깨풀 무엇인가?

들깨와 비슷하게 닮은풀 깨풀

 

 

 

 

 

 

 

 

 

 

[깨풀의 잎과 전초, 꽃, 열매, 종자의 모습, 사진출처: 일본/대만/한국 구글 이미지 검색]

▶ 항균작용, 살균작용, 살충, 지혈, 설사, 토혈, 세균성 하리, 장염, 아메바성 적리, 장티푸스, 호흡곤란, 기침, 천식, 해수, 각혈, 부골저누관, 단진, 습진, 젖부족, 자궁출혈, 소아복창, 고환종대, 소아감적, 뱀에 물린 상처, 외상출혈, 아메바성 이질, 피부염, 토혈, 비출혈, 변혈, 이질로 인한 타창을 다스리는 깨풀

깨풀은 대극과의 한해살이풀이다.

깨풀의 학명은 <Acalypha australis L.>이다. 높이는 30~50cm이다. 깨풀속은 열대와 온대에 약 30여종이 널리 분포되어 있으며, 우리나라에는 깨풀 1종이 자라고 있으며 간혹 솜털이 좀 더 많이 붙은 털깨풀이 발견되기도 한다.

잎은 어긋나고 달걀 모양 마름모형이거나 타원형이며 길이가 2.5~8cm,
줄기는 가지를 잘 치는 편이다. 너비가 1.5~3.5cm이고 선단은 점차 뾰족해진 모양이다. 기부는 쐐기 모양이고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으며 양면에 털이 있거나 거의 없다. 꽃은 단일하게 나고 자웅 동주(同珠)이다.

수상화서(穗狀花序)는 액생한다. 수꽃차례는 매우 짧아 길이가 2~10mm이고 작은 꽃떡잎 내에서 자란다. 꽃떡잎이 벌어지면 신장형으로서 길이가 1~2cm이고 오무라지면 조개와 흡사하며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고 기부는 심장형이다. 꽃받침은 4개로 갈라졌고 꽃잎은 없다. 수술은 8개이고 씨방은 3실이다. 삭과는 작고 삼각 모양의 반원형이며 거친 털로 덮여 있다. 잎 겨드랑이에서 나온 기다란 바늘 모양의 꽃이삭에 자잘한 수꽃이 달리며 그 밑에 갈색의 커다란 총포에 둘러싸인 암꽃이 모여서 핀다.
잎을 자르면 멀건 액이 나오며, 간혹 암꽃이 아래쪽은 물론 수꽃 위쪽에도 달리는 경우가 있다. 종자는 달걀 모양이며 길이 약 2mm이고 회갈색이다. 꽃은 5~9월에 피고 열매는 7~10월에 익는다.

들판이나 길가, 밭둑, 길 옆의 약간 습한 곳에서 자란다. 깨풀이란 이름은 '깨와 유사한 풀'이란 뜻에서 '깨풀'이라고 부르게 되었다. 크기가 약간 작지만은 실제 들깻잎과 잎이 비슷하게 생겼음을 볼 수 있다.

