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불초 무엇인가?

어린순을 나물 또는 국거리로 식용하는 아름다운 노란꽃 금불초

 

 

 

 

 

 

 

 

 

 

img1.jpg

 

 

[금불초의 새싹과 잎, 꽃봉오리, 꽃, 열매 받침, 종자의 모습, 사진출처: 일본/대만/한국 구글 이미지 검색]

▶ 항균 작용, 중추 신경 흥분 작용, 애역,
거담, 하기, 연견, 행수, 진해, 건위, 진토, 진정, 흉중담결, 협하창만, 만성 상기, 간착, 유산에 의한 누하, 담음이 흉격에 있고 구토가 멎지 않으며 심하부에도 비경이 있는 증상, 풍담에 의한 구역으로 음식이 넘어가지 않고 두목에 현기증이 나는 증상, 상한으로 발한하고 구토나 설사를 하며 나은 후에도 심하부에 비경이 생겨 애의(트림)가 좀처럼 가라앉지 않는 증상, 풍습에 의해 담음이 역상하고 현기증이 있으며 얼굴이 부어 오르고 눈꼽이 끼는 증상, 담음에 의한 유폐로 소변 불통 증상, 복부 팽만, 풍화에 의한 치통, 유방암, 급성 유선염, 월식이창, 근육이 끊어진데, 얼굴이 차고 아픈 증상, 봄나물용[어린순], 해천, 심하부비경, 수종, 산풍한, 화담음, 소종독, 봄나물용, 풍한해수, 협하창통, 종독을 다스리는 금불초

금불초(金佛草)는 쌍떡잎식물 초롱꽃목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이다.

금불초의 학명은 <Inula britannica var. japonica>이다. 크기 높이 30∼60cm, 잎 길이 5∼10cm, 나비 1∼3cm, 설상화 길이 16∼19mm, 나비 1.5∼2mm, 관모 길이 약 5mm이다.

습지에서 자란다. 뿌리줄기가 뻗으면서 번식하는데 높이 30∼60cm이고 전체에 털이 나며 줄기는 곧게 선다. 잎은 어긋나고 잎자루는 없으며, 긴 타원형 또는 바소꼴로 잔톱니가 있다. 잎 길이 5∼10cm, 나비 1∼3cm로 밑부분이 좁아져서 줄기를 싸며 양면에 털이 있다.

꽃은 7∼9월에 황색으로 피는데, 원줄기와 가지 끝에 달려 전체가 산방상(揀房狀)으로 달린다. 총포는 반구형(半球形)이며 포린은 5줄로 배열된다. 설상화는 길이 16∼19cm, 나비 1.5∼2mm이다. 수과(瘦果)는 10개의 능선과 더불어 털이 있고 관모(冠毛)는 길이가 약 5mm이다.

어린순은 나물 또는 국거리로 식용한다. 생약의 선복화(旋覆花)는 이 꽃을 말린 것으로 거담, 진해, 건위, 진토(鎭吐), 진정 등의 효능이 있다. 전초와 뿌리도 각각 금불초, 금불초근이라 하여 약용한다. 한국, 일본, 중국, 아무르, 만주 등지에 분포한다. 높이가 1m에 달하고 가지를 많이 치는 것을 가지금불초(Inula britannica var. ramosa)라고 한다. 잎이 금불초보다 촘촘하게 달리고 만져보면 매우 거칠고 뻣뻣한 느낌이며 뒷면의 맥이 뚜렷하게 튀어나논 <버들금볼초: Inula salicina var. asiatica>가 있다. 버들금불초와 유사하나 잎 앞뒷면과 줄기에 끈적거리는 털이 매우 많고 강한 향기가 나는 개체를 경기도 어느 섬에서 발견된 것을 가칭 <향기금불초>라고 한다.

※ 참조로 중국에서는 3가지 종류의 선복화를 모두 함께 약용하는데 그 종류는 아래와 같다.

1, 선복화[
旋覆花: Inula britannica var. chinensis]

2,
선엽선복화[線葉旋覆花: Inula linariaefolia Turcz.]

3,
대화선복화[大花旋覆花, 모선복화=毛旋覆花: Inula britannica L.]

