으아리(위령선) 무엇인가?

성질이 맹렬하고 효력이 대단히 빠른 위령선

 

 

 

 

 

 

 

 

 

 

[으아리의 잎, 꽃봉오리, 꽃, 열매의 모습, 사진출처: 일본/대만/한국 구글 이미지 검색]

▶ 순환계통에 대한 작용, 평활근에 대한 작용, 항이뇨작용, 혈당 저하작용, 중추신경 특히 호흡중추 흥분작용, 진통작용, 수증기 증류액은 마비회복작용, 풍습비증, 허리와 무릎이 아픈 데, 사지마비[수족마미=손발마비], 수족 마비, 때에 따라 동통이 발생하는 경우, 타박손상, 아파서 견딜 수 없을 경우 또는 탄탄(중풍)한 경우, 중풍수족불수, 안면 신경 마비, 근골 관절의 제풍, 요슬 동통, 상한 두통, 비류청체, 피부 풍양, 나력, 치질, 대소장비, 부인 무월경, 신장풍옹, 요슬침중, 만성 요각 동통, 각기입복, 창민천기, 학질, 일색격기, 정담숙음, 천해구역, 전혀 먹지 못할 경우, 비적, 벽적, 대장냉적, 남녀의 만성, 급성 기통, 심한 만성 장풍병, 치창종통, 변독[가래톳이 서서 멍울이 생기는 병], 파상풍,계아골경, 제골경인[목에 걸린 것], 치통, 이하선염[임상보고], 급성 황달형 전염성 간염[임상보고], 사충병[임상보고], 관절염[임상보고], 맥립종[임상보고], 결막염[임상보고], 편도염[임상보고], 타박손상, 근육마비, 관절마비, 골경[목에 생선가시가 걸린데], 편도염, 맥립종, 결막염, 사충병, 급성 황달형 전염성 간염, 이하선염, 치통, 목에 걸린 것, 파상풍, 치창종통, 심한 만성장풍병, 대장냉적, 벽적, 비적, 천식, 해수, 구토, 학질[말라리아], 만성요각동통, 중풍수족불수, 상한두통, 나력, 피부풍양, 무월경, 근육위축, 근육아픔, 허리아픔, 언어장애, 통풍, 뇌종양, 월경불순, 뱃속이 차고 아픈 데, 각기, 징가, 구안와사[안면신경마비], 현벽, 류마티스성 관절염, 신경통을 다스리는 으아리 즉 위령선

으아리는
미나리아재비과 으아리속에 속하는 갈잎덩굴식물이다. 

으아리의
학명은 <Clematis terniflora var. mandshurica (Rupr.) Ohwi>이다. 초본성 여러해살이 덩굴식물로 모가 지고, 자색을 띤다. 딱딱해 부러지는 경향이 있다. 남부지방에서는 반상록성(半常綠性)이다.

잎: 마주나며(對生), 1회3출겹잎(간혹 2회3출겹잎인 경우도 있음)이고, 가장자리에 톱니(鋸齒) 없이 매끈한 것이 특징이다. 잎자루가 길어지면서 다른 물체를 감는다.

꽃: 6~8월에 백색으로 피며, 모인꽃차례가 다시 흩어진 꽃차례(集散花序)다. 꽃잎은 없고, 꽃받침(花托)이 꽃으로 보인다.

열매: 여윈열매(瘦果)이며, 암술대(花柱)에는 백색 털이 좌우 날개(羽狀)처럼 밀생해 바람을 타고 널리 퍼져간다(風散布).

염색체수: 2n=321)

생태분류서식처: 숲 가장자리, 산지 비탈면 초지 언저리, 계곡과 하천변 풀밭, 농촌 산기슭과 경작지 언저리 등, 양지~반음지, 적습(適濕)~약습(弱濕)

수평분포: 전국 분포
수직분포: 산지대 이하
식생지리: 냉온대~난온대, 중국(동북부), 만주, 몽골, 연해주, 동시베리아 등
식생형: 임연식생(망토식물군락)
종보존등급: [V] 비감시대상종

으아리는 사위질빵(이하 수레나물)과 여러 가지로 비슷한데, 잎 가장자리에 톱니나 결각이 없어 매끈한 것으로 명백하게 구별할 수 있다. 두 종의 서식처는 햇빛이 잘 드는 숲 가장자리로 생육조건이 비슷하지만, 지리적 분포양식에는 차이가 있다. 으아리는 대륙적이고 보다 추운 지역을 좋아한다면, 수레나물은 해양적이며 온난한 지역을 좋아한다. 그래서 한반도에서 북쪽 지방으로 갈수록 으아리가 수레나물보다 더 흔하며, 남부지방에서는 으아리보다는 수레나물이 더욱 흔하다.

우리나라에서는 현재 으아리 종류를 한자 威靈仙(위령선)에 대응시킨다.2) 으아리 뿌리를 주로 사용하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威靈仙(위령선)이란 한자명은 클레마티스속(Clematis)에 속하는 식물의 뿌리에서 만들어지는 중국 한약재를 지칭하는 것이다. 중국에서 정식으로 사용하는 으아리의 분류학적 한자명은 辣蓼铁线莲(랄요철선연)이다. 매운(辣) 여뀌(蓼)처럼 알알한 맛이 있고, 다년간 지탱해온 줄기가 철선(鐵線)처럼 생긴 데에서 붙여진 것이다. 학명도 참으아리의 변종(Clematis terniflora var. mandshurica)으로 취급한다.3)

위령선을 한약재로 이용했다는 사실은 15세기 『구급간이방(救急簡易方)』에 나타난다. 으아리 자체를 지칭하는 것이 아니라, 역시 수레나물속(또는 으아리속)의 뿌리를 지칭했고, 한글로 위령션이라고 적시했다.4) 오늘날 한약재 관련 본초 정보에서도 위령선을 으아리 종류 세 종(Clematis mandshurica, Clematis chinensis, Clematis hexapetala)의 뿌리와 뿌리줄기를 건조한 것5)이라고 정의한다.

