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우) 무엇인가?

성격이 온순하며 열심히 일하고 용도가 매우 다양한 한우

 

 

 

 

 

 

 

 

img1.jpg

 

 

[어린 송아지, 흰송아지, 밭을 가는 소, 토종 칡소의 모습, 사진출처: 일본/대만/한국 구글 이미지 검색]

강장작용, 풍습을 없애는 작용, 동맥경화증을 막는 작용, 빈혈을 막는 작용, 영양작용, 해독작용, 동맥경화와 빈혈을 예방하는 작용, 간기능보호작용, 항암작용, 비위허약, 붓는데, 복수, 뇌출혈후유증, 갈증, 허리나 다리에 힘이 없는데, 입맛이 없는데, 빈혈, 간염, 간혈을 보하고 눈을 밝게 함, 몸이 허약한데, 동맥경화증, 고혈압, 악성빈혈, 밤눈어둠증, 눈이 잘 보이지 않는데, 당뇨병, 비위를 보하고 소화를 돕는데, 앓고 난후, 입맛이 없고 소화가 안되는데, 갈증, 어지럼증, 소창자는 위장을 보하고 치질로 인한 출혈을 멈추게 하며 대장염, 소장염, 치질, 소콩팥은 신기를 보함, 비를 보함, 비위가 허약하고 소화가 안되는데, 음식을 먹고 체한데, 헛배가 부른 것을 다스리는 소(한우)

소는 소과에 속한 초식동물로, 집짐승의 하나이다.

황소의 학명은 <
Bos taurus domesticus Gmelin>이다. 소는 사람에게 개 다음으로 일찍부터 가축화되어 경제적 가치가 높아 세계 각지에서 사육되고 있다. 소가 가축화된 것은 기원전 7000 ~ 6000년경으로, 중앙아시아와 서아시아에서 사육되기 시작하였고, 점차 동서로 퍼지게 되었다고 추정된다.

이집트, 메소포타미아, 인도, 중국 등지에서는 농경에 사용하기 위하여, 유럽에서는 고기와 젖을 얻기 위하여 사육을 시작했다. 소는 쇠고기, 송아지 고기 등 고기와 우유 등의 유제품, 가죽을 얻기 위한 목적과 수레, 쟁기 등의 짐을 끌게 하기 위해 기른다. 고기소처럼 고기를 얻기 위해서 키우는 소, 우유를 얻기 위해서 키우는 젖소 등이 있다. 산업화 이전에는 달구지나 쟁기를 끄는 데에 주로 이용되었다. 인도와 같은 일부 국가에서 소는 종교 의식에서 신과 비슷한 예우를 받으며 숭배의 대상이 되고, 먹지도 않는다. 오늘날 지구상에는 약 14억 마리의 소가 있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소는 칼 폰 린네가 처음으로 세 종(種)으로 구별하였다. 하나는 유럽, 아프리카, 아시아에 서식하는 소(학명: Bos taurus)이고, 또 하나는 인도 혹소(학명: Bos indicus), 그리고 멸종된 오록스(학명: Bos primigenius)이다. 오록스는 인도 혹소와 유럽 소의 조상이다. 최근에 이들은 하나의 종으로 묶이고 있으며, 종종 'Bos primigenius taurus', 'Bos primigenius indicus'와 'Bos primigenius primigenius'의 명칭을 사용한다. 소가 다른 비슷한 종과 이종교배가 가능하다는 점이 분류 문제를 복잡하게 만드는 원인이다.

인도에서는 소를 신성히 여겨 쇠고기를 먹지 않아도 우유는 먹는데, 이는 힌두교의 교리 때문이다.

소 및 물소의 여러 가지 이름은
황우[黃牛=
huáng niú=후앙니우: 설문(說文)], 수우[水牛: 양주이물지(凉州異物誌)], 우시[ウシ=牛, 황소:ファンソ=黃牛: 일문명(日文名)], cattle[영명(英名)], 물소, 한우, 황소, 등으로 부른다.

소의 25가지 부위별 효능에 대해 허준이 지은 <동의보감>에서는 이렇게 기록하고 있다.

[1, 우황(牛黃)

성질이 평(平)하고(일설에서는 서늘하다고 하였다) 맛이 쓰며[苦](일설에서는 달다고 하였다) 독이 약간 있다(일설에서는 독이 없다고 하였다). 정신을 안정시키고 사기(邪氣)와 귀신을 몰아내어 광기와 전간(癲癎), 경계(驚悸), 중악(中惡)을 낫게 한다. 또한 어린이의 모든 병도 치료한다[본초].

