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용(목부용화) 무엇인가?

이른 아침 꽃필 때의 색과 오후에 꽃색이 변하는 아름다운꽃

 

 

 

 

 

 

 

 

img1.jpg

img1.jpg

img1.jpg

 

 

[부용의 잎, 꽃봉오리, 꽃, 열매의 모습, 사진출처: 일본/대만/한국 구글 이미지 검색]

 

 

 

 

[미국 부용의 잎, 꽃봉오리, 꽃, 열매의 모습, 사진출처: 일본/대만/한국 구글 이미지 검색]

▶ 항균작용, 소염 작용, 부종 제거 작용, 배농 작용, 지통 작용, 혈액순환촉진, 청열해독, 소종배농, 양혈지혈, 폐열해수, 월경과다, 옹종창절, 유선염, 질타손상(타박상), 수기천, 청열, 양혈, 소종, 해독, 옹종, 화상, 붕루, 지혈, 부기를 가라앉히는데, 배농, 부종, 안질, 부스럼, 어구편독(매독), 소아의 경풍, 기침을 멈추게 하는데, 유행성 볼거리염, 적충성음도염, 위통, 각종 여성병, 유행성감기, 옹저흔종, 전신사단, 결막충혈로 붓고 아픈 증상, 대상포진, 접골, 양창종양, 근각산만, 급성 결막염으로 붓고 아픈데, 국소의 화농성 감염[임상보고], 열상[임상보고], 유행성 이하선염[임상보고], 절종 및 봉와직염[임상보고], 동통, 설사, 자궁출혈, 사두정, 천사독, 구창, 허로수, 경혈이 멎지 않을 때, 봉와직염, 폐열에서 오는 해수, 토혈, 백대하를 다스리는 부용

부용(芙蓉)은 쌍떡잎식물 이판화군 아욱목 아욱과의 낙엽 관목 또는 소교목으로 높이 2~5m이다.

부용의 학명은 <Hibiscus mutabilis>이다. 중국 원산으로 산과 들에서 자란다. 지상부가 겨울 동안에 죽고 높이 2m 내외로 가지에 성모(星毛:여러 갈래로 갈라진 별 모양의 털)가 있다. 잎은 어긋나고 3∼7개로 얕게 갈라지지만 갈라지지 않는 것도 있으며 심장저로 별 모양의 털과 더불어 잔 돌기가 있다. 갈래조각은 달걀 모양의 삼각형이며 둔한 톱니가 있다.

이른 아침 개화할 때에는 백색이나 담홍색이고 오후에는 짙은 홍색으로 변한다.

꽃은 8∼10월에 피고 지름 10∼13cm로 연한 홍색으로 취산상으로 윗부분의 잎겨드랑이에 1개씩 달린다. 꽃받침은 보통 중앙까지 5개로 갈라지고 선모(腺毛)가 있으며 꽃받침보다 긴 소포(小苞)가 있다. 꽃부리는 크고 대단히 아름답다. 꽃잎은 5개이고 외면에 털이 있으며 홑잎 또는 겹잎이다. 수술은 많고 꽃실은 결합되어 원통형을 이루며 암술대를 싸고 있다. 씨방은 5실이고 암술대의 정단은 5개로 갈라져 있다. 암술머리는 사람 머리 모양이다.

열매는 삭과(蒴果)로 둥글고 공모양이며 지름 2.5cm 정도로 퍼진털과 맥이 있다. 실의 뒷부분은 5조각으로 갈라지고 길이는 약 2.5cm이며 굵고 긴 털로 덮여 있다. 종자는 신장형이고 지름 2mm 정도로 뒷면에 흰색의 긴 털이 있으며 10~11월에 익는다. 주로 관상용으로 정원에서 재배한다.