한글명 으아리는 『조선식물명휘(朝鮮植物名彙)』6)에서 한자로 威靈仙(위령선) 또는 大蓼(대료)라 하고, 참으아리와 우렁선이라는 다른 이름도 있다고 기재했으며,7) 뿌리는 威靈仙(위령선)으로 기록했다.8)

으아리란 이름의 유래에 대한 기록은 없다. 『물명고(物名考)』9)에서 어사리와 우알이라는 한글명 기재에서 추정해본다. 여기에서 어사리는 수레나물을 가리키고, 우알이는 으아리를 지칭한다. 하지만 어사리나 우알이는 지금의 으아리란 이름에 직접 이어져 있는 명칭이고, 우렁선이는 위령선에서 전화되어 표기된 것으로 보인다.

그래서 위령션 > 우렁선이 > 어사리 > 우알이 > 으아리로 전화되어 온 것으로 생각해 볼 수도 있다. 이런 전화과정 속에서 『물명고(物名考)』의 우아리(우알이)에서 으아리가 생겨난 것이 분명해 보인다. 으아리가 가진 성질, 즉 뿌리로 만든 매운 맛이 나는 약성10)으로부터 연결시켜 볼 수 있기 때문이다.

할미꽃이 속하는 미나리아재비과의 종 대부분은 독이 있어서 야생동물이나 가축들은 뜯어먹지 않으며, 으아리도 마찬가지다. 으아리는 맛이 맵고 아리기 때문에 또는 잘못 이용했을 때 독성(anemonin, protoanemomin, 白頭翁醇)11) 때문에 발생하는 아리는 통증에서 그 이름이 유래한 것이다. 威靈仙(위령선)의 별명 大蓼(대료)라는 명칭이 그런 의미를 뒷받침한다. 여뀌의 매운 맛보다 훨씬 강하다는 의미다.

약재로서 한자명 威靈仙(위령선)은 ‘신령(靈)도 두려워(威) 할 만큼 독이 있으나, 그 약효는 금방 나타나는 어떤 신비로움(仙)’에서 붙여진 명칭일 것이다. 일본명 코우라이센닌소우(高麗仙人草, 선인초)도 같은 맥락인데, 우리나라 땅에서 나는 신비로운 약초란 의미다.

종소명 테르니플로라(terniflora)는 3출화(with flower in three)를 의미하는 라틴어로, 가지 끝이나 잎겨드랑이에서 3개씩 피는 꽃차례에서 비롯한다.


으아리의
개화기는 5~6월이고 결실기는 6~7월이다.

※ 참조:
중국에서는 16가지 종류를 위령선이라고 하여 약으로 사용한다. 그 종류를 보면 아래와 같다.

1, 위령선(威靈仙:
Clematis chinensis Osbeck.)
2, 산료(山蓼, 면단철선연:綿團鐵線蓮, 흑미:黑薇, 협엽철선연:狹葉鐵線蓮=
Clematis angustifolia Jacq.: Clematis hexapetala Pall.)
3, 소목통(小木通, 천목통:川木通:
Clematis armandi Franch.)
4, 주과철선련(柱果鐵線蓮, 노호사등:老虎師藤:
Clematis uncinata Chmp. et Benth.)
5, 모주철선연(毛柱鐵線蓮:
Clematis meyeniana Walp.)
6, 단엽철선연(單葉鐵線蓮, 설리개:雪里開:
Clematis henryi Oliv.)
7, 산목통(山木通:
Clematis finetiana Le'vl. et Vant.)
8, 동북철선연(東北鐵線蓮:
Clematis manshurica Rupr.)
9, 황약자(黃藥子, 철각위령선엽:鐵脚威靈仙葉:
Clematis paniculata Thunb.)
10, 단경발계(短
梗菝葜, 금강자:金剛刺: Smilax scobinicaulis C. H. Wright)
11, 초병발계(
菝葜, 초발계:鞘菝葜: Smilax stans Maxim.)
12, 화동발계(華東
菝葜, 점어수:粘魚鬚: Smilax sieboldi Miq.) 
13, 윤엽파파납(輪葉婆婆納: Veronicastrum sibiricum {L.} Pennell)
14, 현맥선복화(顯脈旋覆花, 초위령:草威靈: Inula nervosa WALL.)
15, 화중위령선(華中威靈仙 즉 백화등:白花藤)
16,
금전도(金剪刀, 하변위령선:河邊威靈仙, 호주철선련:湖州鐵線蓮: Clematis huchouensis  Tamura.)
17, 기타 위령선(威靈仙:
Clematis discoreifolia)

위령선의 여러 가지 이름은
위령선[威靈仙=
wēi líng xiān=웨이시앤: 후녕극, 약보(侯寧極, 藥譜)], 능소[能消: 개보본초(開寶本草)], 위령선[威靈仙: 소침양방(蘇沈良方)], 위령선[葳苓仙: 진주낭(珍珠囊)], 철각위령선[鐵脚威靈仙: 본초강목(本草綱目)], 영선[靈仙: 약품화의(藥品化義)], 흑각위령선[黑脚威靈仙: 생초약성비요(生草藥性備要)], 구초계[九草, 풍차:風車: 현대실용중약(現代實用中藥)], 선수묘[鮮鬚苗: 남경민간약초(南京民間藥草)], 흑골두[黑骨頭, 흑목통:黑木通: 귀주민간방약집(貴州民間方藥集)], 철간위령선[鐵桿威靈仙: 약재자료휘편(藥材資料彙編)], 철선추[鐵搧帚: 절강중약수책(浙江中藥手冊)], 칠촌풍[七寸風: 광서중수의약식(廣西中獸醫藥植)], 철각령선[鐵脚靈仙, 우한초:牛閑草, 우간초:牛桿草: 강소식약지(江蘇植藥誌)], 노호수[老虎鬚, 랄초등:辣椒藤: 육천본초(陸川本草)], 철영선[鐵靈仙: 하북약재(河北藥材)], 영선등[靈仙藤, 흑영선:黑靈仙: 사천중약지(四川中藥誌)], 흑수공[黑鬚公, 지사등근:芝査藤根: 광동중약(廣東中藥)], 코우라이센닌소우[コウライセンニンソウ=高麗仙人草=고려선인초: 일문명(日文名)], 날료철선련[辣蓼铁线莲], 으아리, 어사리, 외대으아리, 큰꽃으아리 등으로 부른다.