○ 소한테서 우황을 꺼내어 백날 동안 그늘에 달아 매놓아 천천히 마르게 해야 한다. 그리고 햇빛이나 달빛이 비치지 않게 해야 한다[본초].
○ 우황의 기운은 간(肝)으로 들어가므로 힘줄에 생긴 병을 낫게 한다[강목][간담부(肝膽部), 중분천심(中分淺深)].
○ 우황이 든 소는 가죽과 털이 윤기가 있고 눈에 피가 지며[眼如血色] 때때로 운다. 또한 물을 보기 좋아한다. 동이에 물을 가득 부어서 그것을 소 주둥이 밑에 놓는 다음 소 주둥이를 억지로 벌리고 토하게 하면 달걀 노른자위만한 우황이 물에 떨어진다. 겹겹이 일어나면서 가볍고 퍼석퍼석하며 향기로운 것이 좋은 것이다[본초].
○ 우황에는 가짜가 많은데 시험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우황을 손톱 위에 놓고 문질렀을 때 손톱 속까지 누렇게 되는 것이 진짜이다[본초] .
○ 억지로 토하게 하여 얻은 것을 생우황(生牛黃)이라고 하는데 이것을 얻기는 대단히 힘들다. 지금은 다 도살장에 가서 소의 담낭 속에서 얻는다[본초].
▶ 풍문(風門), 우황청심원(牛黃淸心元, 중7).

2, 우육(牛肉, 쇠고기)

성질이 평(平)하고 (일설에서는 따뜻하다고 하였다) 맛이 달며[甘] 독이 없다(일설에서는 독이 약간 있다고 하였다). 비위(脾胃)를 보하고 게우거나 설사하는 것을 멈추며 소갈(消渴)과 수종(水腫)을 낫게 한다. 또한 힘줄과 뼈, 허리와 다리를 튼튼하게 한다[본초].
○ 식품으로는 황소가 좋다. 소젖과 소의똥, 오줌으로 병을 치료하는 데는 검정소(黑牛)가 황소보다 낫다[본초].
○ 저절로 죽은 소의 고기는 먹지 말아야 하는데, 먹으면 반드시 정창(疔瘡)이 생긴다[속방].
▶ 기문(氣門), 단방(單方), 간장문(肝臟門), 간경치법(肝病治法)에서는 '간고급(肝苦急)'에 쓰는 음식이라 하였다.

○ 우육(牛肉, 쇠고기) ○ 허(虛)를 보(補)하고 기(氣)를 더하며, 기혈(氣血)을 자양해 준다. 소의 밥통을 쓰는 것이 더욱 좋은데, 푹 쪄서 먹는다[본초].
○ 우육(牛肉, 쇠고기) ○ 비기(脾氣)를 보(補)해준다. 소의 밥통이 더욱 좋은데 푹 삶아서 늘 먹는다[본초].

3, 우각새(牛角img1.jpg, 쇠뿔 속심)

성질은 껄끄럽고, 맛은 쓰면서 달고, 독은 없다. 혈붕(血崩)과 적백대하를 멎게 하며, 장풍(腸風)으로 피를 쏟는 것과 혈리(血痢)를 치료한다.
○ 썩은 흙속에서 문드러져 허옇게 된 것을 약성이 남게 태워 쓴다[본초].
▶ 요즘 서각 대신 쓰는 약이다. 포문(胞門), 대변문(大便門), 단방(單方), 후음문(後陰門), 신응산(神應散).

우각새(牛角img1.jpg, 쇠뿔 속심) ○ 혈붕이 멎지 않는 것과 적백대하를 먹게 한다. 태워 가루를 내어 술에 2돈씩 타서 먹거나 환을 만들어 먹는다[본초].
우각새(牛角img1.jpg, 쇠뿔 속심) ○ 적백리(赤白痢)와 냉리(冷痢), 혈설(血泄)에 주로 쓴다. 약성이 남게 태워 가루내어 데운 술이나 미음에 2돈씩 타서 먹는다. 혹은 꿀에 반죽하여 환을 만들어 먹기도 한다[본초].

