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강나무 무엇인가?

잎이나 가지에서 생강 냄새가 나는 생강나무

 

 

 

 

 

 

생강나무

 

 

img1.jpg

 

 

 

 

 

 

 

 

[<<생강나무의 새싹, 올라오는 햇잎, 3갈래로 갈라진 잎, 황금무늬잎, 단풍진잎, 잎 앞면, 잎 뒷면, 암꽃, 수꽃, 겨울눈, 겨울눈 잎순과 꽃눈, 막 벌어지고 있는 겨울눈, 푸른 열매, 붉게 익어가는 열매, 종자 및 단면도, 녹황색에 작은 흰색 돌기점이 박혀 있는 어린 가지 껍질, 버즘같은 흰색 무늬가 있는 나무 껍질의 모습, 사진-출처: JDM 촬영>>]

▶ 산후증[임상자료: 산후풍, 산후통, 산후 몸이 붓고 팔다리가 아픈 증상, 손발이 얼음짱처럼 찬데, 식은땀, 두통, 찬 바람이 들어오는 감, 찬물에 손을 넣지 못하는 증상 등], 활혈서근, 산어소종, 근육과 힘줄을 푸는데, 어혈을 없애주는데, 부기를 가라앉히는데, 타박상, 어혈 종통, 타박상으로 어혈이 진데, 복통, 해열제, 기침약, 동백기름 대용으로 머리에 바르는데[여성들의 머릿기름용], 산중에서 무술 수련을 하는 사람이 실수로 허리를 삐거나, 발목 관절을 삐었을 때, 높은 곳에서 낙상하여 심한 타박상을 입었을 때, 삐고, 멍든 데, 타박상의 통증으로 오는 두통, 오한, 근육이 발달하게 하는데, 뼈가 튼튼해지게 하는데, 정신이 맑아지게 하는데, 근육통, 견근골, 부종, 복통, 생강나무 작설차용[봄철 어린 새싹], 이쑤시개용, 어린잎과 자란잎[튀각용, 차용, 나물용], 눈두덩이에 피멍이 들었을 때, 해열, 기침, 피부병, 손발냉한데, 혈액순환촉진, 뇌출혈로 말을 제대로 하지 못할 때[익은 열매], 타박상을 다스리는 생강나무

생강나무는 녹나무과의 갈잎떨기나무이다.

생강나무의 학명은 <Lindera obtusiloba Blume ;
Benzoin obtusilobum O. Kuntz.>이다. 높이는 2~3미터 정도 자라고 개화기는 3~4월이며 결실기는 9월에 쥐눈이 콩알 만한 둥근 열매가 붉은색이었다가 점차 검은색으로 변하여 열매가 익는다. 열매로 기름을 짜서 부인들의 머릿기름으로 썼으며 잎이나 가지를 꺽으면 흔히 양념의 재료로 쓰이는 생강 냄새가 난다고 하여 이름을 "생강나무"라고 부른다.  

나무껍질은 짙은 회색이지만 어린 나무 가지는 황녹색을 띄고 있다. 봄에 돋는 어린잎은 솜털로 덮여 있는데, 암수딴그루로 잎이 돋기 전에 자잘한 노란색 꽃이 꽃자루가 없이 가지에 촘촘히 붙어서 우산처럼 둥글게 모여 핀다.

생강나무에 대해서 중국의 <중약대사전>에서는 말하기를 <
낙엽 관목 또는 작은 교목으로 높이는 3~10m이다. 잎은 어긋나고 달걀 모양이거나 넓은 달걀 모양이며 길이는 6.5~12cm, 너비는 5.5~10cm이고 선단은 뾰족하거나 조금 무디며 가장자리가 밋밋하거나 윗부분이 3개로 갈라져 있고 윗면은 녹색이며 처음에는 짧은 털이 있다가 나중에는 털이 없어지고 밑면은 회녹색이고 황갈색의 견모(絹毛)가 조밀하게 나 있거나 털이 없다. 3출맥이 있다.