[채취]


<중약대사전>: "가을에 채취한다. 줄기, 잎, 수염뿌리 및 흙을 제거하고 햇볕에 말린다."


[성분]


<중약대사전>: "1, 위령선(威靈仙)의 뿌리는 anemonin, anemonol, sterol, 당류, 사포닌(saponin), lactone, phenol류, 아미노산(amino acid)을 함유하고 있다. 잎은 lactone, phenol류, triterpenoid, 아미노산(amino acid), 유기산을 함유하고 있다.

2, 산료(山蓼)의 잎은 coumarins 0.82%, kaempferol 등의 플라보노이드(flavonoid)류 0.23% 및 알카로이드(alkaloid), volatile oils, 수지 등을 함유하지만 사포닌(saponin), 탄닌(tannin), cardiacglycoside류는 함유하지 않는다.

3, 동북철선연(東北鐵線蓮)의 뿌리는 triterpenoid계 사포닌(saponin), clematoside A, clematoside A', clematoside B, clematoside C를 함유하고 있다.

4, 황약자(黃藥子) 및 그 변종의 뿌리는 사포닌(saponin), hederagenin을 함유하고 있다."

[약리작용]


<중약대사전>: "
1, 순환 계통에 대한 작용: 협엽철선연(狹葉鐵線蓮:
Clematis. angustifolia Jacq.) 즉 산료(山蓼)의 50% 침제(1ml/kg)는 마취한 개의 혈압을 내리고 신장의 용적을 축소시키지만 탕제의 약효는 침제의 절반 이하이다.

두꺼비의 적출 심장에 대해서는 먼저 억제하고 후에 흥분시키는 작용이 있으며 이 작용에 대한 침제의 약효는 탕제 약효의 약 3~5배이다. 이 강압 작용은 심장에 대한 억제와 관계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2, 평활근에 대한 작용:
협엽철선연(狹葉鐵線蓮)의 탕제는 마우스의 적출 장관에 대해 뚜렷한 흥분 작용이 있지만 이것은 평활근에 대한 직접 작용에 의한 것이라고 생각된다. rat 및 rabbit의 적출 장관에 대해서도 비슷한 작용이 있다. 마우스의 적출 자궁에 대한 작용도 뚜렷하지 않다.

3, 항이뇨 작용:
협엽철선연(狹葉鐵線蓮)의 제제는 mouse, rat, guinea pig에 대해 현저한 항이뇨 작용이 있다. 이 작용은 침제나 탕제 모두 비슷하다. 50%의 탕제 0.2ml는 뇌하수체 후엽 호르몬 0.1단위의 항이뇨 효과와 거의 같고 그 작용하는 시간은 뇌하수체 후엽 호르몬보다도 길다. 이 작용도 혈압 강하, 신장 혈관의 수축과 관계가 있는 것이라고 생각된다.

4, 혈당 저하 작용:
위령선(威靈仙)의 침제는 정상적인 rat에 대해 포도당의 동화 작용을 현저히 증강시키기 때문에(즉 rat에 대량의 포도당을 먹인 다음 요당 시험을 한 결과 음성이었다) 현저한 혈당 저하 작용이 있는 것이라고 생각된다.

5, 기타 작용:
위령선(威靈仙: 품종은 일정하지 않다)의 탕제 0.025g/10g(최소 치사량의 1/8)을 마우스에게 복강 주사하면 통각(痛覺) 역치가 높아지기 때문에(열판법:熱板法) 진통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1:3 침제는 in vitro에서 피부 진균에 대해 약간의 억제 작용이 있다. 화중위령선(華中威靈仙 즉 백화등:白花藤, 품종은 감정하지 않았다)에서 뽑은 성분인 anemonin에는 항균 작용이 있다.  

또 다른 종류의 위령선(威靈仙:
Clematis discoreifolia)의 물에 의한 추출물도 protoanemonin을 함유하고 있는데 항균 성분으로 보인다."

[위령선 법제하는 방법]


<중약대사전>: "
1, 위령선(威靈仙): 이물질과 남은 줄기를 제거하고 물에 담가서 충분히 적신 다음 꺼내어 토막으로 썰어 햇볕에 말린다.

2, 주령선(酒靈仙):
위령선 토막을 황주(黃酒)에 넣고 잘 섞어 충분히 스며들 게 한 후 가마에 넣고 약한 불에 약간 볶아 말리고 꺼내서 식힌다(위령선 60kg 당 황주(黃酒) 7.2kg~9kg을 쓴다)."

[성미]


1, <중약대사전>: "맛은 맵고 짜며 성질은 따뜻하고 독이 있다."

2, <개보본초>: "맛은 쓰며 성질은 따뜻하고 독이 없다."

3, <진주낭>: "맛은 달다."

4, <본초강목>: "약간 맵고 짜다."

5, <본초봉원>: "맛은 쓰고 매우며 성질은 따뜻하고 약간 독하다."

[귀경(歸經)]


1, <중약대사전>: "위령선(威靈仙)은 방광경(膀胱經)에 작용한다."

2, <신농본초경소>: "족태양경(足太陽經)에 들어간다."

3, <본초구진>: "주로 방광경에 들어가며 장(腸), 위경(胃經)에도 들어간다."

4, <본초재신>: "폐(肺), 신(腎)의 2경(經)에 들어간다."

[약효와 주치]


1, <중약대사전>: "위령선(威靈仙)은 풍사(風邪)을 몰아내고 습사(濕邪)를 없애고 경락을 소통시키며 담연(痰涎)을 없애고 벽적(
積)을 흩어 버리는 효능이 있다. 통풍(痛豊), 완비(頑痺), 요슬냉통(腰膝冷痛), 각기, 학질, 징가적취(癥瘕積聚), 파상풍, 편도염, 목안에 뼈가 걸린 것을 치료한다."