4, 우두제(牛頭蹄, 소의 뿔을 묶었던 올무)

○ 풍열(風熱)을 내려준다[본초].

5, 우뇌(牛腦, 소 골수)

○ 소갈과 풍현(風眩)을 치료한다[본초].
▶ 두문(頭門), 단방(單方).

6, 우치(牛齒, 소 이빨)

○ 어린이의 경간[驚癎]을 치료한다[본초].
▶ 아치문(牙齒門), 단방(單方).

7, 우이중구(牛耳中垢, 소 귀지)

○ 뱀에게 물린 것과 쐐기에게 심하게 물린 쏘인 상처를 치료한다[본초].
▶ 제상문(諸傷門), 사교상(蛇咬傷).

8, 우오장(牛五藏, 소의 오장)

○ 사람의 5장병을 치료한다.

9, ○ 간(肝)은 눈을 밝게 하고 이질을 낫게 한다.

○ 우간(牛肝, 소의 간) ○ 이질을 치료한다. 식초를 넣고 끓여서 먹는다[본초].
○ 우간(牛肝, 소의 간) ○ 눈을 밝아지게 하는데, 회를 만들어 먹거나 삶아 먹어도 괜찮다. 어린이의 야맹증(夜盲症=작목:雀目: 밤눈어둠증)에는 날것으로 먹인다. ○ 검정소의 쓸개는 눈을 밝아지게 하는데, 눈에 넣어주면 된다[본초].
○ 우간급백엽(牛肝及百葉, 소의 간과 천엽) ○ 술을 마시고 피로해 하는 것을 풀어준다. 날로 회를 만들어 생강과 식초를 넣어 버무려 먹는다[본초].

10, 염통[心]은 잘 잊어 버리는 증을 낫게 한다.

11, 기레[脾]는 치질을 낫게 한다.

12, 허파[肺]는 기침을 멎게 한다.

13,콩팥[腎]은 신을 보한다[본초].

14, 우두(牛肚, 소의 밥통)

○ 민간에서는 양(img1.jpg: 살찔양)이라고도 한다. 5장을 보하고 비위(脾胃)를 도우며 소갈을 멎게 한다[본초].
▶ 신문(神門), 우거육(牛車肉).

우두(牛肚, 소의 밥통) ○ 오장을 보해준다. 식초에 넣고 푹 삶아서 먹는다[본초].
우두(牛肚, 소의 밥통) ○ 위를 보해준다. 푹 삶아서 먹는다. ○ 우유죽은 위속이 열을 없애주는데, 늘 먹어도 괜찮다[본초].
우두(牛肚, 소의 밥통) ○ 곧 우양(牛img1.jpg)이다. 주로 비위(脾胃)를 보(補)한다. 이것을 문드러지게 찐 다음 양념을 넣고 먹는다[속방].

15, 우백엽(牛百葉, 천엽)

○ 천엽이라고도 한다. 열기(熱氣)와 수기(水氣)를 없애고 술독[酒勞]을 풀며 이질을 낫게 한다[본초].
▶ 내상문(內傷門), 단방(單方).

16, 우담(牛膽, 소의 쓸개)

○ 성질이 몹시 차고[大寒] 맛이 쓰며[苦] 독이 없다. 눈을 밝게 하고 소갈(消渴)을 멎게 한다[본초].
▶ '여로(與老)'('향약구급방')로 표기. 안문(眼門), 안화(眼花), 오담고(五膽膏).

17, 우비(牛鼻, 소의 코)

○ 소갈(消渴)을 멎게 하고 젖이 나오게 한다[본초].
▶ 유문(乳門), 단방(單方).

우비(牛鼻, 소의 코) ○ 젖이 없는 것을 치료한다. 국을 끓여 빈속에 먹기를 2~3일 하면 젖이 잘 나온다[본초].

18, 우구중연(牛口中涎, 소의 침)

○ 반위(反胃)와 구토 및 열격(噎膈: 목이 잠기는 것)을 치료한다. 늙은 소의 침과 거품은 열격을 주로 치료한다[본초].
▶ 육문(肉門), 우목(疣目), 구토문(嘔吐門), 저강환(杵糠丸).

19, 우구중치초(牛口中齝草, 소의 입속에서 되새김질한 풀)

○ 열격(噎膈: 목이 잠기는 것)을 치료한다[본초]. ○ 치(齝), 축(丑)과 지(之)의 반절음으로 치다.

