양이다. 수과는 타원형으로 털이 없다. 개화기는 9~10월이다.

주로 산의 언덕 길가와 황무지에서 자란다. 제비쑥의 뿌리를 모호근(牡蒿根)이라고 하여 약용한다. 제비쑥의 이름의 유래는 잎의 생김새가 제비꼬리를 닮았다고 하여 '제비쑥'이라고 부른다.

다른 종류의 변형식물인 목서초모호(木
犀草牡蒿: Artemisia japonica Thunb. f. resedifolia Takeda)도 약용한다. 모호(牡蒿)와의 주요한 차이는 잎이 깃 모양으로 깊게 갈라지고 열편이 실 모양이며 열편의 앞 부분이 약간 넓거나 깊게 갈라진 톱니를 가지고 있다는 점이다. 중국의 사천(四川) 각지에 분포하고 있다.

제비쑥의 다른 이름은
모호[牡蒿=
hāo=V하오: 명의별록(名醫別錄)], [蔚: 시경(詩經)], 모긴[牡: 모시전(毛詩傳)], 제두호[齊頭蒿: 당본초(唐本草)], 수날채[水菜: 구황본초(救荒本草)], 포채[布菜, 철채자:鐵菜子: 민간상용초약휘편(民間常用草藥彙編)], 토시호[土胡: 육천본초(陸川本草)], 후장초[掌草: 강서민간초약(江西民間草藥)], 유뇨호[流尿蒿: 사천중약지(四川中藥誌)], 취애[臭艾, 완두청:碗頭靑, 유애:油艾: 민동본초(東本草)], 유호[油蒿, 유봉:油蓬, 내감약:疳藥, 화애초:花艾草, 육월설:六月雪, 노아청:老鴉靑, 마연호:馬蓮蒿, 마근시:馬根, 아초약:鵝草藥: 절강민간상용초약(浙江民間常用草藥)], 각판호[脚板蒿: 호남민간약물자료(湖南民間藥物資料)], 우미호[牛尾蒿, 백화호:白花蒿, 웅장초:熊掌草: 강소약재지(江蘇藥材誌)], 시엽애[匙葉艾: 대만(台灣)], 위통령[胃痛靈: 요족토명(瑤族土名)], 오토코요모기[オトコヨモギ=男蓬: 일문명(日文名)], 제비쑥, 자불쑥, 가는제비쑥, 큰제비쑥 등으로 부른다.

[채취]


<중약대사전>: "여름과 가을에 채취하여 햇볕에 말린다."

[약재(藥材)]


<중약대사전>: "제비쑥의 말린 전초는 줄기가 원기둥 모양으로 지름은 1~3mm이며 표면은 흑갈색 혹은 갈색이다. 질은 단단하고 꺽은 단면은 섬유상으로 황백색이고 중앙에 흰색의 고갱이가 성글게 있다. 남은 잎몸은 황록색 혹은 흑갈색이며 대부분 부서져서 일정하지 않고 주름이 있으며 질은 약하고 떨어지기 쉽다. 꽃차례는 황녹색이고 꽃떡잎에 긴 타원형의 갈색 종자가 여러 개 있다. 향기가 있고 맛은 약간 쓰다.

제비쑥을 중국의 상해(上海), 강소(江蘇), 사천(四川) 등지에서는 청호(靑蒿)로 사용된다고 한다."

[성분]


<중약대사전>: "전초에는 정유가 들어 있는데 그 성분을 보면 copaene, farnesylacetate, caryophllene, tricyclovetivene, farnesylacetate, caryophllene, tricyclovetivene, β-humulene, ε-, δ-, y-cadinenes 등이다. 그 외에 α-, β-pinene, camphene, limonenes, 1,8-cineole, artemisia ketone, α-thujone, artemisia alcohol, β-bourbonene 등도 들어 있다."

[약리작용]


<중약대사전>: "전초의 알코올 혹은 아세톤 추출물은 성홍 백색 선균에 길항하는 작용을 한다(in vitro)."

[성미]


1, <중약대사전>: "맛은 쓰고 조금 달며 성질은 차다."

2, <명의별록>: "맛은 쓰며 성질은 따뜻하고 독이 없다."

3, <본초강목>: "맛은 쓰고 조금 달며 성질은 따뜻하고 독이 없다."

4, <의림찬요>: "맛은 맵고 쓰며 성질은 차다."