2, <당본초>: "요(腰), 신(腎), 각슬(脚膝), 적취(積聚), 장내(腸內)의 모든 냉병(冷病)이 오래 낫지 않을 경우 복용하면 효과가 있다."

위령선의 효능에 대해서 북한에서 펴낸
<동의학사전>에서는 이렇게 기록하고 있다.

[위령선(威靈仙) //으아리// [본초]

바구지과에 속하는 다년생 덩굴풀인 으아리(
Clematis mandshurica Maxim.)와 외대으아리(Clematis brachyura Maxim.)의 뿌리를 말린 것이다. 각지의 산에서 널리 자란다. 가을과 봄에 뿌리를 캐서 물에 씻어 햇볕에 말린다. 맛은 쓰고 성질은 따뜻하다. 십이경맥(十二經脈)에 모두 작용하나 주로 방광경(膀胱經)에 작용한다. 풍습(風濕)을 없애고 가래를 삭이며 기(氣)를 잘 돌 게 하고 통증을 멈춘다.  

약리실험에서 달인액은 중추신경 특히 호흡중추 흥분작용, 진통작용을 나타내고 수증기증류액은 마비회복작용을 나타내었다. 풍습비증(風濕痺證), 허리와 무릎이 아픈 데, 사지마비, 뱃속이 차고 아픈 데, 각기, 징가(
癥瘕), 현벽 등에 쓴다. 류마티즘성 관절염, 신경통에도 쓴다. 하루 6~12g을 물로 달이거나 술에 담거나 가루내거나 환을 지어 먹는다.]

으아리의 효능에 대해서 북한에서 펴낸
<약초의 성분과 이용>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으아리(Clematis mandshurica Maxim.)

다른 이름:
어사리

식물:
덩굴뻗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잎은 달걀 모양 또는 타원형인 5~7개의 쪽잎이 모인 잎이고 흰 꽃이 핀다.  열매에는 꼬리 모양의 흰 털이 있다.

전국 각지의 낮은 산, 산기슭, 길가의 양지에서 자란다.

뿌리(위령선):
봄 또는 가을에 뿌리를 캐어 물에 씻어서 햇볕에 말린다.

외대 으아리(C. brachyura Maxim., 줄기가 외대이고 잎은 3개의 쪽잎으로 된 모인잎이다), 참으아리(C. maximowicziana var. Paniculata=C. paniculata Thunb.)의 뿌리도 동약 위령선으로 쓴다.

성분:
뿌리에는 사포닌과 아네모닌, 적은 양의 기름이 있다. 이레이세린은 여러 가지 물질의 혼합물이다.  

전초에는 사포닌과 약 0.2%의 플라보노이드가 있는데 같은 속 식물에서는 쿠에르세틴, 켐페롤이 분리되었다. 잎의 용혈 지수는 1:2,250, 거품지수는 1:3,000이다. 신선한 잎에는 100mg% 이상의 아스코르브산이 들어 있다.  

뿌리에는 사포닌 성분으로 클레마토시드 A, B, C가 분리되었는데 헤데라게린과 올레아놀산의 글리고시드이다. 그 가운데에서 클레마토시드 C는 올레아놀산과 람노오스, d-글루코오스, l-아라비노오스, d-크실로오스로 되었다는 것이 밝혀졌다.

신선한 식물에는 포로토아네모닌 C5 H4 O2(기름 모양 액체이고 냄새가 있다)이 있다. 이 성분은 안정하지 못하여 가공할 때 중합되어 자극성이 없는 결정인 아네모닌 C10 H8 04(녹는점 157~158℃)이 된다.

아네모닌은 오래 두면 생물학적 활성이 없는 아네모닌산 C10 H12 O6이 된다. 프로토아네모닌은 미나리아재비과 식물에 널리 들어 있는 성분이다.

작용:
뿌리 추출액은 동물 실험에서 마비 작용이 있으며 혈압을 내리고 콩팥을 수축시킨다. 수증기 증류한 기름은 신경마비를 회복시킨다.  

프로토아네모닌은 독성이 있고 국소자극작용고 괴사를 일으킨다. 적은 양에서는 중추신경 계통에 대한 자극 작용이 있고 망상내피 계통의 기능을 높여주며 적혈구와 헤모글로빈의 수를 늘린다. 또한 항세균작용(포도알균, 장간균, 칸디다)과 곰팡이에 대한 억제작용이 있다.

뿌리 50% 달인액 0.2ml는 뇌하수체후엽호르몬(피튜이트린) 0.1 단위와 맞먹는 항오줌내기작용이 있으며 그 작용 세기는 오히려 길다. 이 작용은 흰생쥐, 생쥐, 모르모트에서 모두 있었다.

응용:
동의치료에서 뿌리는 풍을 내보내고 습을 없애며 경락을 통하게 하는 작용이 매우 빠르게 나타나므로 풍한습비, 근육마비, 관절마비, 근육위축, 신경통, 류마티즘, 근육아픔, 허리아픔, 언어장애, 손발마비, 통풍 등에 아픔멎이약으로 쓴다. 또한 월경불순에 통경약으로 쓴다.

으아리 달임약(6~12g: 200cc):
류마티스성 관절염, 신경아픔에 하루 3번 나누어 먹는다. 또는 땃두릅 뿌리 30g, 으아리 뿌리 20g을 함께 달여서 하루 3번 나누어 먹는다.

위령환:
으아리 뿌리 가루 150g에 꿀 150g을 섞고 1g짜리 둥근 알약을 만든다. 검은 밤색이며 자극성 맛이 있다.

아픔멎이약, 진경약으로 편두통, 신경아픔, 관절아픔, 안면신경마비, 통풍에 쓴다. 한번에 7~8g씩 하루 3번 먹는다.

신경환:
창출 150g, 으아리 뿌리 100g, 오갈피나무껍질, 바곳 덩이 뿌리(볶은 것), 땃두릅뿌리, 황경피나무껍질, 천남성 뿌리 줄기(볶은 것) 각각 50g을 가루낸 다음 꿀로 반죽하여 1kg을 만들고 둥근 알약을 빚는다. 한 알의 무게는 1g이다.