금불초의 여러 가지 이름은
선복화[旋覆花=xuán huā=쉬앤후아, 대심:戴椹: 신농본초경(神農本草經)], [蕧, 도경:盜庚: 이아(爾雅)], 비천예[飛天蕊: 후녕극(候寧極), 약보(藥譜)], 금전화[金錢花: 본초도경(本草圖經)], 야유화[野油花: 소아위생총미논방(小兒衛生總微論方)], 적적금[滴滴金, 하국:夏菊: 본초강목(本草綱目)], 금전국[金錢菊: 화사(花史)], 애국[艾菊, 질라황:迭羅黃: 군방보(群芳譜)], 만천성[滿天星: 영남채약록(嶺南採藥錄)], 육월국[六月菊: 철령현지(鐵嶺縣誌)], 황열화[黃熱花: 남경민간약초(南京民間藥草)], 수규화[水葵花, 금잔화:金盞花: 귀주민간방약집(貴州民間方藥集)], 복화[覆花: 신강약재(新疆藥材)], 소황화[小黃花: 하북약재(河北藥材)], 묘이타화[猫耳朶花, 여이타화[驢耳朶花: 산동중약(山東中藥)], 금비화[金沸花, 복화:伏花, 전복화:全福花: 상해상용중초약(上海常用中草藥)], 선복화[旋覆花, 선엽선복화:線葉旋覆花, 대화선복화:大花旋覆花, 모선복화:毛旋覆花: 중약대사전(中藥大辭典)], 구아선복화[歐亞旋覆花: 중국본초도록(中國本草圖錄)], 에다우치오구루마[エダウチオグルマ, 킨부츠소우:キンブツソウ=金佛草, 킨후추소우:キンフツソウ=金沸草: 일문명(日文名)], 들국화, 옷풀, 하국, 금불초, 가지금불초 등으로 부른다.

금불초의 뿌리를
선복화근[旋覆花根: 명의별록(名醫別錄)]이라고 부른다.

금불초의 줄기와 잎 지상부 전초를
금비초[金
草: 신농본초경(神農本草經)], 금불초[金佛草, 백지호:白芷胡: 분류초약성(分類草藥性)], 선복경[旋覆梗, 황화초:黃花草: 소주본산약재(蘇州本産藥材)], 모시호[毛柴胡, 황시호:黃柴胡: 중경초약(重慶草藥)] 등으로 부른다.

[채취]


<꽃봉오리>


여름과 가을에, 막 피려고 하는 꽃을 뜯어 햇볕에 말린다.

<줄기와 잎>

9~10월에 전초를 채취하여 햇볕에 말린다.

[약재(藥材)]

<꽃봉오리>

말린 두상 화서는 편평한 구형을 나타내는데 어떤 경우에는 부서져 떨어지기도 한다. 지름은 8~15cm이다. 선엽선복화(
線葉旋覆花)는 약간 작아서 4~10mm이다.

밑부분에 4층(선엽선복화는 3층)을 이루는 연회녹색 막질의 총포(總苞)가 있고 꽃자루가 숙존하는 것도 있다. 바깥쪽 가장자리에 있는 한 층의 혀 모양 꽃은 황색이고 길이는 약 1cm이며 선단이 3개의 톱니로 분열하고 감겨져 있는 것이 많다. 중앙의 대롱 모양 꽃은 밀집하고 꽃부리는 5개의 톱니로 갈라지며 씨방의 정단에는 여러 개 하얀 갓털이 있고 갓털은 길이가 약 5mm(선엽선복화는 약 3mm)이며 질은 연하고 손으로 만지면 쉽게 흩어진다. 냄새는 약하며 맛은 약간 쓰고 짜다. 꽃이 크고 황금색이며 백색 가늘고 보드라운 털이 있고 가지와 꽃자루가 없는 것이 양품이다.

주로 중국의 하남(河南), 강소(江蘇), 하북(河北), 절강(浙江), 안휘(安徽) 및 흑룡강(黑龍江), 길림(吉林), 요녕(遼寧) 등지에서 난다.

상술한 품종 외에 일부 지역에서는 복화속(覆花屬)의 다른 종류의 두상 화서도 선복화(旋覆花)로서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광동(廣東), 광서(廣西), 호남(湖南), 강서(江西) 등지에서는 치엽선복화(齒葉旋覆花: Inula chrysantha Diels)가 사용되고 있는데 말린 꽃은 대개 구형을 나타내고 지름은 7~12mm이다.