5, <사천중약지>: "맛은 싱거우며 성질은 평하고 독이 없다."

[약효와 주치]


1, <중약대사전>: "열을 내리고 표증(表證)을 풀며 기생충을 구제하는 효능이 있다. 감기로 인한 신체의 열, 과로로 인한 기침, 조열(潮熱), 소아의 감(疳)으로 인한 열, 학질(말라리아), 구창, 개선(疥癬), 습진을 치료한다."

2, <명의별록>: "기부(肌膚)를 충족하고 원기를 북돋우며
갑자기 비만해지게 한다."

3, <본초강목>: "짓찧어서 짜낸 즙을 복용하면 음종(陰腫)을 치료한다."
4, <의림찬요>: "구창(口瘡)을 치료한다. 감(疳)을 제거하고 충닐(蟲
img1.jpg:능에닐)을 제거한다."

5, <분류초약성>: "상한결흉(傷寒結胸), 열증으로 인한 발광증을 치료하고 오로칠상(五勞七傷)을 보하며 치질, 주독, 하혈을 치료한다."

5, <육천본초>: "구풍발산(驅風發散)하고 해표(解表)하며 열을 내린다. 감기로 인한 몸의 열과 두통을 치료한다."

6, <강서민간초약>: "소아의 식적(食積: 소화 기능 쇠약)과 비괴(
塊: 복강 내의 적괴:積塊)로 인한 발열을 치료한다."

7, <사천중약지>: "혈열과 간열을 제거하고 조열(潮熱)을 물리친다. 기침, 대소변의 불통을 치료한다."

[용법과 용량]


<중약대사전>: "내복: 1.5~3돈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혹은 짓찧은 즙을 복용한다.

외용: 달인 물로 씻는다."

제비쑥의 효능에 관하여 허준의
<동의보감>에서는 다음과 같이 알려주고 있다.

[
초호(草蒿: 제비쑥, 개사철쑥)   

허로를 낫게 하고 식은땀[盜汗]을 멎게 하며 뼈마디에 있는 열매를 없애고 눈을 밝게 한다. 중초를 보하고 기를 도와주며 얼굴색을 좋게하고 흰머리칼을 검게 하며 열황(熱黃)을 낫게 하고 사기(邪氣)와 귀독(鬼毒)을 없앤다.   

○ 곳곳에 있는데 요즘 청호(靑蒿)라고 하는 것이 이것이다. 봄기운을 가장 일찍 받고 줄기와 잎은 보통 쑥과 같은데 이 쑥의 빛은 아주 푸르기 때문에 냄새가 향기롭다. 진하게 푸른 것이 좋다. 동변에 7일 동안 담갔다가 햇볕에 말려 쓴다[본초].

jdm 각주: 동의보감에서 초호라고 하여 한글로 '제비쑥'이라고 표기해 놓았는데, 아래의 청호, 제목에 초호라고 밝힘으로써 제비쑥 보다는 '개사철쑥'을 의미하는 것이 더 정확하다. 정확한 구분이 없던 시대에 지역에 따라서는 비슷하게 생긴 것을 함께 포함시켜 쓰는 경우가 있다.
]

제비쑥의 효능에 대해서 북측에서 펴낸
<약초의 성분과 이용>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제비쑥(Artemisia japonica Thunb.)

식물: 높이 약 60~90cm 되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잎은 긴 타원형이고 에움이 있다. 꽃은 이른 가을철에 연한 노란핵으로 핀다.

각지의 산과 들에서 널리 자란다.

응용: 동의치료에서 전초를 청호라 하여 열내림약으로 쓴다(잔잎쑥 참고).

민간에서는 피멎이약으로 외상에 붙인다.
]

제비쑥의 효능에 대해서 중국에서 펴낸 <중국본초도록> 제 3권 194면 1385호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모호(牡蒿)

기원: 국화과(Compositae) 식물인 모호(牡蒿=제비쑥: Artemisia japonica Thunb.)의 전초이다.