어두운 밤색이고 특이한 냄새와 달고 쓴 맛이 있다. 신경아픔, 관절염, 류마티즘에 한번에 1g씩 하루 3번 먹는다.

진통환, 삼묘환의 처방에 들어간다.

참고:
동약 위령선의 기원 식물은 옛 동의문헌을 보면 현삼과의 Veronicastrum sibiricum이라는 견해도 있다. 그러나 현재 이용되고 있는 것은 Clematis속이다.

위령선이란 이름은 이 동약의 약효에서 온 것이다. 즉 그 성질이 맹렬하다는 뜻에서 위, 그 효력이 빠르다는 뜻에서 영선이라 부르게 되었다. 동의문헌에는 이 약이 여러 가지 풍을 없애고 12경맥을 통하게 하며 아침에 쓰면 저녁에 효과가 나타난다고 한다. 옛날에 손발이 마비되어 수십 년 동안 걷지 못하던 사람이 이 약을 달여 먹고 며칠 만에 걷게 되었다고 약효를 설명하고 있다.
]

위령선(威靈仙)의 효능 유래에 대해서 <두산백과사전>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
위령선(威靈仙)


미나리아재비과의 으아리(Clematis mandshurica Maximowicz) 또는 기타 동속 근연식물의 뿌리로 만든 약재(한국). 중국에서는 으아리(Clematis mandshurica Maximowicz), 위령선(Clematis chinensis Osbeck.:威靈仙), 산료(Clematis hexapetala Pall.:山蓼), 소목통(Clematis armandii Franch.:小木通)의 뿌리를 쓴다. 일본은 으아리, 위령선, 산료의 뿌리를 사용한다.

옛날 중국에 금슬 좋은 부부가 살았는데 남편이 바깥에서 돌기둥에 기대서 잠을 자다 중풍으로 사지마비가 되어 10년동안 드러눕게 되었다. 이때 어떤 의원이 부인에게 약초를 가르쳐 주며, "당신 남편은 풍과 습으로 인해서 온 중풍이니 내가 주는 약을 복용시키시오"하고는 산에 올라가 약초를 캐서 주었다. 부인은 잔뿌리를 잘라내고 물에 불렸다가 잘라서 막걸리와 버무려 달여 먹게 하고, 말렸다가 가루 내어 식초와 버무려 사지에 붙이게 하자 몇 개월 후에 남편은 걸을 수 있을 정도로 완쾌되었다. 부인이 의원에게 약초의 이름을 물으니 아직 이름이 없다하여 즉석에서 이름을 지었는데, "약의 성질이 위엄있고 신선과 같이 영험하니 위령선이라 짓자"고 하였다.

이 약은 냄새가 없고, 맛은 맵고 짜며 성질은 따듯하다.[辛鹹溫]

위령선은 풍습을 제거하고 관절굴신불리, 사지마비, 요통, 사지동통, 근육마비, 타박상을 치료한다. 오장의 기능 항진, 경락이 막혀 생기는 통증에 사용한다.

약리작용은 혈압강하, 평활근 흥분, 이뇨작용, 혈당하강작용, 진통, 항균작용이 보고되었다.

생김새는 뿌리줄기가 고르지 않은 덩어리 모양으로 윗 끝에 때로는 목질의 짧은 줄기가 붙어 있으며 긴 잔뿌리가 많다. 뿌리줄기 바깥면은 황갈색이며 섬유성이고 뿌리 바깥면은 갈색이나 흑갈색이며 세로 주름이 있고 꺾어지기 쉬우며 목부와 피부가 떨어지기 쉽다.

다른 이름으로 노호수(老虎鬚), 능소(能消), 영선(靈仙), 위령선(葳苓仙), 철각위령선(鐵脚威靈仙), 로선(露仙), 철선연(鐵線連), 소목통(小木通) 등이 있다.
]

으아리(위령선)로 질병을 치료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수족 마비, 때에 따라 동통이 발생하는 경우, 타박손상, 아파서 견딜 수 없을 경우 또는 탄탄(
癱瘓: 중풍)한 경우의 치료
위령선(볶은 것) 5냥, 천오두(川烏頭: 날 것), 오령지(五靈脂: 날다람쥐똥) 각 4냥을 가루내어 식초로 벽오동씨 크기의 환을 짓는다. 1회에 7알을 천일염탕으로 복용한다. 차는 마시지 말아야 한다. [보제방(普濟方)]

2, 중풍수족불수(中風手足不隨), 안면 신경 마비, 근골 관절의 제풍(諸風), 요슬(腰膝)동통, 상한 두통, 비류청체(鼻流淸
), 피부 풍양(風), 나력(瘰癧), 치질, 대소장비(大小腸秘), 부인 무월경의 치료
위령선을 구워서 가루내어 좋은 술로 조금 적신다. 대통에 넣고 입구를 빈틈없이 막은 다음 몇 회 김을 올려 쪄서 햇볕에 말린다. 마르면 다시 술을 넣고 정제한 벌꿀로 벽오동씨 크기의 환약을 짓는다. 매회 20~30알을 술을 따뜻하게 달인 탕으로 복용한다. [해상집험방(海上集驗方)]

3,
신장풍옹(腎臟風壅), 요슬침중(腰膝沈重)
위령선(威靈仙)을 가루내어 꿀로 벽오동씨 크기의 환약을 짓고 알맞게 데운 술로 80알을 복용한다. 새벽녘에 가벼운 설사를 하고 거무스름한 농교(膿膠) 같은 것이 나오련 풍독(風毒)의 정체에 의한 것이라고 단정할 수 있지만 만약 그런 것이 나오지 않으면 다시 100알을 복용하고 그 다음 보법(補法)으로 1개월 동안 죽을 먹는 동시에 온보(溫補) 약물을 복용한다. [손조(孫兆), 방매환(放枚丸)]

