꽃댕강나무(대화나미조) 무엇인가?

5~11월까지 긴 기간 강한 향기가 나면서 작은꽃을 피우는 꽃댕강나무

 

 

 

 

 

 

 

 

 

 

 

 

img1.jpg

 

 

[꽃댕강나무의 새싹, 잎, 잎 앞면과 뒷면, 꽃봉오리, 만개한 꽃, 꽃 확대, 나무 줄기, 열매, 열매 확대, 종자의 모습, 사진출처: 일본/대만/한국 구글 이미지 검색]

▶ 소종해독작용, 청열해독, 양혈지혈, 거풍제습, 타박상, 유행성이하선염(볼거리, 항아리손님), 식용(봄나물용), 관상용, 소아구강파궤, 아통, 두통을 다스리는 꽃댕강나무

꽃댕강나무는 피자식물문 쌍자엽식물강 산토끼꽃목 인동과 댕강나무속의 반성록성 활엽 관목 즉 반늘푸른 떨기나무이다.

꽃댕강나무의 학명은 <Abelia x grandiflora (Rovelli ex Andre) Rehder 2006>이다. 중국산 댕강나무 사이에서 원예종으로 중국의 <나미조(糯米条: Abelia chinensis R. Br.)>×통경화(蓪梗花: Abelia engleriana (Graebn.) Rehd.)>의 잡종육성된 중간 잡종이며, 1930년경 일본으로부터 우리나라에 도입되었다. 잎은 마주나기하며 달걀형이고 둔두 또는 예두이며 길이 2.5~4cm로 가장자리는 뭉툭한 톱니가 있다. 꽃은 6~11월에 피고 연한 분홍색 또는 흰색이며 종모양으로 길이 2cm이다. 꽃부리는 길이 12~17mm이고, 원뿔모양꽃차례로 꽃받침조각조각은 2~5장이고 길이는 10mm로 붉은 갈색이고 수술은 4개이고 암술은 1개이다. 열매는 4개의 날개가 달려 있고 대부분 성숙치 않는다. 수피는 원줄기에 6줄의 홈이 있고, 가지는 붉은빛이 돌며 털이 없다.

생육환경은 내한성이 약한 편이어서 중부지방은 온실, 중부 이남은 노지 재배가 가능하다. 내공해성과 내조성, 맹아력이 강하며 토심이 깊고 비옥적윤한 토양에서 생장이 양호하다. 번식방법은 꺾꽂이에 의해서만 가능하며 봄부터 가을까지 새로 자란 가지로 증식시킬 수 있다. 이용방안은 잎이 반상록으로 봄부터 초겨울까지 감상할 수 있고, 하얀꽃과 연분홍색 꽃이 5월부터 11월까지 계속하여 피므로 은은한 향기와 아름다운 꽃의 색감에서 친근감을 느낄 수 있다. 공해에 강하기 때문에 도로변의 조경수와 관상용, 생울타리와 학교나 공공건물의 진입로 유도식재로 좋은 소재이다. 꽃댕강나무의 꽃말은 <평안함>이다.

참고로 댕강나무 이름의 유래는 마른 가지를 부러뜨리면 댕강소리가 난다고 하여 댕강나무라고 한다. 댕강나무의 학명은 <Abelia mosanensis T. CHUNG.>이다. 평안남도 맹산과 성천지역에서 자라며 서울 근처에서도 잘 자라는 특산종이다. 종명 mosanensis는 원산지가 맹산이란 뜻이다. 댕강나무는 평남 맹산에 자생하는데 처음 발견한 정태현 박사가 이 종을 기재할 당시는 일정 치하로 안타깝게도 맹산의 일본식 발음을 따서 종명으로 하였던 것이다. 높이는 5m까지 자라며 밑에서 많은 줄기와 가지를 내어 둥근 모양을 이루는 나무이다. 새로 자란 가지는 붉은 것이 특징이고, 줄기에는 6줄의 홈이 패어 있다. 잎은 길이 37로서 마주 나는데 가장자리와 맥상(脈狀)에 잔털이 있다.

꽃은 연한 분홍색으로 5월에 핀다. 석회암지대의 건조한 바위 사이에 자생한다. 봄에 나는 새잎과 순은 나물로 식용한다. 꽃의 향기가 좋아 정원수로도 좋다. 종자로 번식시키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여 새로 자란 가지를 꺾꽂이하여 번식시킨다.