총포는 회녹색이고 백색의 융모로 덮여 있다. 혀 모양 꽃은 한 층이고 황색 혹은 담갈색이며 탈락한 것도 있다. 대롱 모양 꽃은 중앙에 밀집하고 씨방 표면의 갓털은 많이 퇴화되어 비늘 조각 모양의 흔적이 보이고 질은 단단하다. 운남(雲南), 귀주(貴州)의 어떤 지역에서는 수조양화(水朝陽花: Inula helianthusa quatilis C. Y. Wa ex ling=수조화:水朝花 조목 참조)가 사용되는데 그 마른 꽃차례는 지름이 8~14mm이다. 씨방 표면의 관모(管毛)는 15~20개 있고 길이는 약 3mm이다. 호북(湖北), 귀주(貴州)의 어떤 지역에서는 호북조양화(湖北朝陽花: I. helianthusaquatilis C. Y. Wu ex Ling subsp. bupehensis ling)가 사용되는데 그 마른 꽃은 대개 반구형이고 쉽게 흩어져 떨어지지 않으며 지름은 1~2cm이다.

총포는 황록색 혹은 녹색이고 하얀 잔털로 덮여 있다. 혀모양 꽃은 한 층이고 가늘고 긴데 길이는 2cm에 달하고 황색 혹은 담갈색이다. 중앙에 대롱 모양 꽃이 있고 갓털은 5~10개가 있으며 길이는 약 2mm이다.

<줄기와 잎>

말린 줄기와 잎은 길이가 30~60cm이다. 줄기의 표면은 점모양의 무늬가 있다. 잎은 흔적은 선명하고 질이 견고하고 단단하다. 절단면은 황백색이고 한가운데에 백색의 고갱이가 있으며 혹은 틈이 있다. 잎몸은 대부분 떨어져 있거나 찢어져 있다. 남아 있는 잎몸은 흑록색이고 넓은 피침형이며 바깥쪽으로 말려서 오그라들어있고 질은 부스러지기 쉽다. 줄기의 끝 부분에 황색의 두상(頭狀) 꽃차례가 있는 것도 있다. 냄새가 약간 있고 맛은 약간 쓰다. 주산지는 중국의 강소(江蘇), 사천(四川) 등지이다. [중약대사전]

[성분]


<꽃봉오리>

대화선복화(
大花旋覆花)의 개화기의 지상부에는 sesquiter-penoid lactone 화합물 britanin 및 inulysine이 함유된다.

꽃에는 quercetin, isoquercetin, caffeic acid, chlorogenic acid, inulin 및 taraxasterol 등 여러 종류의 sterol이 함유된다.

<줄기와 잎>

I. britanica var. chinensis의 지상부에는 inulicin을 함유하고 있고, I.britanica의 지상부에는 britanin을 함유하고 있다. [중약대사전]

[약리 작용]


<꽃봉오리>

대화선복화(
大花旋覆花)의 뿌리 및 지상부의 지용성 부분과 에테르 가용성 부분에는 항균 작용이 있고 현저한 이뇨 작용은 나타나지 않는다. chlorogenic acid은 caffeic acid와 quinic acid과의 축합체로 철과 접촉하게 되면 푸른색으로 변하며 탄닌(tannin)과 비슷하므로 caffeotannic acid라고 명명한 적이 있었지만 탄닌(tannin)과는 다르고 단백질을 침전시키지 않기 때문에 수렴작용은 없다. caffeic acid와 chlorogenic acid에는 넓은 범위의 항균 작용이 있지만 in vibo에서는 단백질에 의해 활성을 잃는다.

chlorogenic acid는 caffeine과 유사해서 rat에게 먹이거나 복강 내 주사하면 중추 신경의 흥분서을 높인다. chlorogenic acid과 caffeic acid는 사람이 내복했을 때 위의 염산 분비량을 증가시키고 또한 맥박을 늦추지만 quinic acid에는 이 기능이 없다. chlorogenic acid은 rat, mouse의 소장의 연동을 현저하개 증가시키고 chlorogenic acid, caffeic acid, quinic acid는 모두 rat의 자궁의 장력을 증강시키지만 그 작용은 papaberine에 의해 소실되고 atropine에 의해서는 영향을 받지 않는다. caffeic acid와 chlorogenic acid는 rat의 담즙 분비를 촉진한다. 토끼의 적출 회장 표본에서 chlorogenic acid는 adrenaline의 작용을 강화하지만 adrenaline의 혈당 상승 작용과 rat의 난백성 복사뼈 부종의 예방 등에 대해서는 어떤 영향도 주지 않는다. chlorogenic acid은 사람에 대하여 감작 작용을 하고 chlorogenic acid를 함유하는 식물의 미세한 분량을 흡입하면(예를 들면 커피 공장 등에서) 천식, 피부염 등을 일으키지만 먹었을 때에는 소장 분비물의 작용에 의해 감작성을 가지지 않는 물질로 변한다. 그렇기 때문에 알레르기 시험은 내복하지 말고 피부내에서 시행할 필요가 있다. caffeic acid에는 또 비타민(vitamin) B1의 활성을 잃게 하는 작용이 있다. chlorogenic acid의 독성은 매우 낮으며 어린 rat에게 먹였을 때의 LD50은 1g/Kg보다 높고 복강 내 주사도 0.25/Kg보다 높다.

