꾀꼬리 무엇인가?

영롱하고 아름다운 소리를 내는 산속의 황금색 옷을 입은 가수

 

 

 

 

 

 

img1.jpg

img1.jpg

img1.jpg

 

 

[<<꾀꼬리의 머리, 눈, 부리, 날개를 편 상태, 새끼에에 먹이주는 장면, 날아가는 모습, 사진-출처: 길병섭 회원 촬영>>]

간을 풀어주는 작용, 보중익기, 소간해울, 비위허약, 식욕부진, 양협작창, 소화불량, 양기를 돋아주고 소화, 흡수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울결을 풀어주는데, 지장을 돕는데, 피부를 희게 하는데, 주름살 방지, 피부를 곱게 하는데, 정신적인 자극으로 울체되고 혈액순환이 잘 안 되는 것을 원활하게 하는데, 소아가 말을 늦게 하는 것을 다스리는 꾀꼬리

꾀꼬리는 꾀꼬리과에 속하는 새이다.

꾀꼬리의 학명은 <Oriolus chinensis
diffusus Sharpe>이다. 지구상에는 꾀꼬리과의 조류가 28종이 알려져 있으며, 아프리카와 아시아의 열대지방에 주로 분포하고, 유라시아대륙에는 2종만이 서식한다. 그리고 우리 나라에는 단 한 종이 여름새로 도래한다.

중국 남부, 인도차이나, 미얀마, 말레이반도 등지에서 월동하고 4월 하순에서 5월 초순에 우리 나라로 날아오는 꾀꼬리는 심산오지에서 농촌과 도시의 공원에 이르기까지 도처에서 번식한다. 몸길이는 26㎝ 정도이며, 온몸이 선명한 황금빛이다.

눈 앞에서 시작하여 눈 주위를 지나는 부분인 과안선(過眼線)은 검은 깃털로 이루어져 있는데 뒷머리에서 합해지며 마치 머리에 띠를 두른 모양이다. 날개와 꼬리는 검지만 가장자리는 노란색이다. 부리는 붉은색이며 암컷은 온몸에 초록빛이 돈다. 활엽수와 침엽수 나뭇가지에 둥우리를 틀며 5∼7월에 보통 4개의 알을 낳는다.

봄철에는 곤충의 애벌레와 성충, 특히 송충이 등을 즐겨 먹으며, 가을철에는 식물의 열매를 많이 먹는다. 매미, 메뚜기, 잠자리 등의 곤충과 거미류 이외에도 버찌, 산딸기, 산포도 등을 두루 먹는다.

울음소리는 복잡하면서도 아름다우며, 산란기에는 ‘삣 삐요코 삐요’ 하고 되풀이해서 우는 등 다양한 소리를 낸다. ≪물명고≫와 ≪재물보≫에서도 꾀꼬리에게는 32가지의 소리굴림이 있다고 하였다.

꾀꼬리는 울음소리가 매우 맑고 고우며 모양도 아름다워 예로부터 사람들의 사랑을 받았으며 시가의 소재로 등장하기도 하였다. ≪삼국사기≫ 고구려본기에는 유리왕이 지은 <황조가>가 전하는데 유리왕은 자기의 고독한 처지를 암수의 꾀꼬리가 의좋게 노는 것에 비유하여 노래하고 있다. 이처럼 꾀꼬리는 자웅의 정의가 두터운 새로도 알려져 있다.

고려가요의 하나인 <동동(動動)>은 월령체의 시가인데 4월의 정경을 노래한 대목에 꾀꼬리가 등장한다. “사월 아니니져 아으 오실셔 곳고리 새여 므슴다, 녹사(錄事)님은 옛 나를 잇고신져 아으 동동다리.” 이처럼 꾀꼬리는 봄철의 정경을 대표하는 새이고 임의 생각을 촉발시키는 새로 인식되었다.

안민영(安玟英)이 지은 시조에도 꾀꼬리가 등장한다. “꾀꼬리 고은 노래 나비춤을 시기마라/나비춤 아니런들 앵가 너뿐이여니와/네곁에 다정타 니를 것은 접무(蝶舞)론가 하노라.” 전라도민요 <새타령>에는 꾀꼬리를 다음과 같이 묘사하고 있다.