4,
만성 요각(腰脚) 동통
위령선(威靈仙) 5냥을 곱게 가루낸다. 매회 식전에 한 돈을 알맞게 데운 술로 개어서 복용하고 점차 약간의 설사를 할 정도로 양을 늘린다. [태평성혜방(太平聖惠方), 위령선산(威靈仙散)]


5,
각기입복(脚氣入腹), 창민천기(脹悶喘氣)
위령선(威靈仙) 가루를 1회 2돈, 술로 복용한다. 통증이 경감됨에 따라 양을 줄인다. [간편단방(簡便單方)]


6,
학질
위령선(威靈仙)을 술 1잔, 물 1컵으로 1잔이 되게 달여 발작하면 따뜻할 때 먹는다. [본초원시(本草原始)]


7,
일색격기(噎塞膈氣)
위령선(威靈仙) 한 줌, 식초, 꿀 각 반 사발을 5할이 되게 달여서 복용하면 막혔던 가래가 나온다. [당요경험방(唐瑤經驗方)]


8,
정담숙음(停痰宿飮), 천해구역(喘咳嘔逆), 전혀 먹지 못할 경우
위령선(威靈仙: 구운 것), 반하(半夏: 생강즙에 담갔다가 구운 것)를 가루내어 조각(皂角)을 물로 달여서 만든 고약으로 녹두 크기의 환약을 짓는다. 1회에 7~10알을 생강탕(生薑湯)으로 1일 3회, 1개월 동안 복용한다. 차, 밀국수는 먹지 말아야 한다. [본초강목(本草綱目)]


9,
비적(痞積)
위령선(威靈仙), 저도아(楮桃兒) 각 1냥을 가루내어 1회에 3돈 전중(錢重)을 알맞게 데운 술로 복용한다. [보제방(普濟方), 화철산(化鐵散)]


10,
벽적(癖積)
위령선(威靈仙)을 가루내어 꿀로 탄알 크기의 환약을 짓는다. 붉은 비단 주머니에 한 알 넣고 질 좋은 돼지 고기를 함께 달여 약을 제거하고 고기를 복용한다. 나을 때까지 계속 복용한다. [유과지장(幼科指掌), 위령선(威靈仙丸)]


11,
대장냉적(大腸冷積)
위령선(威靈仙)을 가루내어 꿀로 벽오동 크기의 환을 짓는다. 취침 전(오후 7~9시 무렵) 생강탕(生薑湯)으로 10~20알을 복용한다. [경험양방(經驗良方)]


12,
남녀의 만성, 급성 기통(氣痛)
위령선(威靈仙) 5냥, 구근(韭根: 날 것) 2돈 반, 오약(烏藥) 5푼, 좋은 술 한 잔, 계란 1개를 준비한다. 잿불에다 하룻밤 잘 달여서 새벽녘(오전 3~5시) 달걀 껍질이 연하게 되면 불에서 꺼낸다. 찌꺼기를 제거하고 따뜻할 때 먹는다. 찌꺼기는 말려 놓고 통증이 있는 곳을 아래로 해서 잠을 잔다. 다음날 찌꺼기를 다시 달여서 복용한다. 찌르는 듯한 통증이 있으면 효과가 있다는 증거이다. [적원방(摘元方)]


13,
심한 만성 장풍병(腸風病)
위령선(威靈仙: 흙은 없앤 것), 계관화(鷄冠花) 각 2냥을 썰어 쌀 식초 2되로 식초가 없어질 때까지 달이고 다시 약간 볶아서 가루낸다. 여기에 계란 흰자위를 섞어 작은 떡을 만들어 구워서 말려 가루낸다. 1회에 2전비(錢匕)를 빈속에 미음으로 개어 복용한다. 정오에 다시 한 번 복용한다. [성제총록(聖濟總錄), 영선산(靈仙散)]


14,
치창종통(痔瘡腫痛)
위령선(威靈仙) 3냥을 물 한 말로 달이고 쪄서 씻는다. 식으면 다시 데운다. [외과정의(外科精義)]


15,
변독(便毒: 가래톳이 서서 멍울이 생기는 병)
위령선(威靈仙), 패모(貝母), 지모(知母) 각 1냥을 가루내어 1회에 3돈을 공복에 술로 개어 복용하고 만약 독이 없어지지 않으면 다시 복용한다. [옹저신비험방(癰疽神秘驗方), 위령선산(威靈仙散)]


16,
파상풍
위령선(威靈仙) 반 냥, 독두산(獨頭蒜) 1개, 향유(香油) 1돈을 함께 찧어서 열주(熱酒)로 충복
[冲服: 달일 필요가 없는 약제는 약사발 안에 먼저 넣고 이미 잘 달여진 탕약이나 끓는 물을 부어 골고루 섞은 후 복용하는 것]하면 땀이 난다. [위생이간방(衛生易簡方)]


17,
계아골경(鷄鵝骨鯁)
적경위령선(赤莖威靈仙) 5돈을 아침에 길어온 우물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성제총록(聖濟總錄)]

18,
제골경인(諸骨鯁咽: 목에 걸린 것)
위령선(威靈仙) 1냥 2돈, 사인(砂仁) 1냥, 사탕(沙糖) 1잔에 물 2컵을 넣고 1잔이 되게 달여서 따뜻할 때 먹는다. [본초강목(本草綱目)]


19, 치통

위령선, 모간(毛
) 각 같은 양을 준비한다.

제법: 신선한 것을 깨끗이 씻어 즙을 낸다. 약즙 1000ml에 75% 알코올 10ml를 첨가하여 부패를 방지한다.