깨풀의 여러 가지 이름은
철현[莧=tiěxiàn=티에V시앤, 인현:人莧, 해방함주:海蚌含珠, 촬두촬금주:撮斗撮金珠: 식물명실도고(植物名實圖考)], 육합초[六合草, 반변주:半邊珠: 초목편방(草木便方)], 야황마[野黃麻: 천보본초(天寶本草)], 옥완봉진주[玉碗眞珠, 분두초:糞斗草: 복건민간초약(福建民間草藥)], 혈견수[血見愁: 안미약재(安微藥材)], 봉안초[鳳眼草: 약재자료휘편(藥材資料彙編)], 육초[肉草, 분수초:噴水草: 광서중수의약식(廣西中獸醫藥植)], 소이타초[小耳草, 대청초:大靑草: 강소식약지(江蘇植藥誌)], 묘안초[猫眼草, 현초:草: 남영시약물지(南寧市藥物誌)], 엽리장주[葉裏藏珠, 이질초:痢疾草: 강서민간초약(江西民間草藥)], 야마초[野麻草: 민남민간초약(南民間草藥)], 방각초[殼草, 철등완:鐵燈碗, 통통초:筒筒草: 사천중약지(四川中藥誌)], 칠잔등[七盞燈: 중경초약(重慶草藥)], 혈포대[血布袋, 포대구:布袋口: 중국약식도감(中國藥植圖鑑)], 피촬진주[皮撮珍珠, 진주초:珍珠草, 표리진주:瓢裏珍珠, 전라초:田螺草, 해저장진주:海低藏珍珠: 호남약물지(湖南藥物誌)], 장주초[藏珠草: 광동중약(廣東中藥)], 야육마[野六麻, 야고마:野苦麻: 민동본초(東本草)], 묘안채[猫眼菜: 광주민간(廣州民間) 상용중초약수책(常用中草藥手冊)], 촬두진주[撮斗珍珠: 강서초약(江西草藥)], 형화충초[螢火蟲草: 야면화:野綿花, 한열초:寒熱草: 상해상용중초약(上海常用中草藥)], 엽하쌍도[葉下雙桃, 엽리선도:葉裏仙桃, 금분두:金斗, 야락마:野絡麻, 노서이타초:老鼠耳草, 금반야현채:金盤野菜: 절강민간상용초약(浙江民間常用草藥)], 함주초[含珠草: 광서중초약(廣西中草藥)], 사관초[沙罐草: 섬서중초약(陝西中草藥)], 등잔와[燈盞窩, 초방함주:草含珠: 귀주초약(貴州草藥)], 산황마[山黃麻: 복건중초약(福建中草藥)], 마자초[麻子草: 광동(廣東), 의약과지동태(醫藥科枝動態)], 에노키구사[エノキグサ=榎草: 일문명(日文名)], 깨풀, 들깨풀 등으로 부른다.

[채취]


<중약대사전>: "5~7월에 채취하여 흙을 떨어뜨린 후 햇볕에 말린다."

[성분]


<중약대사전>: "전초에는 alkaloids, glycosides, 환원성 당류 또는 기타의 환운성 물질, 탄닌질, 전분, 유지 또는 납(蠟) 등이 함유되어 있다."

[약리작용]


<중약대사전>: "깨풀의 탕액은 체외에서 흔히 보는 몇 개 이질균(Bacillus dysenteriae)에 대하여 항균 작용이 있다. 특히 바실리우스 이질균(Bacillus dysenteriae)에 대하여 효과가 좋다(시험관 내 2배 희석법). 희석도가 1:256일 때 항균 작용이 있을 뿐만 아니라 살균 작용도 있다. 슈미트균과 후랙스너균에 대한 작용이 약간 떨어지며 존네균에 대한 효과가 가장 떨어진다. 깨풀로 만든 편제(片劑)도 체외에서 마찬가지로 항적이균 효과가 있다. 50% 깨풀 탕제는 체외에서 황금색 포도상 구균, 콜레라균, 탄저간균, 슈미트균에 대하여 같지 않은 정도의 항균 작용이 있다(한천평판법:寒天平板法). 깨풀의 뿌리, 줄기, 잎에도 모두 항균 성분이 함유되어 있으나 세균의 종류와 식물의 부분에 따라 항균 효력이 다소 차이가 있다. 깨풀의 알코올 추출물도 같은 항균 작용이 있다."

[맛과 성질]


1, <중약대사전>: "맛은 쓰고 떫으며 성질은 평하다."

2, <본초편방>: "맛은 맵다."

3, <복건민간초약>: "맛은 약간 쓰고 떫으며 성질은 평하다."

4, <광서중약지>: "맛은 싱겁고 떫으며 성질은 평하다."

5, <하북중약수책>: "성질은 서늘하며 맛은 약간 달고 쓰다."

[귀경]


<천주본초>: "심장(心臟), 폐(肺), 대소장경(大小腸經)으로 들어간다."

[약효와 주된 치료]


1, <중약대사전>: "열을 내리고 소변이 잘 나오게 하며 살충, 지혈한다. 이질, 설사, 해수, 토혈, 변혈, 자궁 출혈, 감적(疳積), 복창(腹脹), 피부염, 습진(濕疹), 외상 출혈 등을 치료한다."

2, <식물명실도고>: "도창(刀創)의 좋은 약이다."

3, <초목편방>: "설사, 이질을 멎게 하고 허열(虛熱), 치통, 볼의 부종, 대소변의 열결(熱結)을 치료한다."