“저 꾀꼬리 울음 운다. 황금갑옷 떨쳐 입고 양유청청 버드나무 제 이름을 제가 불러 이리루 가며 꾀꼬리루 저리로 가며 꾀꼬리루 머리 곱게 빗고 시집 가고지고 게알 가가 심심 날아든다.” 이처럼 꾀꼬리는 아름다운 모습과 특이한 울음소리가 봄철의 정경과 어울려 인간의 정서를 자극하고 있다.

꾀꼬리는 특히 버드나무와 친근한 듯하다. <유산가>에 있는 ‘유상앵비편편금(柳上鶯飛片片金)’이라는 구절은 봄철에 버들잎이 새로 피어날 때 그 위를 나는 꾀꼬리의 모양을 묘사한 시구로 널리 인구(人口)에 회자(膾炙)되는 글귀이기도 하다.

꾀꼬리의 여러 가지 이름은
[鶯=
yīng=: 식물본초(食物本草)], 황조[黃鳥=huáng niǎo=후앙냐오V, 창경:倉庚: 시경(詩經)],[皇, 상경:商庚, 여황:黃, 초작:楚雀: 이아(爾雅)], 청도[靑島: 좌전(左傳)], 창안[鷃: 이통괘험(易通卦驗)], 황이유[黃鸝, 황앵:黃, 황포:黃袍: 육기(陸璣), 시소(詩疏)], 황백로[黃伯勞: 본초강목(本草綱目)], 황앵[黃鸎: 금경(禽經), 장화주(張華注)], 백설조[百舌鳥, 반설:反舌, 꾀꼴새: 동의보감(東醫寶鑑)], 금의공자[金衣公子=jīn gōng =V], 황포[黃抱], 이황[離黃], 표류[img1.jpg鶹], Oriolus chinensis diffusus Sharpe[학명(學名)], 코우라이우구이스[コウライウグイス=高麗鶯: 일문명(日文名)], 황리[黃鸝], 창경[鶬鶊], 박서[搏黍], '꾀고리', '꾀꼬리' 등으로 부른다.

[성미]


1, <본초강목>: "맛은 달고 성질은 따뜻하며 독이 없다."

2, <의림찬요>: "맛은 달고 성질은 평하다."

[약효와 주치]


1, <
왕영(汪潁), 식물본초(食物本草>: "양기(陽氣)를 북돋우고 비(脾)를 돕는다."
2, <수식거음식보(隨息居飮食譜)>: "울결을 풀고 간기(肝氣)를 조화시킨다."

[용법과 용량]

내복: 삶아서 복용한다.

꾀꼬리의 효능에 대해서 허준의
<동의보감>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백설조(百舌鳥: 꾀꼴새)   

가슴과 위(胃)가 아픈 것을 치료하는데 구워 먹는다. 또한 어린이가 오랫동안 말을 못하는 데도 효과가 있다. 이것이 바로 요즘 꾀꼴새(
鸎: 꾀꼬리앵)라고 하는 것이다[본초].

○ 어린이가 오래도록 말을 하지 못하는 것을 치료한다. 고기를 구워서 먹인다(본초). ○ 곧 지금의 앵(
: 꾀꼬리)이라는 것이다. 일명 반설(反舌)이라고도 한다(강목: 소아부:小兒部, 지언:遲言).]

꾀꼬리의 효능에 대해서 박영준의
<한방동물보감> 340~341면에서는 이러한 사실을 말해주고 있다.

[꾀꼬리

학명:
Oriolus chinenesis

한약명:
앵(鶯)/ 이명: 황조

기원:
참새목 꾀꼬리과

성미:
맛이 달고 성질이 따뜻하다.

약효:
양기를 돋아주고 소화, 흡수 능력을 향상시킨다. 간을 풀어주는 작용이 있어서 정신적인 자극으로 울체되고 혈액순환이 잘 안 되는 것을 원활하게 한다.

소아가 말을 늦게 하는 것을 치료한다.

사용법:
구워서 먹는다.

맞는 체질:
소음인]

꾀꼬리의 효능에 대해서 중국에서 펴낸 <중국본초도록> 제 8권 215면 3998호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황앵(黃鶯)

기원: 황리과(黃鸝科=꾀꼬리과: Orioridae)동물인 황앵(黃鶯=꾀꼬리: Oriollus chinensis (Linnaeus)) 의 육(肉)이다.