동속의 식물 lnula royleana에는 alkaloid(C21 H38 O6 N)가 함유되었고 호흡 억제, 혈압 하강, 평활근의 이완 작용이 있으며 curare와 같은 작용도 있지만 항균 작용은 없다. [중약대사전]

[포제(炮製)]

<꽃봉오리>

1, <선복화(
旋覆花)>: "이물질, 자루와 잎을 제거하고 체로 쳐서 흙을 제거한다."

2, <밀자선복화(蜜炙
旋覆花)>: "선복화(旋覆花)를 깨끗하게 하여 정제한 벌꿀과 끓인 물을 조금 넣고 고르게 섞어서 습기가 약간 스며들면 약한 불에 누렇게 볶아 손에 붙지 않게 되면 꺼내어 충분히 식힌다. 선복화(旋覆花) 100근당 25근의 정제한 벌꿀을 사용한다."

<줄기와 잎>


잡물을 제거하고 깨끗이 씻어 뚜껑을 꼭 닫고 약한 불에 익힌 다음 꺼내어 얇게 잘라서 햇볕에 말린다. [중약대사전]

[성미]


<꽃봉오리>

맛은 짜고 성질은 따뜻하다.

1, <신농본초경>: "맛은 짜고 성질은 따뜻하다."

2, <약성론>: "맛은 달고 독이 없다."

3, <본초연의>: "맛은 달고 맵고 쓰다."

<줄기와 잎>

맛은 짜고 성질은 따뜻하다.

1, <소주본산약재>: "짜고 쓰고 매우며 따뜻하다."

2, <사천중약지>: "맛은 짜고 기는 따뜻하며 독이 조금 있다."

[귀경(歸經)]


<꽃봉오리>

폐(肺), 간(肝), 위경(胃經)에 들어간다.

1, <본초강목>: "수태음(手太陰), 양명경(陽明經)에 들어간다."

2, <뇌공포제약성해>: "심(心), 간(肝), 대장(大腸), 방광(膀胱)의 4경(經)에 들어간다."

3, <본초신편>: "심(心), 간(肝), 대장(大腸), 소장경(小腸經)에 들어간다."

[약효와 주치]


<꽃봉오리>

담(痰)을 삭이고 위로 치밀러 오르는 기를 내리며 단단한 덩어리를 연하게 하고 수(水)를 통하게 하는 효능이 있다. 흉중(胸中)의 창만, 해천(咳喘), 애역(呃逆), 매우 끈적한 타액이 나오는 증상, 심하부(心下部)의 비경(痞硬), 장기간 계속되는 애기(
噯氣: 트림), 대복(大腹) 수종을 치료한다.

1, <신농본초경>: "결기(結氣), 협하(脇下)이 창만, 경계를 치료한다. 수(水)를 제거하고 오장 사이의 한열(寒熱)을 제거하며 중초를 보하고 위로 치밀러 오르는 기를 내린다."

2, <명의별록>: "흉상(胸上)의 담결(痰結), 매우 끈적거니는 타액이 나오는 증상, 심협부(心脇部)의 담수(痰水), 방광의 유음(留飮), 풍기(風氣)에 의한 습비(濕痺), 피간(皮間)의 사육(死肉), 목중(目中)의 치멸(眵
img1.jpg)을 제거하고 대장(大腸)을 이롭게 하며 핼액 순환을 촉진시키고 색택(色澤)을 보익한다."