부용 꽃의 다른 이름은
목부용화[木芙蓉花=
fú róng huā=후아: 본초강목(本草綱目)], 부용화[芙蓉花: 청이록(淸異錄)], 지부용화[地芙蓉花: 본초도경(本草圖經)], 거상화[拒霜花: 익부방물약기(益部方物略記)], 칠성화[七星花: 민간상용초약휘편(民間常用草藥彙編)], 수부용[水芙蓉, 상강화:霜降花: 복건중초약(福建中草藥)] 등으로 부른다. 

부용의 다른 이름은
목부용[木芙蓉=
fú róng=: 유하동집(柳河東集)], 목련[木蓮: 강예릉집(江醴陵集)], 화목[樺木, 화피수:樺皮樹: 본초강목(本草綱目)], 취주부용[醉酒芙蓉: 생초약성비요(生草藥性備要)], 대엽부용[大葉芙蓉: 중약대사전(中藥大辭典)], 후요우[フヨウ=芙蓉: 일문명(日文名)], 부용 등으로 부른다.

부용 뿌리의 다른 이름은
목부용근[木芙蓉根: 전남본초도설(
滇南本草圖說)]으로 부른다.

부용 잎의 다른 이름은
목부용엽[木芙蓉葉: 본초강목(本草綱目)], 거상엽[拒霜葉: 세의득효방(世醫得效方)], 부용화엽[芙蓉花葉: 보제방(普濟方)], 철고산[鐵箍散: 호남약물지(湖南藥物誌)] 등으로 부른다.

[채취]


<꽃>


<중약대사전>: "10월에 피기 시작하는 꽃을 따서 햇볕에 말린다."

<잎>


<중약대사전>: "여름, 가을에 잎을 따서 햇볕에 말린다. 항상 햇볕에 말리는 것을 반복하여 건조하고 통풍이 잘 되는 곳에 보관한다."

[약재]


<꽃>


<중약대사전>: "말린 꽃은 종형이거나 둥글게 수축되어 불규칙한 타원형을 이룬다. 작은 꽃떡잎은 8~10개이고 선(線) 모양이다. 꽃받침은 회녹색이고 5개로 갈라졌으며 표면에 별 모양의 털이 있다. 꽃부리는 담홍색 혹은 적갈색 혹은 갈색으로 주름이 잡혀 오그라들어 있고 질은 연하며 중심에 황갈색의 화심(花芯)이 있다. 주산지는 중국의 절강(浙江), 강소(江蘇) 등지이다."

<잎>


<중약대사전>: "말린 잎몸은 잎자루가 있고 굵기가 약 0.3mm이며 황갈색을 띤다. 잎몸은 크고 보통 겹쳐져 있으며 윗면은 회녹색이고 밑면은 담홍색이며 잎맥은 융기되어 있고 회색의 별 모양의 털로 덮여 있다."

[성분]


<꽃>


<중약대사전>: "꽃에는 flavonoid 배당체와 anthocyanin이 함유되어 있다. 전자에는 isoquercitrin, hyperin, hyperoside, rutin, quercetin-4'-glucoside 즉 spiraeaoside와 quercimetrin이 있다. 후자의 함유량은 꽃색의 변화에 따라 다른데 아침 꽃이 담황색일 때에는 anthocyanin이 함유되어 있지 않으며 점심 때(연한 홍색)와 해질 무렵(분홍색)의 꽃은 cyanidin-3.5-diglucoside, cyanidin-3-rutinoside-5-glucoside가 함유되어 있다. 해질 무렵의 꽃의 함유량은 점심 때의 3배이다. 종자에는 기름이 12.3%(건조 중량) 함유되어 있다."

<잎>


<중약대사전>: "플라보노이드(flavonoid) 배당체, phenols, amino acid, 탄닌, 환원당이 들어 있다."

[성미]


<꽃>


1, <중약대사전>: "맛은 맵고 성질은 평하다."

2, <본초도경>: "맛은 매우며 성질은 평하고 독이 없다."

3, <전남본초>: "맛은 쓰고 달며 성질은 차다."