20, 우골(牛骨, 소뼈)

○ 성질이 따뜻하고[溫] 독이 없다. 여러 가지 피나는 병[失血]에 쓰는데 약성이 남게 태워서 쓴다[본초].
▶ 후음문(後陰門), 활구환(活龜丸).

21, 특우경(特牛莖, 소의 음경)

○ 부인의 적백대하(赤白帶下)와 아이를 낳지 못하는 것을 치료한다. 곧 소의 음경이다[본초].

22, 우뇨(牛尿, 소 오줌)

○ 성질이 차고 맛은 쓰고 매우며 독이 없다. 소갈(消渴), 황달(黃疸), 수종(水腫), 복창(腹脹), 각기(脚氣), 소변이 잘 나오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 검정소의 오줌이 좋다[본초].
▶ 소변문(小便門), 족문(足門), 단방(單方).

○ 우뇨(牛尿, 소 오줌) ○ 소변을 잘 나오게 하여 소변이 통하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황소의 뜨거운 오줌을 받아 마신다[본초].

23, 우분(牛糞, 쇠똥)

○ 수종(水腫)과 곽란(霍亂)을 치료한다. 쇠똥을 출입문에 바르거나 태우면 악기를 물리칠 수 있다. ○ 쇠똥을 태운 재는 구창(灸瘡)이 오랫동안 낫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본초].
▶ 곽란문(霍亂門), 단방(單方).

우분(牛糞, 쇠똥) 곽란(霍亂)으로 토하고 설사하며 사지가 싸늘한 것을 치료한다. 황소의 똥을 물로 달여서 걸러 맑은 즙을 받아 1되를 단번에 먹으면 곧 멎는다[본초].

24, ○ 갓태어난 송아지의 탯줄의 똥은 구규(九竅)로 피를 쏟는 증상을 치료하는데 이것을 태워 재를 만들어 복용한다[본초].
▶ 혈문(血門), 구규출혈(九竅出血).

25, 우유(牛乳, 소 젖)

성질이 약간 차고[微寒](서늘하다[冷]고도 한다) 맛이 달며[甘] 독이 없다. 허하고 여윈 것(虛羸)을 보하며 번갈(煩渴)을 멎게 하고 피부를 윤택하게 한다. 또한 심폐(心肺)를 보하고 열독(熱毒)을 푼다[본초].

○ 우유를 마실 때에는 반드시 1-2번 끓어 오르게 끓여 식혀서 마셔야 한다. 생것을 마시면 이질(痢疾)이 생기고 뜨겁게 하여 마시면 곧 체하게 된다. 또한 단숨에 마시지 말고 천천히 마셔야 한다[본초].
○ 우유와 오줌과 똥으로 병을 치료하는 데는 검정소(黑牛)의 것을 쓰는 것이 황소(黃牛)의 것을 쓰는 것보다 낫다[본초].
○ 젖이나 타락(乳酪)은 신것[酸物]과는 상반약(相反藥)이다[본초].

○ 우유(牛乳, 소 젖) ○ 곧 소젖이다. 오장을 보해준다. 죽을 쑤어서 늘 먹으면 좋다[본초].
○ 우유(牛乳, 소 젖) ○ 폐를 적셔 주고 보해준다. 우유죽을 만들어 늘 먹으면 좋다[본초].
○ 우유(牛乳, 소 젖) ○ 대장을 잘 통하게 해준다. 죽을 쑤어 늘 먹거나 생우유를 마셔도 좋다[본초].
○ 우유(牛乳, 소 젖) ○ 허(虛)하여 몸이 여윈 것을 보해주어 살찌게 해준다. 우유로 죽을 쑤어 늘 먹는것이 좋다[본초].
○ 우유(牛乳, 소 젖) ○ 대장을 잘 통하게 해준다. 죽을 쑤어 늘 먹거나 생우유를 마셔도 좋다[본초].
○ 우유(牛乳, 소 젖) ○ 열독(熱毒)을 풀어주고 가슴에 몰린 열을 없애준다. 생우유를 마시면 좋다. 검정소의 우유가 더욱 좋다[본초].
○ 우유(牛乳, 소 젖) ○ 반위(反胃)와 열격(噎膈: 목이 잠기는 것)을 치료하는 중요한 약이다. 부추즙 2잔, 우유 1잔, 죽력 반잔, 동변 1잔, 생강 반 냥으로 낸 즙을 함께 고루 타서 단번에 먹는다[의감]. ○ 어떤 사람이 반위를 앓고 대변이 굳어 나오지 않았는데, 이것은 정혈(精血)이 고갈되었기 때문이다. 그래서 먼저 사탕수수즙으로 육군자탕(六君子湯: 처방은 담음문:痰飮門을 보라⇒방약합편 상 69면)에 부자 대황을 가하여 달여 먹인 다음 우유만 마시고 다른 음식은 먹지 못하게 하였더니 보름이 지나자 대변이 묽어지면서 나았다[단심].
○ 우유(牛乳, 소 젖) ○ 소갈(消渴)을 치료한다. 생우유를 갈증이 날 때 마신다. 또는 우유죽을 쑤어서 늘 먹어도 좋다[본초].