3, <약성론>: "늑협(肋脇)의 기(氣)를 다스리고 한열(寒熱)에 의한 수종을 내리며 방광의 숙수(宿水)를 치료하고 대복(大腹)을 치료하며 식욕을 돋구고 구역질이 나서 음식을 먹지 못하는 증상을 치료한다."

4, <일화자제가본초>: "시력을 아주 좋게 하고 두풍(頭風)을 치료하며 혈액 순환을 촉진시킨다."

5, <탕액본초>: "발한 토하(吐下) 후의 심하부(心下部)의 비(痞)와 애기(
氣: 트림)가 없어지지 않을 때에 사용하면 좋다."

6, <전남본초>: "두목(頭目)의 제풍한사(諸風寒邪)를 제거하고 태양(太陽)과 양명(陽明)의 두통을 멎게 하며 양명(陽明)의 유즙 불통을 소통시킨다. 유선암, 급성 유선염, 동통을 동반하는 홍종(紅腫), 폭적화안(暴赤火眼), 동통을 동반하는 목질(目疾)을 치료하고 풍을 제거하여 시력을 아주 좋게 하며 눈이 은삽(隱澀)하여 빛에 견딜 수 없는 증상, 상풍한열(傷風寒熱)로 해수가 있어 매우 끈적거리는 담(痰)이 오랫동안 나오는 증상을 치료한다. 경락에 들어가며 면한(面寒), 복통을 멎게 하고 소변이 잘 나오게 하며 단복창(單腹脹) 즉 협복(脇腹)의 창만, 풍화(風火)에 의해 치근이 붓고 아픈 증상을 치료한다."

7, <의학입문>: "수(水)를 제거하고 담(痰)을 삭이며 구일(嘔噎)을 멎게 한다."

8, <남경민간약초>: "꽃과 싹은 습을 제거하고 독을 뽑아내며 부은 것을 내리게 한다. 달인 물로 환부를 씻는다."

<줄기와 잎>

산풍한(散風寒), 화담음(化痰飮), 소종독(消腫毒)하는 효능이 있다. 풍한사(風寒邪)가 폐에 침범하여 생긴 해수, 복음담천(伏飮痰喘), 옆구리가 그득하게 불러 오르면서 아픈 증상, 정창(疔瘡), 종독을 치료한다.

1, <일화자제가본초>: "금속성의 칼이나 창, 화살 따위에 입은 상처로 인한 출혈을 멎게 한다."

2, <본초강목>: "종기와 종독을 치료한다."

3, <분류초약성>: "쌀뜨물에 타서 복용하면 소아 염해(鹽咳), 염후(鹽吼)을 치료한다."

4, <천보본초>: "청폐제열(淸肺除熱), 산한거화(散寒去火)한다. 구토, 천식, 해수, 코피를 치료하고 개규통림(開竅通淋)한다."

5, <남경민간초약>: "새로 돋은 줄기는 습기를 제거하고 독을 빼내며 부기를 가라앉히고 발산(發散)시키는 효능이 있다."

6, <사천중약지>: "기침을 멎게하고 가래를 삭이며 숨을 가라앉히고 제음(除飮)하는 효능이 있다. 심비복음(心脾伏飮), 옆구리가 그득하게 불러오르면서 아픈 증상, 폐속에 가래가 옹결되어 있는 병증, 침이 아교와 같이 끈적끈적하고 옻과 같이 검은 증상, 유주성 관절풍습통을 치료한다."

7, <섬서중초약>: "근육을 풀고 혈액 순환을 촉진하는 효능이 있다."

<뿌리>


1, <명의별록>: "풍습을 다스린다."

2, <강소식약지>: "도상(刀傷), 정창(疔瘡)을 치료한다. 달여서 복용하면 천식, 기침을 멈추게 한다."

[용법과 용량]


<꽃봉오리>

내복: 1.5~3돈을 물로 달이거나(싸서 달이거나 문질러서 털을 제거한다) 환을 짓거나 가루내어 복용한다.

외용: 달인 물로 씻거나 가루내어 살포하거나 개어서 붙인다.

<줄기와 잎>


내복: 5.55~11.1g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또는 신선한 것을 짓찧은 즙을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 아픈 곳에 바르거나 달인 물로 아픈 곳을 씻는다.

<뿌리>


내복: 3~5돈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외용: 찧어서 붙인다.

[배합(配合)과 금기(禁忌:
주의사항)]


<꽃봉오리>

1, <본초연의보유>: "허(虛)한 사람은 많이 복용하면 안 되고 대장(大腸)을 활(滑)하게 하기 때문에 조심하여야 한다."