4, <사천중약지>: "맛은 약간 쓰며 성질은 평하고 독이 없다."

<잎>


1, <중약대사전>: "맛은 맵고 성질은 평하다."

2, <본초도경>: "맛은 매우며 성질은 평하고 독이 없다."

3, <본초강목>: "맛은 약간 매우며 성질은 평하고 독이 없다."

[귀경(歸經)]


<꽃>


1, <전남본초>: "폐(肺)에 들어간다."

2, <본초구진>: "폐(肺), 간(肝)에 들어간다."

<잎>


<옥추약해(玉楸藥解)>: "수태음폐(手太陰肺), 족궐음간경(足厥陰肝經)에 들어간다."

[약효와 주치]


<꽃>


1, <중약대사전>: "열을 내리고 혈분(血分)에서 열사(熱邪)를 제거하며 부기를 가라앉히고 해독하는 효능이 있다. 옹종, 정창(
疔瘡), 화상, 폐열해수, 토혈, 붕루, 백대하를 치료한다."

2, <본초도경>: "악성 종기를 치료한다."

3, <전남본초>: "기침을 멈추게 하며 여러 가지 독창을 제거한다."

4, <전남본초도설>: "창(瘡)에 바르면 폐기를 맑게 하고 혈분(血分)에서 열사(熱邪)를 제거하며 열을 발산시키고 부기를 가라앉힌다."

5, <본초강목>: "크고 작은 모든 옹저, 종독 악성 종기를 치료한다. 부기를 가라앉히고 농을 배출하며 통증을 완화시킨다."

6, <생초약성비요>: "부스럼을 치료하고 창양, 종독을 제거하며 어구편독(魚口便毒: 매독)을 다스리고 또 소아의 경풍 두통(
: 위통)을 치료한다."

7, <분류초약성>: "안질, 백대하를 치료한다. 기(氣)를 보하고 혈액 순환을 조절한다."

8, <귀주민간방약집>: "월경을 통하게 하고 혈액 순환을 촉진시키며 여자의 붕대(崩帶), 각종 병을 치료한다."

9, <사천중약지>: "설사를 치료한다."

10, <본초추진>: "외용으로서 타박상이나 부종 및 동통에 바른다."

11, <상해상용중초약>: "혈분(血分)에서 열사(熱邪)를 제거하고 지혈하며 열을 내리고 해독한다. 부기를 가라앉히고 배농하며 통증을 완화시킨다."

<뿌리>


1, <중약대사전>: "옹종, 독창(禿瘡), 염창(
瘡), 해수 호흡 곤란, 여자의 대하를 치료한다."

2, <전남본초도설>: "창(瘡)에 바른다."

3, <분류초약성>: "모든 눈의 질환, 여자의 백대하증을 치료하며 기(氣)를 보하고 혈액 순환을 조절한다."

4, <영남채약록>: "급성 유선염을 치료한다. 좋은 술로 달여서 복용하면 급성 유선염이 제거된다."

5, <민간상용초약휘편>: "열독을 풀며 염창(
瘡) 및 해수 기천(氣喘)을 치료한다."

<잎>


1, <중약대사전>: "혈분(血分)에서 사열(邪熱)을 제거하고 해독하며 부기를 가라앉히고 통증을 완화시키는 효능이 있다. 옹저흔종(
癰疽焮腫), 전신사단(纏身蛇丹: 대상포진), 화상, 결막 충혈로 붓고 아픈 증상, 타박상을 치료한다."

2, <본초도경>: "종독에 바른다."

3, <전남본초>: "고창(箍瘡)의 두(頭)를 나오게 한다."

4, <본초강목>: "폐기를 맑게 하고 혈분(血分)에서 열사(熱邪)를 제거하며 열을 발산시키고 해독한다. 모든 크고 작은 옹저 종독, 악성 종기를 치료한다. 부기를 가라앉히고 배농하며 통증을 완화시킨다."