○ 노인의 보양(老人保養)

만약 늙은이가 점점 피곤해 하고 수척해지면 반드시 덥게 보하는 약을 더 넣어 써야 하며 된죽을 먹으면서 보양해야 한다. 약으로는 보중익기탕(補中益氣湯), 이공산(異功散, 처방은 다 내상문에 있다), 위생탕(衛生湯), 고진음자(固眞飮子, 처방은 다 허로문에 있다)를 쓴다. 또한 병이 들지 않게 하고 건강하게 하며 오래 살게 하는 약 가운데서 골라 쓴다. 소젖(우유)을 일상적으로 먹는 것이 더욱 좋다[입문].

○ 우유죽(牛乳粥, 소젖죽)

소젖 1되에 싸라기를 조금 넣고 죽을 푹 쑤어 늘 먹는 것이 늙은이에게 가장 좋다[종행].

소에 관하여 북한에서 펴낸 <생활과 음식묘리> 76~77면에서는 이렇게 알려주고 있다.

[


우리 조상들은 오래전에 야생소를 길들여 부림소로 이용해 왔으며 고기, 가죽, 피, 눈, 뿔, 쓸개, 우황, 골수, 기름, 젖, 장기들을 보혈, 강장약, 강정약으로 건강과 장수를 위한 약재로 널리 써왔다.

우리나라 한우는 몸통이 다른 나라의 소보다 작지만 머리와 눈이 크며 매력 있는 뿔과 윤기나는 붉은밤색털이 있는 것이 특징이다.

소고기에는 단백질 특히 리진, 트레오닌, 발린, 메티오닌, 로이신 등 필수 아미노산과 올레인산, 팔미틴산, 리놀산 등 기름산, 비타민(A, B1, B2, B6, B12, E, PP), 칼륨, 칼슘, 마그네슘, 나트륨, 유황, 인, 철, 아연, 망간, 동 등 광물질들이 많이 들어 있다.

소고기는 강장작용, 동맥경화증과 빈혈을 막는 작용을 한다.
소고기는 비위허약, 붓는데, 빈혈, 간염 등에 쓰인다.

소간에는 당질, 기름질, 단백질, 비타민, 핵산류, 쓸개즙산, 광물질과 미량원소 등이 들어 있다. 특히 비타민 A, D, E, K, F, B1, B2, B6, B12, B15, C, PP, 팥토텐산, 콜린이 들어 있다. 핵산성분으로는 핵산과 누클레오티드, 누클레오시드 및 플라빈, 아데노신디가 들어 있다.

광물질과 미량원소로는 나트륨, 염소, 칼륨, 칼슘, 마그네슘, 인, 철, 아연, 망간, 동 등이 들어 있다.

소간은 간혈을 보하고 눈을 밝게 하며 영양작용, 해독작용, 동맥경화와 빈혈을 막는 작용, 간기능보호작용,
항암작용을 한다. 소간은 몸이 허약한데, 동맥경화증, 고혈압, 악성빈혈, 야맹증(밤눈어둠증), 눈이 잘 보이지 않는데, 당뇨병 등에 끓여서 먹거나 알약을 만드는데 넣어 먹는다.

소위는 비위를 보하고 소화를 돕는다. 앓고난후 입맛이 없고 소화가 안되는데, 갈증, 어지럼증 등에 쓰이는데 회를 쳐먹거나 끓여서 먹는다.

소창자는 위장을 보하고 치질로 인한 출혈을 멈추게 하며 대장염, 소장염, 치질 등에 끓여서 먹는다.