2, <본초봉원>: "음허(陰虛)에 의한 노수(勞嗽), 풍열(風熱)에 의한 조해(燥咳)가 있는 사람은 오용하면 안 된다."

<줄기와 잎>


<사천중약지>: "음허노해(陰虛勞咳) 즉 음허폐결핵(陰虛肺結核)의 환자 및 습열사(濕熱邪)의 침범으로 인해 생긴 마른 기침이 있는 경우에는 복용을 삼가한다."


금불초의 효능에 대해서 배기환의
<한국의 약용식물> 508면 643호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
금불초[Inula britannica L. var. japonica (Thunb.) Fr. et Sav.] [국화과]

여러해살이풀. 높이 20~60cm. 꽃은 황색으로 7-9월에 핀다. 열매는 수과로 길이 1mm 가량이다.

분포/
습지나 물가에서 자라며, 일본, 만주, 중국, 대만, 아무르, 우수리에 분포한다.

약효/
꽃을 선복화(旋覆花)라고 하며, 소담(消痰), 하기, 연견(軟堅), 행수(行水)의 효능이 있다. 흉중담결(胸中痰結), 협하창만(脇下脹滿), 해천(咳喘), 심하부비경(心下部痺硬), 수종을 치료한다.

지상부를 금불초(金佛草)라고 하며, 산풍한(散風寒), 화담음(化痰飮), 소종독의 효능이 있고, 풍한해수, 협하창통, 종독을 치료료한다.

성분/
지상부에는 sesquiterpene lactone인 britanin, inulicin, 꽃에는 quercetin, isoquercetin, taraxasterol 등이 함유되어 있다.

약리작용/
뿌리 및 지상부의 ether 분획물은 황색포도상구균에 대하여 항균 작용이 있으며 또 중추 신경 훙분 작용이 있다.

사용법/
꽃 및 지상부 15g에 물 700mL를 넣고 달인 액을 반으로 나누어 아침 저녁으로 복용하고, 외용에는 짓찧어 환부에 바른다.]

금불초의 효능에 대해서 중국에서 펴낸 <중국본초도록> 제 7권 168면 3378호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대화선복화(大花旋覆花)

기원: 국과(菊科=국화과: Compositae)식물인 구아선복화(歐亞旋覆花=금불초: Inula britannica L.)의 화서(花序)이다.

형태: 다년생 초본으로 높이는 20∼70cm이다. 줄기는 직립하며 분지가 적고 긴 유모(柔毛)가 있다. 잎은 장원형(長圓形) 이거나 타원상(橢圓狀) 피침형(披針形)이며 엽저는 넓고 크며 심장저(心臟底)이나 간혹 이(耳)가 있으며 줄기를 반쯤 감싸고 선점(腺點)이 있다. 두상화서(頭狀花序) 1∼8개가 정생(頂生)하여 산방상(傘房狀)을 이루고 직경이 3∼5cm이며, 총포편(總苞片)은 4층이고, 설상화(舌狀花)는 황색(黃色)이며 설편(舌片)은 길이 1∼2cm의 넓은 선형(線形)이고, 통상화(筒狀花)는 황색(黃色)이고 길이가 약 5mm이다. 열매는 수과(瘦果)로 얕은 홈이 나있고, 관모(冠毛)는 1층이고 백색(白色)이다.



분포: 시냇가, 밭주변, 산야에서 자란다. 중국의 동북(東北), 화북(華北), 신강(新疆), 청해(靑海)에 분포한다.

채취 및 제법: 여름과 가을사이에 막 개방되려는 화서(花序)를 채취하여 햇볕에 말린다.

성분: 지상부분(地上部分)-britanin, inulicine. 꽃(花)-quercetin, caffeicacid, tararasterol.

기미: 맛은 쓰고 맵고 짜며 성질은 약간 따뜻하다.

효능: 소담(消痰), 강기(降氣), 지구(止嘔), 행수(行水).

주치: 흉중담결(胸中痰結), 협하창만(脇下脹滿), 해천(咳喘), 애역(呃逆), 풍한해수(風寒咳嗽), 수종(水腫).

용량: 3∼9g.

참고문헌: 중약대사전, 하권, 4608호 ; 약전(藥典), 1권, 280면.]