5, <옥추약해>: "풍사(風邪)를 몰아내고 열을 내리며 혈분(血分)에서 열사(熱邪)를 제거하고 부리를 가라앉힌다."

6, <민간상용초약휘편>: "외용하면 뼈를 재결합시켜준다."

[용법과 용량]


<꽃>

<중약대사전>: "내복: 2~4돈(신선한 것은 1~2냥)을 물로 달여서 먹는다.

외용: 가루내어 개어 바르거나 짓찧어서 바른다."

<뿌리>


<중약대사전>: "외용: 짓찧어서 바르거나 가루내어 개어서 바른다.

내복: 신선한 것 1~2냥을 물로 달여서 먹는다."

<잎>


<중약대사전>: "외용: 가루내어 개어서 바르거나 짓찧어서 바른다."

부용의 효능에 대해서 안덕균의
《CD-ROM 한국의 약초》256호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목부용화(木芙蓉花)

[기원]
아욱과의 낙엽성 떨기나무인 부용(Hibiscus mutabilis L.), 미국부용(Hibiscus oculiroseus Briton.)의 꽃이다. 잎은 목부용엽(木芙蓉葉)이라 한다.

[성미]
목부용화(木芙蓉花)의 맛은 맵고, 약성은 평범하다. 목부용엽(木芙蓉葉)의 맛도 맵고, 약성도 평범하다.

[효능주치]
목부용화는 양혈해독(凉血解毒), 소종지통(消腫止痛)하고, 목부용엽(木芙蓉葉)은 양혈해독(凉血解毒), 소종지통(消腫止痛)한다.

[임상응용]


1. 목부용화의 약성은 평범하나 서늘한 쪽에 치우쳐서 량혈해독(凉血解毒)하는 작용이 있으므로 종기의 염증을 가라앉혀 통증을 그치게 하며, 외용으로는 환부에 붙이면 즉시 효과를 볼 수 있다. 피부의 살갗이 벌겋게 되면서 화끈거리고 열이 나는 병증과, 불이나 뜨거운 물에 데었을 때는 가루를 내서 환처에 바르면 삼출물의 흡수를 빠르게 하고 수렴작용이 있어 상처가 적어진다. 가벼운 타박상 환자에게 가루나 신선한 잎을 붙이고 심한 경우도 동일한 요법으로 다스린다.

2. 목부용엽은 종기에 발열이 되고 전신이 붉은 증상에 쓰이며, 탕화상, 안구충혈에도 효력이 있다.

[임상연구]


1. 목부용화는 피부종기에 연고제를 만들어 치유율을 높였다. 불이나 뜨거운 물에 데었을 때에 가루를 발라서 유효한 반응을 얻었고, 봉와직염, 적충성음도염, 유행성감기 등에도 유효하였다.

2. 목부용엽은 국부화농성감염증에 건조시킨 가루를 바르고, 탕화상에는 볶아서 가루를 내어 붙이고, 유행성볼거리염에도 가루를 기름에 개서 붙인다.

[약리작용]
용혈성연쇄상구균과 황색포도상구균의 억제작용을 나타낸다.

[화학성분]
flavonoid, amino acid, tannin 등을 함유하고 있다.]

부용의 효능에 대해서 배기환의
<한국의 약용식물> 333면 410호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부용(Hibiscus mutabilis L.) [아욱과]

갈잎떨기나무. 높이 1~3m. 꽃은 엷은 홍색으로 지름 10~13cm이며 8~10월에 핀다. 열매는 삭과, 구형, 지름 2.5cm 가량이다.

종자는 많고 신장형이다.

분포/
중국 원산으로, 전국에서 재배되는 귀화 식물이다.

약효/
꽃을 목부용화(木芙蓉花)라고 하며, 청열, 양혈, 소종, 해독의 효능이 있고, 옹종, 화상, 폐열에서 오는 해수, 토혈, 백대하를 치료한다. 뿌리를 목부용근(木芙蓉根)이라고 하며, 옹종, 해수기천, 백대하를 치료한다.