형태: 다년생 초본으로 50-150cm이다. 근상경(根狀莖)은 두껍고 튼튼하며 줄기는 항상 총생(叢生)한다. 하부의 잎은 숟가락 모양이고 중부의 잎은 설형(楔形)이며 잎끝에는 거치가 있거나 혹은 거의 장상(掌狀)으로 갈라지고, 상부의 잎은 거의 선형(線形)이고 3갈래로 갈라지거나 갈라지지 않는다. 매우 많은 수의 두상화서(頭狀花序)가 복총상(複總狀)을 이루고, 짧은 화서자루와 선형(線形) 포엽(苞葉)이 있으며, 총포(總苞)는 구형(球形) 혹은 장원형(長圓形)으로 털이 없으며, 총포편(總苞片)은 약 4층이고 뒷면은 약간 엽질(葉質)이며 가장자리는 넓은 막질(膜質)이고, 꽃의 외층은 자성(雌性)이며 내층은 양성이고 발육하지 못한다. 수과(瘦果)는 털이 없다.



분포: 길가 및 황무지에서 자란다. 중국 각지에 넓게 분포한다.


채취 및 제법: 여름과 가을에 캐어서 햇볕에 말린다.

성분: volatile oils.

기미: 맛은 쓰고 약간 달며 성질은 차다.


효능: 청열해표(淸熱解表), 살충(殺蟲).

주치: 감모신열(感冒身熱), 노상해수(勞傷咳嗽).

용량: 하루 5-10g을 물로 달여서 먹는다. 외용약을 쓸 때는 적당한 양을 사용한다.

참고문헌: 중약대사전 상권, 2291면.]


제비쑥의 효능에 대해 안덕균의
<한국본초도감>에서는 아래와 같이 기록하고 있다.

[모호(牡蒿)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 제비쑥(rtemisia japonica Thunb.)의 지상부이다.

성미: 맛은 쓰고 약간 달며 성질은 차다.

효능: 해표(解表), 청열(淸熱), 살충(殺蟲)

해설: ① 청열(淸熱) 작용이 있어 감기로 인한 열, 지나친 노동으로 인한 해수, 조열(潮熱: 날마다 일정한 시간에 일어나는 열)등에 쓰이며, ② 습진, 옴, 버짐에도 살균력이 있다.

성분: 정유 중에 copaene, farnesylacetate, caryophyllene, tricyclovetivene, β-humulene 등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약리: 알코올 추출물은 개선균(疥癬菌)을 억제시킨다.]

제비쑥으로 질병을 치료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

1, 학질로 인한 오한 발열

제비쑥 뿌리, 적적금근(滴滴金根) 각 한 줌을 짓찧어서 술 한 잔과 함께 발작 전에 복용한다. 찌꺼기는 촌구(寸口: 손목에 맥을 짚는 부분)에 바른다. [해상명방(海上名方)]

2, 여자 혈붕

제비쑥 1냥과 모계(母鷄) 한 마리를 함께 고아 찌꺼기를 버리고 고기와 국물을 복용한다. [민동본초(
東本草)]

3, 편도선염

신선한 제비쑥의 전초 1~2냥을 잘게 썰어 달여서 복용한다. [절강민간상용초약(浙江民間常用草藥)]

4, 개창(疥瘡)과 습진

제비쑥을 달여서 약기운을 쏘인다. [절강민간상용초약(浙江民間常用草藥)]

가장 흔하게 지천으로 널려 있는 쑥이 우리 인체에 미치는 영향은 실로 놀랍기만하다.

상기 자료는 약초연구가로서 우리땅에 자라는 토종약초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고 질병으로 고통을 겪고 있는 환우들에게 희망을 주며 신약을 개발하는데 통찰력을 갖게하고 약초를 사랑하는 모든 사람에게 정보의 목적으로 공개하는 것임을 밝혀 둔다.

 

(글/ 약초연구가 & 동아대 & 신라대 대체의학 외래교수 전동명)

제비쑥 사진 감상: 1, 2, 3, 네이버+구글+다음+일본구글+대만구글: 1, 2, 3, 4, 5,

제비쑥 상세 사진 웹사이트: 1, 2,

문의 및 연락처: 010-2545-0777 ; 051-464-0307

홈주소: http://jdm0777.com

페이스북 주소: http://www.facebook.com/jdmsanyacho

이메일: jdm0777@naver.com


참조: 아래의 쑥의 종류를 마우스로 클릭하여 함께 고려해 보시기 바랍니다.

 

 

 

 

※ 아래에 jdm 필자가 찍은 제비쑥 사진도 감상해 보시고 행복하시기 바랍니다~~~^.^

 

 

홈페이지 주소 : http://jdm0777.com 클릭하시면 홈으로 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