금불초로 질병을 치료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


<꽃봉오리>


1, 상한(傷寒)으로 중완(中脘)에 담(痰)이 있고 장열(壯熱)이 있으며 뒷덜미의 근육이 뻣뻣해지고 자주 한열(寒熱)이 나는 증상인 상풍(傷風)과 비슷하지만 두통은 일으키지 않는 증상전호(前胡) 3냥, 형개(荊芥) 4냥, 씻어서 강즙(薑汁)에 담근 반하(半夏) 1냥, 적작약(赤芍藥) 2냥, 세신(細辛) 1냥, 자감초(炙甘草) 1냥, 금불초 꽃봉오리 3냥을 찧어 고운 체에 쳐서 가루내어 한번에 2돈을 물 한 컵, 생강 5조각, 대추씨 한 개와 함께 6할이 될 때까지 달여 찌꺼기를 제거한 다음 열복(熱服)한다. 효과가 나타날 때까지 계속 한다. [유증활인서(類證活人書), 금비초산(金沸草散)]

2, 만성 상기(上氣)의 치료
꽃자루를 제거한 다음 약한 불에 쬐어 말린 금불초 꽃봉오리 1냥, 구워서 껍질과 종자를 제거한 조협(皁莢) 1냥 1푼, 썰어서 볶은 대황(大黃) 1냥 반을 찧어 고운 체에 쳐서 정제한 벌꿀로 벽오동 씨 크기의 환을 만들어 한 번에 10~15환씩 하루 3번 따끈한 물에 복용한다. [성제총록(聖濟總錄), 선복화환(旋覆花丸)]

3, 간착(肝着), 유산에 의한 누하(漏下)
금불초 꽃봉오리 3냥, 파 14줄기, 신강(新絳) 소량을 물 3되로 1되가 될 때까지 물로 달여 돈복한다. [금궤요략(金匱要略), 선복화탕(旋覆花湯)]

4, 담음(痰飮)이 흉격(胸膈)에 있고 구토가 멎지 않으며 심하부(心下部)에도 비경(痞硬)이 있는 증상
금불초 꽃봉오리, 반하(半夏), 복령(茯笭), 청피(靑皮)를 달여서 복용한다. [산과발몽(産科發蒙), 선복반하탕(旋覆半夏湯)]

5, 풍담(風痰)에 의한 구역으로 음식이 넘어가지 않고 두목(頭目)에 현기증이 나는 증상
금불초 꽃봉오리, 비파엽(枇杷葉), 천궁(川芎), 세신(細辛), 적복령(赤茯苓) 각 1돈, 전호(前胡) 1돈 5푼을 강(薑), 조(棗)와 함께 달여서 복용한다. [부인양방(婦人良方), 선복화탕(旋覆花湯)]6, 상한(傷寒)으로 발한하고 구토나 설사를 하며 나은 후에도 심하부(心下部)에 비경(痞硬)이 생겨 애의(噫氣: 트림)가 좀처럼 가라앉지 않는 증상금불초 꽃봉오리 3냥, 인삼 2냥, 생강 5냥, 대자석(代赭石) 2냥, 자감초(炙甘草) 3냥, 씻은 반하(半夏) 반 되, 쪼갠 대조(大棗) 12개를 물 한 말로 6되가 될 때까지 달여 찌꺼기를 버리고 다시 3되가 되게 달여 한 번에 한 되씩 하루 3번 온복한다. [상한론(傷寒論), 선복대자탕(旋覆代赭湯)]

7, 풍습에 의해 담음(痰飮)이 역상(逆上)하고 현기증이 있으며 얼굴이 부어 오르고 눈꼽이 끼는 증상금불초 꽃봉오리, 천마(天麻), 감국화(甘菊花) 각 같은 양을 가루내어 저녁마다 2돈씩 뜨거운 물로 복용한다. [본초휘언(本草彙言)]

8, 담음(痰飮)에 의한 유폐(留閉)로 소변 불통 증상
금불초 꽃봉오리 한 줌을 짓찧어 그 즙을 생백주(生白酒)와 섞어서 복용한다. [본초휘언(本草彙言)]

9, 복부 팽만
이어(鯉魚)의 내장을 제거한 다음 배에 금불초 꽃봉오리를 넣고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소변이 통하게 되면 복창(腹脹)은 제거된다. [전남본초(滇南本草)]