성분/
꽃에는 isoquercitrin, hperin, rutin, spiraeoside, quercimetrin 등이 함유되어 있다.

사용법/
꽃 10g에 물 700mL, 뿌리 30g에 물 900mL를 넣고 각각 달인 액을 반으로 나누어 아침 저녁으로 복용한다.
]

부용의 효능에 대해서 중국에서 펴낸 <중국본초도록> 제 2권 113면 699호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술하고 있다.

[목부용(木芙蓉)

기원: 금규과(錦葵科=아욱과:Malvaceae)식물(植物)인 목부용(木芙蓉=부용: Hibiscus mutabilis L.)의 꽃, 잎. 뿌리이다.

형태: 관목 또는 교목으로 높이는 6m에 이른다. 단엽(單葉)은 어긋나며 장상(掌狀)으로 3∼7갈래로 갈라지며 양면(兩面)은 고루 성상(星狀)의 털로 덮여 있다. 꽃은 역액(葉腋)에서 단생(單生)하거나 가지의 끝에서 모여나며 개화시(開花時)에는 백색(白色)이나 후에 점차적을 분홍색(粉紅色)내지 심홍색(深紅色)으로 변하고, 부악(副萼)은 10갈래이며, 꽃잎은 5장 또는 겹꽃잎이고, 수술은 다수이며, 암술은 1개이다. 삭과(蒴果)는 구형(球形)이다. 종자(種子)는 신장형(腎臟形)이다.



분포: 양지바른 곳과 배수(排水)가 잘 되는 사질양토(砂質壤土)에서 자란다. 중국 대부분의 지역(地域)에 분포(分布)한다.

채취 및 제법: 여름과 가을에 화뢰(花蕾: 꽃봉오리)를 재취하여 햇볕에 말리고 잎은 그늘에서 말린다. 가을, 겨울에 뿌리를 재취하여 햇볕에 말린다.

성분: isoquercitrin, hyperin, rutin 등.

기미: 맛은 약간 맵고 성질은 서늘하다.

효능: 청열해독(淸熱解毒), 소종배농(消腫排膿), 양혈지혈(凉血止血).

주치: 폐열해수(肺熱咳嗽), 월경과다(月經過多). 외용(外用): 옹종창절(癰腫瘡癤), 유선염(乳腺炎), 질타손상(跌打損傷) 등(等)에 사용(使用)한다.

용량: 9∼30g. 외용시(外用時)에는 적량(適量)을 사용(使用)한다.

참고문헌: 회편(滙編), 상권, 174면.]

부용(꽃, 잎)으로 질병을 치료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

<꽃>


1, 토혈, 자궁 출혈, 화안(火眼), 창종(瘡腫), 폐옹(肺癰)

부용화(
芙蓉花) 3돈~1냥을 물로 달여서 먹는다. [상해상용중초약(上海常用中草藥)]

2, 옹저와 종독

목부용(木
芙蓉)의 꽃, 잎, 단피(丹皮)의 달인물로 환부를 씻는다. [호남약물지(湖南藥物誌)]

3, 사두정(蛇頭
), 천사독(天蛇毒)
신선한 목부용화(木
芙蓉花) 2냥, 동밀(冬蜜) 5돈을 짓찧어 바른다. 1일 2~3회 바꾸어 준다. [복건, 민간실용초약(福建, 民間實用草藥)]

4, 화상

목부용화(木
芙蓉花)를 햇볕에 말려서 가루내어 마유(麻油)로 개어 바른다. [호남약물지(湖南藥物誌)]

5, 허로수(虛
嗽)
부용화(
芙蓉花) 2~4냥, 녹함초(鹿草) 1냥, 황당(黃糖) 2냥을 저심(猪心), 저폐(猪肺)와 함께 약한 불에 끓여 복용한다. 당(糖)이 없으면 식염을 가해도 된다. [중경초약(重慶草弱)]