꽃댕강나무의 여러 가지 이름은 대화나미조[大花糯米条=dà huā nuò mǐ tiáo=후아누오V탸오, 대화육도목:大花六道木: 백도백과(百度百科)], 하나츠쿠바네우츠기[ハナツクバネウツギ, 아베리아:アベリア=Abelia, 하나조노츠쿠바네우츠기:ハナゾノツクバネウツギ: 일문명(日文名)], glossy abelia.[영명(英名)], 아벨리아 그랜디플로라[Abelia grandiflora], 꽃댕강나무, 중국댕강나무, 꽃댕강이, 왜댕강이 등으로 부른다.

꽃댕강나무에 대해서 윤폅섭의 <한국원예식물도감> 233-234& <한국의 화훼원예식물> 190면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아벨리아 그랜디플로라(꽃댕강나무)

Abelia R. Br.: 아벨리아 속()

인동과(Caprifoliaceae)

속명의 Abelia는 영국의 의사로 중국에 와 있는 Clark Abel(1780~1826)박사의 이름에서 비롯되었다. 원산지는 북반구에 약 30종이 나며, 한국에도 7종이 난다.

학명: Abelia grandiflora (André) Rehd
영명: Glossy Abelia.
일명: ハナツクバネ

원산지: 중국 원산종의 원예 교배종형태상의 특징: Abelia chinensis Abelia uniflora의 교배종으로 본 속 가운데 대표적인 원예종이다. 높이는 1.5~2 m 정도 자라는 반 상록성 관목으로 잎은 대생 즉 마주나며 난형이다. 잎 길이는 2~4 cm, 폭은 1~2cm 로 광택이 있다. 꽃은 정생하는데 원추화서로 약 2cm 정도 길고 꽃잎 끝은 5 갈래로 갈라져 있으며 향기가 난다. 꽃은 흰색을 띤 분홍색이 나고 7~9월에 개화한다. 정원이나 울타리용, 절화용으로 이용된다.

grandiflora<큰꽃>이라는 뜻.

원예종에는 노란잎 아벨리아(Abelia grandiflora Rehd. 'Aureo')가 있디.

[
재배 및 관리법]

일조와 온도: 광선을 요하며 5이상에서 월동하고 16~25에서 잘 생육한다. 또한 환기를 요한다.

햇빛: 노지에서 충분한 광선을 요한다.

관수: 보통으로 관수한다.

습도: 노지의 보통 습도에서 잘 자란다.

배양토: 정원에 심어 관상한다. 화분에 심을 때에는 밭흙, 부엽, 모래를 5:3:2의 비율로 혼합한다.

번식: 실생과 삽목으로 번식한다.]

댕강나무의 효능은 댕강나무 종류들이 독성이 없고 대부분 봄철 햇잎을 나물로 먹는 것과 같이 중국의 아래의 꽃댕강나무를 교배하기 전의 두 종류의 효능과 마찬가지로 함께 약용으로 활용하는 것이 합리적일 것으로 사료된다.

꽃댕강나무를 원예종으로 교배하기 전의 원종인 나미조의 효능에 대해서 중국의 <백도백과(百度百科)>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나미조(糯米条)

학명(學名): Abelia chinensis R. Br.

[주요가치(主要价值)]

약용(药用)

(): 用于아통(牙痛)(), (): 청열해독(清热解毒)양혈지혈(凉血止血)用于질타손상(跌打损伤=타박상)자시[痄腮=유행성 이하선염(볼거리. 항아리 손님)]소아구강파궤(小儿口腔破溃)(): 用于두통(头痛)아통(牙痛).]

꽃댕강나무를 교배하기 전의 또 다른  원종인 통경화의 효능에 대해서 중국의 <백도백과(百度百科)>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통경화(蓪梗花)

학명(學名): Abelia engleriana (Graebn.) Rehd.

[주요가치(主要價值)]

1, 약용(藥用): 蓪梗花的()()()()과실(果實)具有거풍제습(祛風除濕)소종해독적작용(消腫解毒的作用)

2, 식용(食用): 嫩葉含有豐富的膠質用熱水浸提可形成膠凍涼粉),是一種別致的산야채(山野菜)在中國漢中市寧強鎮巴留壩西鄉洋縣佛坪等地都有制作“신선두부(神仙豆腐)的習慣已成爲當地的有名小吃

3, 관상(觀賞): 蓪梗花是典型的溫帶地區觀賞植物.]

[우리나라에 자라는 댕강나무 종류 및 외래종]


1, 댕강나무[학명:
Abelia mosanensis T.H.Chung ex Nakai]

2, 줄댕강나무[학명:
Abelia tyaihyoni Chung ex Nakai = Zabelia tyaihyoni (Chung ex Nakai) Hisauti & H. Hara]

3, 주걱댕강나무[학명:
Abelia spathulata Siebold & Zucc.=경남 양산 천성산]

4, 털댕강나무[학명:
Abelia biflora]

5, 섬댕강나무[학명:
Abelia insularis NAKAI]

6, 긴털댕강나무[학명:
Zabelia densipila M.-P. Hong, Y.-C. Kim & B.Y. Lee]

7, 바위댕강나무[학명:
Abelia integrifolia Koidz.]