4, <천보본초>: "소변이 잘 나오게 하고 통림(通淋)하며 소장(小腸)에 들어간다. 적리(赤痢)는 술로 복용하고 백리(白痢)는 달여서 차처럼 복용한다."

5, <사천중약지>: "열을 내리고 대소변을 배출시킨다. 복사(腹瀉), 이질로 인한 복통, 음식물이 소화되지 않고 복부가 팽창되는 증상을 치료한다."

6, <본초추진>: "지혈한다. 토혈, 하혈, 칼에 다친 상처, 타박상에 쓴다."

7, <중국약식도감>: "신선한 것을 짓찧어 붙이면 피부병을 치료하고 달여서 복용하면 기침을 멎게 하며 폐병을 치료한다."

[배합과
주의사항]

<육천본초>: "임신부는 사용을 금하며 노약하고 기허(氣虛)한 사람은 적게 쓰는 것이 좋다."

[사용방법과 용량]


<중약대사전>: "내복: 하루 3~5돈(신선한 것은 1~2냥)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 붙인다."

깨풀의 효능에 대해 북한에서 펴낸
<약초의 성분과 이용>에서는 이렇게 기록하고 있다.

[깨풀(Acalypha australis L.)

식물: 높이 약 30cm 되는 한해살이풀이다. 잎은 달걀 모양으로 어긋나게 붙는다. 꽃은 작고 이삭처럼 모여 핀다.

각지의 밭둑, 길가, 집주변에서 널리 자란다.

성분: 전초에 알칼로이드, 플라보노이드가 있다.

응용: 민간에서 전초를 피멎이약, 염증약, 오줌내기약으로 장염, 이질, 세균성 적리, 아메바적리, 토혈, 피똥, 자궁출혈에 달여 먹으며 피부염, 습진에 달인물로 씻는다. 30~60g을 물로 달여서 먹는다.

달인액을 졸여서 알약(전초 1g)을 만들어 급성세균성 적리와 대장염에 3~6알씩 하루 3번 먹는다.

민간에서 전초를 토혈, 상처, 종창 등에 피멎이약, 살균약, 독풀이약으로 쓴다.
]

깨풀로 질병을 치료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

1, 세균성 하리, 장염
(임상보고)
깨풀은 수렴, 소염, 억균하고 장 점막을 보호하는 작용이 있고 나쁜 부작용이 없기에 임상에서 넓게 응용된다. 수십 예 혹은 1000례 이상의 관찰을 거친 결과 평균 치유율이 95% 이상에 달했다. 일반적으로 사용한 후 2~3일이면 증상이 억제되며 대부분이 4~5일이면 검편(檢便)의 결과가 음성으로 전변된다.

용법: 신선한 전초 100~230g, 마른 것은 25~100g을 잘게 썰어 달인 후 매일 2~3번씩 복용한다. 또는 햇볕에 말려 가루내어 한 번에 1돈씩 하루에 세 번 복용한다. 정제로 만들어 한 번에 4환씩(1환이 0.4g) 하루에 4번 먹되 모두 5~7일을 1치료 기간으로 한다. 탕액으로 관장(灌腸)도 한다. 중독성 세균성 이질은 병증에 따라 종합적으로 치료해야 한다. [중약대사전(中藥大辭典)]

2, 아메바성 적리(赤痢)
(임상보고)
27례의 게통적 관찰을 거쳐 약을 쓴 후 2~6일(평균 3.75일)이면 증상이 모두 없어지며 2~9일(평균 5.2일)이면 검변 결과가 음성으로 전변된다. 다른 보도에 의하면 110례에서 뚜렷한 효력을 나타내었다.

용법: 전초(마른것) 50~100g을 물로 달여서 하루에 두 번씩 복용한다. 5~10일을 1치료 기간으로 한다. [중약대사전(中藥大辭典)]

3, 장티푸스
(임상보고)
매일 깨풀 신선한 전초 100g을 달여서 200ml로 한 후 두 번에 나누어 복용한다. 증상에 따라 소산호(消山虎: 국화과 Vernonia cinera {L.} Less.) 건조품을 한번에 20~50g씩 가하여 달여서 복용하면 해열 작용에 좋다. [중약대사전(中藥大辭典)]

4, 이질로 인한 타창(墮脹)

깨풀, 진사초(辰砂草), 과로황(過路黃)을 달여서 복용한다. [사천중약지(四川中藥誌)]