6, 경혈(經血)이 멎지 않을 때

거상화(拒霜花), 연봉각(蓮蓬殼) 같은 양을 가루내어 미음으로 2돈씩 복용한다. [부인양방(婦人良方)]

7, 절종(癤腫), 봉와직염
(임상보고)
부용화(
芙蓉花)로 만든 20%의 연고를 발라 절종(癤腫), 봉와직염 등을 치료한 결과 소염, 부종 제거, 배농, 지통 작용을 하였다.

300여 예의 관찰에 의하면 일반적으로 1회 약을 사용하면 바로 동통이 경감되고 3~7회 사용하면 농이 나오고 고름이 없어지며 부기를 가라앉히는 효과가 있었다. [중약대사전]

<잎>


8, 양창종양(陽瘡腫瘍), 근각산만(根脚散漫)

약간 볶은 오배자(五倍子) 1냥, 신선한 대황(大黃) 4돈, 추부용엽(秋
芙蓉葉) 6돈, 식초 1종을 국자안에 넣고 졸여서 약가루를 넣고 잘 섞어 환부의 정단 둘레를 바르고 종이로 싸매어 마르면 식초로 닦는다. 한편 한식편(寒食麵) 5돈을 가하기도 한다. 음저(陰疽) 및 피부색 불변, 농종에 두부(頭部)가 없는 경우에는 바르면 안 된다. [양의대전(瘍醫大全), 오씨철고산(吳氏鐵箍散)]

9, 붉게 충혈된 양창(陽瘡)의 뿌리를 뽑고 독을 제거하는 방법

가을에 채취한 부용엽(
芙蓉葉), 유면(楡麵) 2냥, 신선한 대황(大黃) 5돈, 피초(皮硝) 1냥을 곱게 갈아 총즙(蔥汁), 동변으로 개어 환부의 꼭대기의 둘레에 바른다. 창(瘡)의 뿌리를 뽑을 뿐만 아니라 초기에도 이것을 바르면 없앨 수 있다. [양의대전(瘍醫大全), 부용고(芙蓉膏)]

10, 옹저와 종독

중양절 전에 뜯어 가루낸 부용엽(
芙蓉葉), 단오절 전에 뜯어 약성이 남을 정도로 태워서 가루낸 창이(蒼耳)를 같은 양 꿀물로 개어 주위에 바르면 그 독이 퍼지지 못한다. [간편양방(簡便良方), 철정관(鐵井關)]

11,
전신사단(纏身蛇丹: 대상포진)
목부용(木
芙蓉)의 신선한 잎을 그늘에서 말려 가루내어 쌀뜨물로 개어서 환부에 바른다. [복건중초약(福建中草藥)]

12, 화상으로 인한 창(瘡)

부용(
芙蓉)의 가루를 기름에 개어 바른다. [기효양방(奇效良方)]

13, 급성 결막염으로 붓고 아픈 증세

부용엽(
芙蓉葉)의 가루를 물에 개어서 태양혈(太陽穴)에 붙인다. [비홍집(飛鴻集), 청량고(淸凉膏)]

14, 소아의 쇄후(
鎖喉)
부용엽(
芙蓉葉) 찧은 즙을 계란과 함께 달여 작은 덩어리로 만들어 신문(囟門: 정수리) 혹은 두제(肚臍: 배꼽)에 붙인다. [영남채약록(嶺南採藥錄)]

15,
구해리약(久咳羸弱)
거상엽(拒霜葉)을 가루내어 어자(魚鮓)에 조금 담그었다가 복용한다. [세의, 득효방(世醫, 得效方)]

16, 편추작통(偏墜作痛)

부용엽(
芙蓉), 황백(黃柏) 각 2돈을 가루내고 목별자(木鱉子)의 인(仁) 1개를 갈아서 식초로 개어 음낭에 바른다. [간편단방(簡便單方)]