형태: 몸체의 길이는 약 250mm이고 부리와 머리는 길이가 같으며 취봉(嘴峰)은 분홍핵(粉紅色)이고 약간 아래로 굽으며 윗부리의 선단(先端)은 약간 결각(缺刻)이다. 홍채는 홍색(紅色)이고 수컷의 우모(羽毛)는 황금색(金黃色)으로 광택이 있으며 두부(頭部)에는 눈 주위를 통과하여 침부(枕部)에 달하는 흑문(黑紋)이 있다. 꼬리는 짧고 미우(尾羽)는 중앙의 1쌍이 순흑색인 것을 제외하고 나머지 흑색(黑色)의 미우(尾羽)는 모두 황색(黃色)의 첨단을 가진다. 다리는 짧고 연남색(鉛藍色)이며 발톱은 길고 굽어 있다.



분포: 주로 평원지대에서 활동하며 나무 위에 서식한다. 중국 각지에 분포한다.

채취 및 제법: 연중 채취가 가능하며 깃털과 내장을 제거하고 육(肉)을 취하여 생용(生用)하거나 혹은 소존성(燒存性) 연말로 만든다.

기미: 맛은 달고 성질은 따뜻하다.

효능: 보중익기(補中益氣), 소간해울(疏肝解鬱).

주치: 비위허약(脾胃虛弱), 식욕부진(食慾不振), 양협작창(兩脅作脹), 소화불량(消化不良).

용량: 1∼2마리.

참고문헌: 중국동물약(中國動物藥), 398면 ; 중약대사전, 하권 3722면.]

대부분의 여성들이 원하는 것은 피부색깔을 백옥같이 희게 될 수 있기를 바란다. 그점에 관해서 피부색깔을 희게해주고 피부를 보드랍게 해주며 주름살을 막아주는 효능에 대해 꾀꼬리똥이 탁월하다고한다.

꾀꼬리똥의 효능에 대해서 일본에서 펴낸
<일본 민간요법 아까혼(赤本)> 524면에서는 다음과 같이 알려주고 있다.
 
[≪ 꾀꼬리똥과 쌀겨의 위대한 효과 ≫

옛 책에서도 꾀꼬리의 똥은 피부색깔을 희게하는 효력이 있고, 또 윤택하게 한다고 쓰여 있습니다. 이 꾀꼬리똥은 이상스러울 정도로 놀라울 정도로 영효(靈效)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천에 검은 글자를 쓴 위에 이 꾀꼬리똥을 물에 녹여 발라 놓으면 하룻밤 사이에 먹물이 모두 흡수되므로 희게 됩니다.

오늘날의 발달한 과학에서도 이 꾀꼬리똥과 같이 간단히 표백하는 힘을 가진 약품은 아직 발명되지 못하고 있습니다.

나는 시험삼아 이 꾀꼬리똥을 손발에 바르고서, 그 자극성 또는 피지선(皮脂腺)에 미치는 영향 등을 조사해 보았으나 아무런 부작용이 없었음을 알아 내었고, 부인용 화장의 재료로서 가장 이상적이라는 것을 확신하게 되었습니다.

또 쌀겨에는 규산염(硅酸塩), 오리자닌, 지방분, 비타민 등이 함유되어 있을 뿐 아니라, 비누처럼 각질(角質)이 용해되어 있지 않으므로 자극성이 없습니다.

그리고 이것을 사용하면
피부가 보드랍게 되고, 또 윤택을 나타내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것은 모래나 흙이 들어있지 않은 깨끗한 것을 이용해야 하는데, 이 쌀겨가 피부에 작용하는 작용에 대해서는 345페이지에 설명한 바와 같습니다.

345페이지→【<<동상(凍傷)에 잘 낫게 되는 민간요법: ① 왕겨요법, 이는 간단하고도 가장 효력이 있는 방법입니다.

즉 환부를 30분 정도 더운물로 데우고 왕겨를 문질러 바릅니다. 왕겨가 다 마를 때까지 약 30분 정도 마찰한 다음 왕겨를 그대로 떨어뜨립니다.