소콩팥은 신기를 보하고 풍습을 없애는 작용을 한다. 구워서 먹거나 끓여서 먹는다.

소기레는 비를 보호한다.

소기레는 비위가 허약하고 소화가 안되는데, 음식을 먹고 체한데, 헛배가 부른데, 끓여서 먹거나 말리워서 가루를 내어 먹는다.
]  

소의 결석인 우황의 효능에 대해서 중국에서 펴낸 <중국본초도록> 제 5권 235면 2478호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우황(牛黃)

기원: 우과(牛科=소과: Bovidae)동물인 황우(黃牛: Bos taurus domesticus Gmelin) 의 담낭(膽囊), 담관(膽管) 및 간담(肝管) 속에 들어있는 결석(結石)이다.

형태: 소는 대형가축으로 체격이 높고 크며 튼튼하다. 머리는 크고 이마는 넓으며, 입이 크며 코는 둥글고, 콧구멍은 굵고 크며 콧구멍사이의 피부가 광할한 부분을 비경(鼻鏡)이라 한다. 눈은 매우 크고 두정(頭頂)에 긴 뿔이 한쌍 있는데 좌우가 분리되어있고, 전신에 짧은 털이 나며 거의 대부분이 황색(黃色)이다. 사지(四肢)는 건장하며 발굽이 단단하고 꼬리는 비교적 길다.



분포: 소는 성격이 온순하며 식물성 사료를 먹는다. 중국의 각지에서 두루 사육한다.

채취 및 제법: 소를 도살할 때 담낭(膽囊), 담관(膽管) 및 간관(肝管) 속에 결석(結石)을 발견하게 되면 꺼내어서 면으로 싸고 그늘지고 서늘한 곳에 둔다.

성분: 담산(膽酸), 담치순(膽醇), 담홍소(膽紅素).

기미: 맛은 쓰고 성질은 차다.

효능: 식풍(熄風), 화담(化痰), 청열해독(淸熱解毒).

주치: 온병고열신혼(溫病高熱神昏), 전간(癲癎), 옹창종독(癰瘡腫毒).

용량: 0.3-0.8g.

참고문헌: 중국약용동물지(中國藥用動物誌), 1권, 303면.]

상기 자료는 약초연구가로서 지구상에 존재하는 천연물질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고 질병으로 고통을 겪고 있는 환우들에게 희망을 주며 기능성 식품과 신약을 개발하는데 통찰력을 갖게하고 약초를 사랑하는 모든 사람에게 정보의 목적으로 공개하는 것임을 밝혀 둔다.  

(글/ 약초연구가 & 동아대 & 신라대 대체의학 외래교수 전동명)

소(한우) 사진 감상: 네이버+구글+다음+일본구글+대만구굴: 1, 2, 3, 4, 5,

문의 및 연락처: 010-2545-0777 ; 051-464-0307

주소: http://jdm0777.com

페이스북 주소: http://www.facebook.com/jdmsanyacho

이메일: jdm0777@naver.com


참조: 아래에 약이 되는 동물성 천연물질들도 함께 참조해보시기 바랍니다.

 

 

  1. 개(식견) 무엇인가?
  2. 거북이(남생이) 무엇인가?
  3. 고래 무엇인가?
  4. 고슴도치 무엇인가?
  5. 구렁이 무엇인가?
  6. 날다람쥐(누서) 무엇인가?
  7. 뉴트리아 무엇인가?
  8. 다람쥐 무엇인가?
  9. 닭 무엇인가?
  10. 돼지 무엇인가?
  11. 두꺼비 무엇인가?
  12. 두더지(언서) 무엇인가?
  13. 말 무엇인가?
  14. 멧돼지 무엇인가?
  15. 박쥐(복익) 무엇인가?
  16. 박쥐똥 무엇인가?
  17. 산개구리 무엇인가?
  18. 오리 무엇인가?
  19. 우황 무엇인가?
  20. 자라 무엇인가?
  21. 족제비(황서) 무엇인가?
  22. 쥐 무엇인가?
  23. 청개구리 무엇인가?
  24. 청설모 무엇인가?
  25. 큰자라(원) 무엇인가?
  26. 토끼 무엇인가?
  27. 호랑이 무엇인가?
  28. 황소개구리 무엇인가?

 

 

홈페이지 주소 : http://jdm0777.com 클릭하시면 홈으로 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