17, 소아의 경풍 두통(肚痛: 위통) 및 급성 경풍

목부용(
芙蓉)의 연한 잎을 짓찧어서 계란을 넣어 함께 달여 떡을 만들어서 소아의 배꼽 위에 붙이고 식을 때마다 바꾸어 준다. [영남채약록(嶺南採藥錄)]

18, 국소의 화농성 감염
(임상보고)
목부용엽(木
芙蓉葉)과 꽃을 뜯어 햇볕에 말리고 가루내어 체로 쳐서 바셀린으로 개어 1:4의 연고를 만들어 환부에 바른다(이미 터진 것은 주위에 바른다). 또는 gauze에 발라 상처에 삽입하여 배농시킬 수도 있다. 매일 혹은 하루 걸러 약을 바꾸어 준다. 절(癤), 옹(癰), 봉와직염, 유선염, 심부 농종 등의 외과 감염을 치료하기 위해서는, 초기에는 부기를 가라앉히고 지통, 흡수를 촉진시키며 그 다음에는 염증을 국한시켜 고름을 뺀다. 사용 중에 중독, 국소 피부염 및 기타의 합병증은 나타나지 않았다. [중약대사전]

19, 열상
(임상보고)
목부용엽(木芙蓉葉) 1근(신선한 잎이면 2근)에 바셀린 2근을 가하여 약한 불에 잎이 말라서 탈 때까지 가열한 다음 여과하여 찌꺼기를 제거하고 소독한 천 위에 펴거나 부용엽고(芙蓉葉膏) 가제를 만들어 붙이는데 1일 1회 바꾸어준다. 치료 133례 중에서 열상 면적이 최소인 것은 1%, 최대인 것은 30%였고 대부분 1~2도(度)였다. 감염을 우려하여 중초약 및 항생 물질을 배합하여 치료한 소수의 환자 이외에는 모두가 외용 도포(塗布)하였다. 치료 기간은 가장 짧은 것은 3일이고 가장 긴 것이 68일이었다. 부용고(芙蓉膏)는 열상에 대하여 수렴 작용을 하고 상처의 표면은 삼출액 흡수를 촉진시키며 분비물을 감소시킨다. 약을 쓴 후 국소는 깨끗하게 되고 신속하게 통증이 멎었다. 상처의 표면은 유합된 후 상처의 흔적이 거의 없었으며 부작용도 없었다. [중약대사전]

20, 유행성 이하선염
(임상보고)
부용엽(芙蓉)을 뜯어 햇볕에 말려 부수고 80호 체로 쳐서 고운 가루를 계란 흰자위로 고루 섞어 기름종이 위에 발라 환부에 붙이고 바깥쪽을 가제로 덮어 고정시킨다. 부종이 내릴 때까지 1일 2회 약을 바꾸어 준다. 16례를 치료한 결과 시행 후 평균 2~3일 만에 체온이 정상으로 회복되었고 4~6일만에 부종이 내렸다. 고환염이 병발한 3례는 평균 10일만에 치유되었다. 평균 입원 일수는 7.5일이었다. [중약대사전]

[각가(各家)의 논술(論述)]