경증이면 1회로서 대개 낫게 되고, 중증이라도 2~3회 계속하면 완치됩니다.>>】

동상(凍傷)에 걸렸을 때 피부가 허물어지지 않는 동안 목욕을 한 뒤 이 쌀겨를 문질러 놓으면 동상이 낫게 되는 것을 보아서도 쌀겨의 효력을 능히 짐작할 수 있습니다.

피부의 자연미를 보호하고 생리적 작용을 도와 준다는 사실을 알 수 있는 것입니다.

봉투(편지 봉투)의 쌀겨 속에 꾀꼬리똥을 찻숟가락 1개 정도를 잘 빻아 섞은 다음 이것을 이용하여 피부를 마찰하면 놀랄 정도로 피부가 윤택해 집니다. 그리고 이 꾀꼬리똥이 없을 때는 그 대용으로 벌꿀을 이용해도 좋습니다. 이 벌꿀의 효과에 대해서는 341페이지 어린이의 얼굴 또는 머리에 종기가 나올 때, 346페이지의 헌데가 잘 낫는 민간요법 등에 자세히 설명해 놓은 바와 같습니다.

하여간 쌀겨와 꾀꼬리똥으로 만든 약에는 어떤 의약도 이에 미치지 못할 뿐만 아니라,
피부를 보드랍게 하고 주름살을 막아서 얼굴의 자연미를 돋구어 주는 효력에 대해서는 한번 실험해 봄으로써 알 수 있을 것입니다.
]

꾀꼬리의 사육과 관련하여
<원색 관상 조류총감> 255-256면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꾀꼬리(꾀꼬리과)

(1) 생태와 형태


크기는 15cm 정도이고, 상부는 암록갈색, 하부는 회백색, 겨드랑이 및 엉덩이의 하면은 엷은 올리브 갈색이며 얼굴에는 연한 미선이 있고 보기에도 참한 모습을 하고 있다.

수컷은 암컷보다 몸체가 커서 한눈으로 판별할 수 있다.

성질은 극히 온화하고, 여름에는 관목림에서 번식하며 그늘을 좋아하고 벌레나 거미같은 것을 먹고 생활한다. 가을이 되면 마을 가까이의 수풀에 내려와서 "꾀꼴 꾀꼴"하고 짧게 울면서 월동하고 매화꽃의 싹 눈이 트기 시작하면 꾀꼬리 특유의 아름다운 목소리로 울기 시작한다.

(2) 사육법


반죽모이 새장에 넣고 겨울에는 사통에 넣어서 추위를 방지하며 여름에는 선선한 그늘에 내놓고 될 수 있는 대로 매일 수욕을 시킨다.

모이는 5분 모이로 하고 일정량을 규칙적으로 급여하면 10년 이상 생명을 유지할 수 있다.
털갈이는 보통 1년에 1회지만 빨리 울리기 위해서는 밤에 모이를 주는데 그렇게 되면 털갈이를 2회 정도 하므로 그때는 털갈이를 위한 모이를 강화하고 곤충류나 청채의 양을 증가해 주면 좋다.

(3) 울음 소리와 길들이기

꾀꼬리 새끼는 그 해의 말 경부터 울기 시작한다고 하나 보통의 어미새는 3월 경부터 8월 내내 울지만, 제일 음률이 고조되는 것은 결국 4월 하순부터 5월 상순의 산란기로 보통의 사육 법으로는 3월~7월이 들을 수 있는 시기이다.

꾀꼬리를 울리게 하는 것은 대단히 어려운 일로, 어쨌든 울음소리가 훌륭한 어미새에 붙여서 새기 때부터 가르치지 않으면 안된다.

따라서 옛날부터 다음과 같은 방법이 취해지고 있다.

제1기...... 둥우리를 떠난 직후 7~10일간 어미의 울음소기를 들려주는 훈련이다.
제2기...... 제 1기가 끝난 후 10일간 휴식시키고, 다시 1~2주간의 훈련으로 이것을 <노래 길들이기>라고 부른다(이상으로 대체적인 울음이 결정된다).
제3기...... 여름과 가을은 중지하고, 울기 시작할 무렵의 2~3주간 재차 어미의 울음소리를 들려 준다.]