5, 장염, 이질, 토혈, 비출혈, 변혈, 해수, 호흡곤란

마른 깨풀 1~2냥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광주민간(廣州民間), 상용중초약수책(常用中草藥手冊)]

6, 피부염, 습진

깨풀의 달인 물로 씻는다. [광주민간(廣州民間), 상용중초약수책(常用中草藥手冊)]

7, 아메바성 이질

신선한 깨풀의 뿌리, 신선한 봉미초(鳳尾草)의 뿌리 각 1냥, 복통(腹痛)의 경우엔 신선한 남과등(南瓜藤)의 권수(捲鬚) 5돈을 넣고 달여서 농즙을 만든 후 아침과 저녁 공복에 복용한다. [강서초약(江西草藥)]

8, 외상출혈(外傷出血)

신선한 깨풀 적당량에 흰설탕을 조금 넣고 짓찧어 붙인다. [강서초약(江西草藥)]

9, 뱀에 물린 상처

깨풀, 반변련(半邊蓮), 대청엽(大靑葉) 각 1냥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강서초약(江西草藥)]

10, 타박상

깨풀 6돈~1냥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상해상용중초약(上海常用中草藥)]

11, 소아감적(小兒疳積)

신선한 깨풀의 잎 1냥에 돼지간을 넣고 달여서 탕액을 복용한다. [절강민간상용초약(浙江民間常用草藥)]

12, 소아복창(小兒腹脹), 고환종대(睾丸腫大)

신선한 깨풀잎 1~2냥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절강민간상용초약(浙江民間常用草藥)]

13, 자궁출혈

신선한 깨풀잎 1~2냥을 짓찧은 즙 또는 탕액을 복용한다. [동북상용중초약수책(東北常用中草藥手冊)]

14, 젖부족

신선한 깨풀잎 5돈~1냥 또는 마른 것 2~3돈을 달인 액에 물고기를 넣고 끓여서 복용한다. [동북상용중초약수책(東北常用中草藥手冊)]

15, 단진(丹疹: 단독:丹毒의 발진:發疹), 습진

깨풀을 짓찧어 즙을 짜서 환부를 닦는다. [귀주초약(貴州草藥)]

16, 천식, 각혈

깨풀 2냥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귀주초약(貴州草藥)]

17, 부골저루관(附骨疽瘻管)

마른 깨풀잎 2~3냥, 마른 뿌리줄기 2냥을 술과 물로 달여 복용한다. [복건중초약(福建中草藥)]

깨풀이 고대로부터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워 왔다는 것은 그만큼 약초의 효능이 체험을 통해서 실용적으로 쓰여왔다는 것을 말없이 증명해주고 있다. 시골에서는 봄철에 어린잎은 나물로 먹는데, 잎을 씹어 보면 향긋한 맛이 난다.

깨풀은 그리 크지도 않고 실제 깻잎보다 작은 풀로서 사람들의 주의를 끌지 못하는 잡초에 속하는 식물이다. 하지만 평범한 식물이 갖고 있는 효능은 대단히 탁월함을 볼 수 있다. 하찮은 풀 한포기라도 중요한 의미를 담고 있으므로 귀하게 잘 살펴보고 깊이 연구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상기 자료는 약초연구가로서 지구상에 존재하는 천연물질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고 질병으로 고통을 겪고 있는 환우들에게 희망을 주며 신약을 개발하는데 통찰력을 갖게하고 약초를 사랑하는 모든 사람에게 정보의 목적으로 공개하는 것임을 밝혀 둔다.  

(글/ 약초연구가 & 동아대 & 신라대 대체의학 외래교수 전동명)

깨풀 사진 감상: 1, 2, 3, 4, 5, 6, 네이버+구글+다음+일본구글+대만구글: 1, 2, 3, 4, 5,

풀 상세 사진 웹사이트: 1,

문의 및 연락처: 010-2545-0777 ; 051-464-0307

홈주소: http://jdm0777.com

페이스북 주소: http://www.facebook.com/jdmsanyacho

이메일: jdm0777@naver.com


 

 

※ 아래에 jdm 필자가 찍은 깨풀 사진도 감상해 보시고 행복하시기 바랍니다~~~^.^

 

 

홈페이지 주소 : http://jdm0777.com 클릭하시면 홈으로 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