<본초강목(本草綱目)>:
"부용엽(芙蓉)의 꽃과 잎은 기(氣)가 평하고 차지도 않고 뜨겁지도 않으며 맛은 약간 쓰고 성질은 미끄럽고 점성이 많으며 부스럼을 치료하는데 특히 신기한 효과가 있다. 최근에 의사들이 양(瘍: 종기)의 치료시에 청량고(淸凉膏), 청로산(淸露散), 철고산(鐵箍散)이라 칭하여 만드는 것은 모두 본품이다. 본품은 등에 생기는 모든 옹저, 성장 중이거나 성장이 끝난 급성 유선염 악창, 또는 구멍이 생겼거나 생기지 않았거나에 관계없이 치료한다. 이상의 모든 증세에 부용엽(芙蓉) 혹은 뿌리껍질 혹은 꽃을 쓰는데 생것을 갈거나 혹은 말려서 분말로 만들어 꿀에 개어 종면(腫面)에 바른다. 중앙부는 건드리지 말고 그대로 두며 마르면 몇 번이고 약을 바꾸어 준다. 초기의 증세는 금방 시원한 느낌이 나고 통증이 멎으며 부기가 내린다. 이미 형성된 것은 이 약을 쓰면 금방 농이 모이고 독이 나온다. 이미 터진 것은 금방 고름이 나와 쉽게 아문다. 혹은 색적소두(生赤小豆)의 분말을 가하면 더욱 효과가 있다."

[부용 재배법]


1, 기후와 토양:
따뜻한 기후룰 좋아한다. 양지쪽 배수가 잘되는 사질 양토가 좋다.

2, 번식:
삽목 번식을 한다. 육모하여 이식한다. 사천(四川) 지역에서는 1~2월에 땅고르기하여 너비 1.3m의 묘판을 만든다. 지름이 1~2cm 되는 가지를 골라서 한 가지에 싹이 3개 이상 남도록 15~20cm의 길이로 자른다. 밭이랑에 골을 파는데 골은 너비가 20~30cm, 깊이가 12~16cm되게 하여 포기 사이의 거리를 10~13cm로 해서 삽목한다. 심은 다음 흙으로 덮고 다져준다. 삽목은 지표에서 3~4cm 드러나게 하고 토양의 수분을 유지해 준다. 발아 후 김매기하고 덧거름을 1~2회 준다. 비료는 주로 인축분뇨를 사용한다. 이듬해 2~3월에 이식한다. 포기 사이의 거리를 약 3m 전후로 하고 그 후에 매년 사이갈이, 김매기와 비료주기 등의 필요한 작업을 해준다.

3, 병해충의 예방 퇴치:
권엽충(卷葉蟲)의 해를 입으면 6% 가습성 BHC로 퇴치한다. [중약대사전]

부용의 꽃말은
<섬세한 아름다움>이다. 마치 무궁화꽃을 닮은 아름다운 부용꽃이 화단에 심겨져 많은이로부터 사랑을 받고 있다. 위의 내용처럼 우리 인체에 미치는 영향력이 실로 놀랍기만 하다. 그렇다. 섬세한 아름다움을 부용꽃에 넣어주신 조물주에게 부용은 말없이 영광을 돌리고 있는 것이 분명하다.

상기 자료는 약초연구가로서 지구상에 존재하는 천연물질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고 질병으로 고통을 겪고 있는 환우들에게 희망을 주며 기능성 식품과 신약을 개발하는데 통찰력을 갖게하고 약초를 사랑하는 모든 사람에게 정보의 목적으로 공개하는 것임을 밝혀 둔다.  

(글/ 약초연구가 & 동아대 & 신라대 대체의학 외래교수 전동명)

부용 사진 감상: 네이버+구글+다음+일본구글+대만구글: 1, 2, 3, 4, 5,

부용 부위별 상세 사진 웹사이트: 1,

문의 및 연락처: 010-2545-0777 ; 051-464-0307

주소: http://jdm0777.com

페이스북 주소: http://www.facebook.com/jdmsanyacho

메일: jdm0777@naver.com

아래의 비슷한 식물도 함께 고려해 보시기 바랍니다.

 

 

  1. 금화규(金花葵) 무엇인가?
  2. 닥풀(황촉규) 무엇인가?
  3. 부용 무엇인가?
  4. 수박풀 무엇인가?
  5. 아욱 무엇인가?
  6. 어저귀 무엇인가?
  7. 히비스커스(로젤) 무엇인가?

 

 

홈페이지 주소 : http://jdm0777.com 클릭하시면 홈으로 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