꾀꼬리와 관련하여 <삼국사기>에 실린 고주몽의 아들 유리왕이 지은 <황조가>는
고구려 제 2대 유리왕이 기원전 BC 17년(유리왕 5년)에 지은 한역시로 대단히 유명하다. 그시는 아래와 같다.

[유리 왕과 황조가

[황조가]

훨훨 나는 꾀꼬리는,

암수 다정히 즐기는데

외로울 사 이 내몸은 뉘와 함께 돌아갈꼬


누구와 함께 돌아갈거나. 고주몽이 고구려를 세운 후, 기원전 19년에 세상을 떠났다. 그 뒤를 이어 유리가 왕위에 올랐다. 유리 왕은 송양국의 딸 다물도주를 왕비로 맞이했다. 또 즉위한 지 22년에는 졸본을 떠나 국내성으로 도읍을 옮기고 위나암성을 쌓고 왕궁을 지었다. 왕비가 죽자 유리 왕은 자치구인 골천 사람의 딸 화희와 한나라 사람의 딸 치희를 맞아들였다. 그런데 두 여자를 질투로 인해 매일 싸웠다. 유리 왕은 양곡에 두 개의 궁전을 지어 각각 한 여자씩 살도록 해 주었다. 어느 날 유리 왕은 기산으로 사냥을 나갔다가 7일 동안 돌아오지 않았는데, 그 동안에 두 여자가 또 싸웠다. 화희에게 욕을 들은 치희는 자신의 집으로 가버렸다. 왕이 사냥터에서 돌아와 보니 사랑하는 치희가 보이지 않았다. 왕은 치희의 집을 찾아가서 그녀를 달랬으나 듣지 않았다. 어쩔 수 없이 왕은 혼자 돌아오는 수밖에 없었다. 때는 마침 봄이어서 날씨가 맑고 따뜻했다. 왕이 고개를 넘어 나무 밑에서 잠시 쉬고 있을 때, 꾀꼬리들이 짝을 지어 훨훨 날고 있었다. '새들도 저토록 짝을 지어 노는데, 나는 혼자 돌아가니 쓸쓸하구나.' 유리 왕은 그 마음을 한 수의 시로 지어 읊었다. 이것이 바로 <황조가> 이다.

[琉璃王和黄鸟歌]

黄鸟歌

翩翩黄

鸟雌雄相依

念我之独

谁其与归


高朱蒙建立高句丽后,在公元前19年去世了。后来他的儿子琉璃即位为高句丽王。琉璃取了松让国王的女儿다물도주为王妃。而且即位22年后,把首都搬迁到了国内城,建立了尉那岩城和王宫。王妃去世后,琉璃取了一个鹘川人的女儿禾姬和一个汉国人的女儿雉姬。这两个女人总是因嫉妒而吵架。因此,琉璃王在凉谷建了两个王宫,把她们另开了。有一天,琉璃王去箕山打猎,趁他不在的那段时间,两个女人又吵起来了。雉姬被禾姬骂了后,回自己的家去了。琉璃王从箕山回来发现他爱的雉姬不在。王去找雉姬家劝慰她,但她就是不肯回去。结果只好王一个人回宫。那时正是春天,天气清和。当王登山越岭在一颗树下休一会儿的时候,一双黄鹂翻飞。‘连鸟也那样配对翻飞,我一个人回宫,真孤独’。琉璃王写了一首诗表达这心情。这就是黄鸟歌.
]


꾀꼬리 소리를 감상하기 위해서 유투브에 올라온 꾀꼬리 동영상을 아래에 링크를 걸어서 누구나 듣고 감상해 볼 수 있다.

유튜브 동영상 바로가기

1,
https://youtu.be/3cVgyQmpnLI [꾀꼬리 울음소리(Song of Chinese Oriole)]

2,
https://youtu.be/_K2B8ObfKxQ [꾀꼬리 소리(머리가 맑아지는 아름다운 새소리 ...)]

3,
https://youtu.be/wkRY4muvcfY [자연의 소리 , 꾀꼬리 소리 - 머리가 맑아지는 아름다운 새소리]

꾀꼬리는 작고 앙증맞게 생긴데다가 날개에 아주 진노란색을 갖추고 있어 숲속에서 만나면 예쁘고 기분을 즐겁게 한다. 그리고 꾀꼬리가 우는 소리를 들어보면 '삐삐꼬 봐요, 요고 봐요, 오오오 호이' 등 몇가지 아주 독특한 소리를 반복해서 내는데, 필자도 꾀꼬리 소리 3가지 정도를 그대로 모방하여 흉내를 낼 수 있다.