8, 꽃댕강나무-1[
Abelia x grandiflora (Rovelli ex Andre) Rehder 2006]

9, 꽃댕강나무-2-
선라이즈[Abelia grandiflora 'Sunrise'-잎가에 미색 내지 황색 무늬가 있는 종]

10, 꽃댕강나무-3-
스헤르워오디[Abelia grandiflora 'Sherwoodii'-담홍색 꽃을 피우는 종]

11, 꽃댕강나무-4-
콘티[Abelia grandiflora 'Conti'-잎가에 미색 무늬가 있는 종]

12, 꽃댕강나무-5-
프랜시스 메이슨[Abelia grandiflora 'Francis Mason'-잎가가 황색인 종]

13, 꽃댕강나무-6-에드워드 가우처
[Abelia × grandiflora 'Edward Goucher'-분홍색-주걱댕강나무꽃 닮은 종]

14, 꽃댕강나무-7-나나
[Abelia × grandiflora 'Nana'-소형의 흰꽃이 피는 종]

15, 꽃댕강나무-8-콘페티
[Abelia × grandiflora 'Confetti'-소형, 잎이 연분홍~ 흰색 반점, 새싹이 홍색인 종]

16, 꽃댕강나무-9-카라이다스코오프
[Abelia × grandiflora 'Kaleidoscope'-잎이 노랑색 반점, 새잎은 붉은색을 띠는 담홍화의 종]

17, 꽃댕강나무-10-호플리이즈[Abelia × grandiflora 'Hopleys'-소형, 잎이 노랑색 반점, 백화의 종]

18, 꽃댕강나무-11-베리게이툼[Abelia × grandiflora 'Variegatum'-잎이 흰색 반점의 종]

19, 꽃댕강나무-12-잭포토[Abelia × grandiflora 'Jackpot'-잎이 담황색 반점, 담홍꽃의 종]

20
, 꽃댕강나무-13-로즈크리[Abelia × grandiflora 'Rose Cree'-소형, 동그란 꽃차례, 꽃잎이 장미 핑크색, 백화의종]

꽃댕강나무가 남부지방에서는 공원이나 도심지 가로수로 많이 심겨져 있다. 봄부터 가을까지 작은꽃이 오랫동안 피는 모습도 아름답고 강렬한 향기는 코를 자극한다. 잎도 작고 꽃도 작으며 키도 작아서 앙증맞은 모습이 보기가 좋다. 공해에도 강해서 많이 대도시 도로가에 많이 심겨지고 있다.

약용부위도 위의 기록처럼 뿌리와 가지, 잎, 꽃 모두 활용할 수 있어 청정지역에서 지배하여 가꾸면 허브차로 인기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상기 자료는 약초연구가로서 우리땅에 존재하는 천연물질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고 질병으로 고통을 겪고 있는 환우들에게 희망을 주며 신약을 개발하는데 통찰력을 갖게하고 약초를 사랑하는 모든 사람에게 정보의 목적으로 공개하는 것임을 밝혀 둔다.  

(글/ 약초연구가 & 동아대 & 신라대 대체의학 외래교수 전동명)

꽃댕강나무 사진 및 감상: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꽃댕강나무-선라이즈15, 꽃댕강나무-선라이즈16, 네이버+구글+다음+일본구글+대만구글: 1, 2, 3, 4, 5,

꽃댕강나무 상세 사진 웹사이트: 1, 2, 3, 4, 5,

문의 및 연락처: 010-2545-0777 ; 051-464-0307

홈주소: http://jdm0777.com ; http://www.eherb.kr

페이스북 주소: http://www.facebook.com/jdmsanyacho

이메일: jdm0777@naver.com ;
jdm0777@hanmail.net

아래의 비슷한 식물도 함께 참조해 보시기 바랍니다.

 

 

  1. 꽃댕강나무 무엇인가?
  2. 주걱댕강나무 무엇인가?

 

 

※ 아래에 jdm 필자가 찍은 꽃댕강나무/꽃댕강나무-선라이즈 사진도 감상해 보시고 행복하시기 바랍니다~~~^.^

 
















 <위의 2장의 사진은 원예종으로 개발된 꽃댕강나무-선라이즈의 모습>

 

홈페이지 주소 : http://jdm0777.com 클릭하시면 홈으로 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