용법: 솜에 약수(藥水)를 발라 묻혀서 통증이 있는 곳에 바른다. 너무 많이 발라서 물집이 생기지 않게 주의한다. [전전선편(全展選編), 오관과(五官科)]

20,
이하선염(임상보고)
신선한 위령선(威靈仙)의 뿌리를 깨끗이 씻고 잘게 썰어 찧는다. 1근에 쌀 식초 반 근을 넣어서 유리 병에 넣고 밀봉하여 바람이 새지 않게 한다. 3일 후 식초 침액을 꺼내어 면봉으로 환부에 바른다. 2~3시간에 1회씩 바른다. 치료한 32례 중 효과가 명확하지 않은 4례를 제외하고 평균 1~3일에 모두 증상이 없어졌다. [중약대사전]


21,
급성 황달형 전염성 간염(임상보고)
위령선(威靈仙)의 뿌리를 구워서 말려 가루낸다. 매회 3돈을 계란 한 개와 섞어서 채종유(菜種油)나 마유(麻油)로 볶아서 복용한다. 1일 3회, 연속 3일 복용한다.

쇠고기, 돼지고기 및 신 음식, 매운 음식은 먹으면 안 된다.

치료한 15례 중 14례가 치유되었다. [중약대사전]


22,
사충병(絲蟲病)의 치료(임상보고)
신선한 위령선(威靈仙)의 뿌리 1근을 잘게 썰어 물을 넣고 반 시간 쯤 달인 즙에 홍당(紅糖) 1근, 백주(白酒) 2냥을 넣어 잠깐 달인다. 이것을 5일 이내에 10회로 나누어 복용한다. 매일 아침, 저녁 1회씩 복용한다.유아의 용량은 적당히 줄인다. 양성 환자 33례를 동시에 조사한 결과, 치료 후 1~2호 재검사 후 필라리아 유충이 음성으로 된 환자는 27례였다. 관찰에 의하면 치료 효과와 약용량 및 치료 기간 사이에는 서로 관계가 있었다. 약 용량이 1근 미만인 환자의 치료 효과는 약간 떨어지며 2치료 기간의 유효율은 1치료 기간보다 높았다. 복용 후 심한 부작용은 없었지만 소수의 환자에게서 위(胃)의 열작감(熱灼感), 오심, 약간의 체온 상승이 나타났다. [중약대사전]


23,
관절염(임상보고)
위령선(威靈仙) 1근을 잘게 썰어 백주(白酒) 3근과 섞어서 그릇과 함께 물을 넣은 가마에 넣어서 30분 정도 달이고 꺼내어 여과한다. 1회에 10~20ml, 1일에 3~4회 복용한다. 치료한 15례에서 증상 개선의 효과가 나타났다. [중약대사전]


24,
맥립종(麥粒腫), 결막염(結膜炎) 등의 치료(임상보고)
2.5x2.5cm의 반창고 중앙에 대두(大豆) 크기의 구멍을 한 개 뚫어 아픈 눈의 반대쪽 내관혈(內關穴)에 붙이고(두 눈 모두 아플 때는 양쪽에 붙인다) 위령선(威靈仙)의 신선한 잎을 찧어서 대두(大豆) 크기의 경단을 만들어 반창고의 작은 구멍 속에 놓고 다른 반창고로 덮어 고정한다. 엄지로 약이 닿은 혈위를 30초 정도 살짝 눌러서 약의 혈위에 대한 자극 작용을 높인다. 일반적으로 약 40분 정도 지나 국소가 얼얼해지면 반창고와 약을 떼어 낸다. 하루 정도 지나면 국소에 작은 물집이 생기므로 감염에 주의해야 한다.

맥립종(麥粒腫) 12례, 결막염(結膜炎) 6례, 외상성각막궤양(外傷性角膜潰瘍) 1례를 치료한 결과 평균 3일에 효과가 나타났다. [중약대사전]


25,
편도염(임상보고)
신선한 위령선(威靈仙)의 전초(또는 줄기나 잎만 쓴다)를 깨끗이 씻어 달여서 복용하거나 차로 마신다. 1일 1첩 복용한다. 247례를 관찰한 결과 유효율은 90%였다. 한편 신선한 위령선의 잎으로 만든 즙을 면봉에 뭍혀 코에 넣은 결과 인후염, 편도염, 급성 회염염(會厭炎=Epiglottitis: 후두염) 및 제골경후(諸骨鯁喉)에 효과가 있었다.

용법:
소독면을 비틀어 4~5cm 정도의 길이로 하고 한쪽끝을 약즙에 담가서 콧구멍에 넣어 상비도(上鼻道)에 닿게 한다[왼쪽이 아플 때는 오른쪽 콧구멍에, 오른쪽이 아플 때는 왼쪽 콧구멍에 넣는다]. 약 4~6분이 지나자 환자의 눈에서 눈물이 나고 재채기가 나왔으며 30분 정도 지나자 증상이 현저하게 개선되었다. 만약 낫지 않으면 4~6시간 정도 간격을 두고 다시 한 번 치료한다. [중약대사전]


26,
골경(骨鯁: 목에 생선 가시가 걸린데)(임상보고)
위령선 1냥에 물 2사발을 넣고 1사발이 되게 달인 것을 천천히 삼키며 30분~1시간 내에 모두 복용한다. 1일 1~2첩 복용한다. 만약 가시가 식도에 있으면 액체를 보충하고 항감염제를 적당히 사용한다. 치료한 104례 중에서 복용후 90례는 순조롭게 없어졌지만 14례는 효과가 없었기 때문에 인후경이나 식도경을 사용하여 꺼냈다. 유효율은 85% 정도이며 그 중 인후부에 가시가 걸린 32례(모두 생선 가시) 중에서 1~3첩을 복용해서 순조롭게 없어진 것이 27례였다. 식도에 가시가 걸린 72례(35례는 정도는 다르지만 감염 증상이 나타났다)는 항생물질을 사용하고 보액(補液), 절식했다. 1~8첩을 복용하고 효과가 없었던 8례를 제외하고 X-선 투시로 재검사한 결과 바륨의 통과가 순조로와 합병증이 나타난 것은 1례도 없었다. 관찰에 의하면 치료 효과는 이물질의 크기, 걸린 부위, 이물질이 연조직에 들어간 깊이 등과 관계가 있는 듯하다. 동물실험과 임상 결과를 통해 보면 위령선이 목에 가시가 걸린 것에 대한 작용은 다음과 같은 과정에 의한 것이라고 생각된다.

① 평활근에 직접 작용하여 흥분성을 높이고 율동적 수축으로부터 연동으로 이행한다.