10, 풍화(風火)에 의한 치통
금불초 꽃봉오리를 가루내어 치근에 바르고 조금 지나면 침을 뱉어 버린다. 이렇게 하면 통증이 멎는다. [전남본초(滇南本草)]

11, 유방암, 급성 유선염
금불초 꽃봉오리 2돈, 포공영(蒲公英: 민들레) 1돈, 감초절(甘草節) 8푼, 백지(白芷) 1돈, 청피(靑皮) 1돈을 물로 달여서 수주(水酒)를 인경약으로 하여 복용한다. [전남본초(滇南本草)]

12, 월식이창(月蝕耳瘡)
금불초 꽃봉오리를 태워 갈아서 양지(羊脂)에 개어 환부에 바른다. [빈호집간방(瀕湖集簡方)]

<뿌리>


13, 단근(斷筋)의 치료

금불초 뿌리를 깨끗이 씻어 찧어서 창(瘡)의 크기에 따라 적당한 양을 붙인다. 치료될 때까지 하루에 한 번씩 바꾼다. [구급방(救急方)]

14, 얼굴이 차고 아픈 증상

금불초 뿌리와 수우육(水牛肉)을 함께 달여서 복용한다. [전남본초(
滇南本草)]


[<<금불초 세밀화 사진 출처: 중국 위키 백과 사전>>]

[금불초를 재배하는 방법]


1, 기후와 토양:
따스하고 습윤한 기후에 가장 적합하며 비옥한 사질 양토 혹은 부식질 양토가 좋다.

2, 정지:
파종 전에 가을에 갈아 놓고 그 때에 무(
)당 6,000~8,000근의 밑거름을 준다. 이듬해의 3월 하순에 한번 옅게 갈고 정지한 다음 너비 1~1.2m 되는 두둑을 만든다.

3, 번식:
① 종자번식: 이랑 사이 거리를 30cm로 하고 옅은 골을 파서 종자를 고르게 심고 흙을 엷게 덮어 약간 다진 다음 물을 준다. 무(
)당에 1.5~2근을 파종한다. 양지 바른 두둑에다 육모할 때에는 직파하는 것보다 10~15일쯤 먼저 심는다. 두둑을 평평하게 해서 대량의 물을 뿌려 물이 스며들면 심고 흙을 엷게 덮는다. 약 10~14일이면 모가 나오는데 유묘에서 진엽(眞葉)이 3~4잎이 나오면 이랑 사이 거리를 30cm, 포기 사이 거리는 15cm로 해서 이식한다.

② 분근 번식:
4월 중순~5월 상순에 한다. 이랑 사이 거리는 30cm, 포기 사이 거리는 15cm로 해서 구멍을 파고 모옆에 난 새 뿌리를 떼 내어 한 구멍에 2~3포기씩 뿌리를 파고 심어 흙을 덮고 다진 다음 물을 준다.

4, 경작 관리:
가물 때에는 제때에 물을 주어야 하고 또 무더운 날씨 혹은 큰 비가 온 다음에 땅이 굳어지면 수분의 증발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이갈이를 해주어야 한다. [중약대사전]

기 자료는 약초연구가로서 우리땅에 자라는 토종약초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고 질병으로 고통을 겪고 있는 환우들에게 희망을 주며 신약을 개발하는데 통찰력을 갖게하고 약초를 사랑하는 모든 사람에게 정보의 목적으로 공개하는 것임을 밝혀 둔다.

(글/ 약초연구가 & 동아대 & 신라대 대체의학 외래교수 전동명)

금불초 사진 감상: 1, 2, 3, 4, 5, 6, 7, 8, 9, 10, 네이버+구글+다음+일본구글+대만구글: 1, 2, 3, 4, 5,
문의 및 연락처: 010-2545-0777 ; 051-464-0307

홈주소: http://jdm0777.com

페이스북 주소: http://www.facebook.com/jdmsanyacho

이메일: jdm0777@naver.com


아래에 비슷한 식물도 함께 고려해 보시기 바랍니다.

 

 

  1. 금불초 무엇인가?
  2. 목향 무엇인가?
  3. 박하 무엇인가?
  4. 장미허브 무엇인가?
  5. 캐모마일 무엇인가?

 

 

※ 아래에 jdm 필자가 찍은 금불초 사진도 감상해 보시고 행복하시기 바랍니다~~~^^

 

 

홈페이지 주소 : http://jdm0777.com 클릭하시면 홈으로 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