가끔 여름철 숲속에서 꾀꼬리를 만나면 꾀꼬리 소리에 맞추어 함께 소리를 내며 즐겁게 꾀꼬리와 소리로 대화를 나눠보기도 한다.

상기 자료는 약초연구가로서 우리땅에 존재하는 천연물질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고 질병으로 고통을 겪고 있는 환우들에게 희망을 주며 신약을 개발하는데 통찰력을 갖게하고 약초를 사랑하는 모든 사람에게 정보의 목적으로 공개하는 것임을 밝혀 둔다.  

(글/ 약초연구가 & 동아대 & 신라대 대체의학 외래교수 전동명)

꾀꼬리
 사진 감상: 네이버+구글+다음+일본구글+대만구글: 1, 2, 3, 4, 5,  

문의 및 연락처: 010-2545-0777 ; 051-464-0307

홈주소: http://jdm0777.com

페이스북 주소: http://www.facebook.com/jdmsanyacho

이메일: jdm0777@naver.com


아래에 다양한 조류 및 그 분변도 함께 참조해 보시기 바랍니다.

 

 

  1. 가마우지똥(노자시) 무엇인가?
  2. 까마귀 무엇인가?
  3. 까치 무엇인가?
  4. 꾀꼬리 무엇인가?
  5. 꾀꼬리똥 무엇인가?
  6. 꿩 무엇인가?
  7. 꿩똥(치시) 무엇인가?
  8. 닭 무엇인가?
  9. 닭똥(계분) 무엇인가?
  10. 두루미똥(학똥) 무엇인가?
  11. 뜸부기 무엇인가?
  12. 메추리 무엇인가?
  13. 박쥐똥(야명사) 무엇인가?
  14. 비둘기 무엇인가?
  15. 비둘기똥(좌반룡) 무엇인가?
  16. 삼광조(긴꼬리딱새) 무엇인가?
  17. 수리부엉이 무엇인가?
  18. 오골계 무엇인가?
  19. 오골계똥(오자계시백+오자계분) 무엇인가?
  20. 오리 무엇인가?
  21. 오리똥(백압시) 무엇인가?
  22. 왜가리 무엇인가? 
  23. 유황오리 무엇인가?
  24. 제비(가연) 무엇인가?
  25. 제비똥(연시) 무엇인가?
  26. 참새 무엇인가?
  27. 참새똥(작시) 무엇인가?
  28. 후투티(오디새) 무엇인가?

 

 

※ 길병섭 회원이 캐논 1D X, EF 600mm 망원렌즈로 찍은 아름다운 꾀꼬리 사진 9장입니다. 사진을 감상해 보시고 모든분들이 또 다른 행복을 느껴보시기 바랍니다 !!!

 


1
참새목 꾀꼬리과의 속하는 "꾀꼬리"


2
깊고 울창한 산림보다는 낮은 야산의 활엽수림이나 공원, 절 주변의 나뭇가지에 둥지를 튼다.


3
꾀꼬리의 먹이로는 매미, 메뚜기, 개미, 각종 곤충, 산딸기, 머루 등을 먹는다.


4
몸길이는 약 25cm로 4~5월에 알을 낳는다.


5
꾀꼬리의 날개길이는 14~16cm이고 꼬리 길이는 9~10cm이다.


6
몸의 대부분은 노란색이다.


7
꾀꼬리는 봄에 우리나라에 와서 여름을 나고 가을에 남쪽으로 날아가는 여름새이다.
번식기에는 <꾀꼴꾀꼴>하고 아름다운 소리를 낸다. 암컷이 알을 품는 동안 수컷은 둥지가까이에서 망을 본다.


8
날개의 끝부분과 꼬리깃의 윗부분은 검은색이다.


9
눈에서부터 머리의 윗부분까지 검은 띠무늬가 있다.
애로운 벌레를 잡아먹고 자연풍치를 아름답게 함으로 이로운 새이다. 잘 보호하여야 한다.

 

홈페이지 주소 : http://jdm0777.com 클릭하시면 홈으로 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