② 목에 가시가 걸린 다음 국소가 경련 수축하는데 위령선을 적당히 사용하면 항히스타민 작용에 의해 국소를 이완시켜 연동을 변화시킴에 따라 가시가 빠지기 쉽게 된다. 식도의 상단은 횡문근이고 중하단은 모두 평활근이기 때문에 가시가 걸린 것이 중하단에 있을 때 효과가 비교적 좋은 것은 이것과 관계가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③ 위령선은 가시에 대해 직접적인 연화 작용이 없지만 인후 식도의 분비액은 산성을 나타내므로 치료 효과를 돕는다. 그러나 약을 4첩 복용해도 효과가 없을 때는 이물질의 종류, 걸린 부위 등을 고려하여, 수술에 의한 적출도 생각해야 하므로 병의 상태를 잘못 판단하면 안 된다. 이 외에 위령선 5돈에 쌀 식초 적당량을 섞어서 달인 것을 천천히 삼키는 방법도 인후에 걸린 각종 생선 가시의 치료에 효과가 있다. [중약대사전]

27, 뇌종양

신선한
금전도(金剪刀) 적당량에 적은 양의 식염을 넣고 짓찧어 머리에 바르고 24~36시간 후에 닦아낸다. 국부에 물집이 생겼다면 침으로 터뜨린 다음 보통 한 번 바르면 낫는다. [중약대사전]

<금전도[金剪刀>:
<<Clematis huchouensis  Tamura.)는 절강민간상용초약(浙江民間常用草藥)]에서 풍을 제거하고 부기를 가라앉히는 효능이 있다. 깊은 곳에 생긴 농양, 류마티스성 관절염, 뇌종양을 치료한다. 외용시 신선한 전초 적당량을 짓찧어 아픈 곳에 바른다. 여름과 가을에 채취해서 신선한 것을 쓴다. 다른 이름은 하변위령선(河邊威靈仙), 호주철선련(湖州鐵線蓮) 등으로 부른다.>>  

28, 깊은 곳에 생긴 농양과 류마티스성 관절염

신선한 금전도(金剪刀)를 짓찧어 아픈 곳에 24시간 동안 바르고 물집이 생기면 중지한다. [중약대사전]

[각가(各家)의 논술(論述)]


1, <해상집험방(海上集驗方)>:
"
위령선(威靈仙)은 모든 풍을 제거하고 12경맥을 통하게 하며 5장(腸)의 냉농(冷膿)이나 숙수(宿水)에 의한 질환에 대하여 소통시키고 약간 이롭기는 하지만 목이 마르지 않는 증상을 치료한다. 이것을 복용하면 사지가 가볍고 튼튼해지며 손발이 따뜻해지고 청량감을 느낀다."

2, <본초강목(本草綱目)>:
"
위령선(威靈仙)은 기(氣)가 온(溫)하고 미(味)가 약간 신함(辛鹹)하다. 신(辛)은 설기(泄氣)하고 함(鹹)은 설수(泄水)하기 때문에 풍습담음(風濕痰飮)의 경우 기(氣)가 건강한 환자가 복용하면 빠른 효과를 본다. 그 성질은 대체로 소통시키기 때문에 장기간 복용하면 진기(眞氣)를 상할 우려가 있다. 기(氣)가 약한 환자는 먹지 말아야 한다."

[비고(備考)]


<남방주요유독식물(南方主要有毒植物)>:
"철각위령선(鐵脚
威靈仙)은 전체에 독이 있다. 중독 증상은 줄기와 잎의 수액이 피부에 닿으면 수포, 궤양이 생긴다. 잘못하여 먹을 때는 구토, 복통, 극심한 설사 등 석룡예(석룡예)와 비슷한 중독 증상을 일으킨다.

구급 방법
은 조기에 0.2% 과만간산 칼륨 용액으로 위를 씻어 낸다. 난백 또는 밀가루풀 및 활성탄을 복용한다. glucose 식염수를 정맥에 점적한다. 복통이 심할 때에는 아트로핀 등으로 대증(對證) 치료한다. 피부나 점막 중독에는 맑은 물, 붕산 또는 탄닌산의 용액으로 깨끗이 씻는다."

으아리에 흰꽃이 모여 피는 모습은 참으로 아름답다. 산속에서 대형 큰꽃으아리를 만났다면 더더욱 아름다움을 느낄 수 있다. 으아리의 종류가 여러 가지이지만 약용으로 쓰는 용도는 비슷한 방법으로 사용한다.

상기 자료는 약초연구가로서 지구상에 존재하는 천연물질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고 질병으로 고통을 겪고 있는 환우들에게 희망을 주며 기능성 식품과 신약을 개발하는데 통찰력을 갖게하고 약초를 사랑하는 모든 사람에게 정보의 목적으로 공개하는 것임을 밝혀 둔다.  

(글/ 약초연구가 & 동아대 & 신라대 대체의학 외래교수 전동명)

큰꽃으아리 및 으아리 사진 및 감상: 1, 2, 3, 네이버+구글+다음+일본구글+대만구글: 1, 2, 3, 4, 5,

문의 및 연락처: 010-2545-0777 ; 051-464-0307

홈주소: http://jdm0777.com

페이스북 주소: http://www.facebook.com/jdmsanyacho

이메일: jdm0777@naver.com


피부에 짓찧어 바를 때 수포를 일으킬 수 있는 아래의 식물들도 참조해 보시기 바랍니다.

 

 

  1. 개구리자리(구룡초) 무엇인가?
  2. 갯질경이 무엇인가?
  3. 겨자 무엇인가?
  4. 고추(날초) 무엇인가?
  5. 담배풀(천명정) 무엇인가?
  6. 으아리(위령선) 무엇인가?
  7. 은행나무 무엇인가? 

 

 

※ 아래에 jdm 필자가 찍은 큰꽃으아리 사진도 감상해 보시고 행복하시기 바랍니다~~~^.^

 


 

홈페이지 주소 : http://jdm0777.com 클릭하시면 홈으로 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