잎자루는 길이가 2~3cm이다. 꽃은 단일하게 나고 암수 딴그루이며 연한 황색이다. 취산 화서는 액생하며 총꽃자루는 짧다. 꽃덮이는 6개이고 정상적인 수술은 9개이며 꽃밥은 2실이고 안쪽을 향해 판열(瓣裂)하였다. 핵과는 구형이고 지름은 7~8mm이며 신선할 때에는 적색이고 마르면 회갈색이되며 털이 있다.

산골짜기, 시냇가, 잡목림 속이나 숲의 주변에서 자란다.

중국의 호북, 사천, 강서, 안휘, 강소, 하남, 산동, 요녕, 산서, 섬서 등지에 분포한다.>라고 기록하고 있다.

우리나라에는 생강나무속에 잎이 원형이거나 3갈래로 갈라지는 생강나무, 잎이 고로쇠나무처럼 5갈래로 깊게 갈라지는 고로쇠생강나무, 잎이 전혀 갈라지지 않고 둥그스름한 둥근잎생강나무가 자라고 있다.


생강나무의 다른 이름은
삼찬풍[三鑽風=
sān zuān fēng=쭈안: 섬서중초약(陝西中草藥)], 삼아오약[椏烏藥=Sān yà wū yào=야오, 산호초:山胡椒, 승자수엽:昇子樹葉, 향려목:香麗木, 삼아조장:三椏釣樟, 후추수:猴楸樹, 삼각풍:三角楓, 산강:山薑, 가산노산곤:假山勞山棍, 강양:薑羊: 중약대사전(中藥大辭典)], 홍엽감강[紅葉甘橿: 중국수목분류학(中國樹木分類學), 중국고등식물도감(中國高等植物圖鑒), 진령식물지(秦嶺植物志)], 감강[甘橿, 향려목:香麗木, 후추수:猴楸樹: 하남(河南)], 삼건풍[三鍵風: 섬서(陝西)], 삼각풍[三角風: 사천(四川)], 산강[山薑, 가로산곤:假嶗山棍, 강군:橿軍: 산동(山東)], 녹록시[綠綠柴: 절강(浙江)], 대산호초[大山胡椒: 사천(四川)], 단코우바이[ダンコウバイ=檀香梅, 우콘바나:ウコンバナ=鬱金花, 시로지샤:シロジシャ, 이와즈사:イワズサ, 야마즈사:ヤマズサ: 일문명(日文名)], Japanese spicebush[영명(英名)], 동배나무[북측 방언], 아그사리, 개동백나무, 산동백, 산동백나무, 황매목[黃梅木), 삼첩풍[三風], 황해목[黃海木], 단향매[檀香梅], 산후추, 생나무, 새양나무, 아기나무, 생강나무, 새앙나무 등으로 부른다.

[채취]

1, <중약대사전>: "나무껍질은
1년 내내 수시로 채취할 수 있다."

2, <약초의 성분과 이용>: "가을철에 가지를 잘라서 그늘에 말린다."

[성분]


<중약대사전>: "
나무줄기에는 sitosterol, stigmasterol 및 campesterol이 들어 있다.

가지와 잎은 방향유 0.4~0.6%를 함유한다. 주성분은 linderol 즉 l-borneol이다. 잎은 탄소수가 16~33인 paraffine계 탄화수소를 함유한다.

종자 기름 가운데에는 capric acid, lauric acid, myristic acid, linderic acid(cis-4-dodecenoic acid), 동백산(東柏酸: 4-decenoic acid), tetradecen-4-dodecenoic acid, oleic acid 및 linoleic acid 등이 들어 있다.


[성미]


섬서중초약(陝西中草藥)>: "맛은 맵고 성질은 따뜻하다."

[약효와 주치]


1,
섬서중초약(陝西中草藥)>: "<활혈(活血)하고 근육과 힘줄을 풀며 어혈을 없애주고 부기를 가라앉히는 효능이 있다. 타박상, 어혈 종통을 치료한다."

2, <
동의처방대전 제 6권 347면>: "뇌출혈에 동배나무(생강나무) 열매 40~80g을 물에 달여 하루 3번에 나누어 먹인다."

3, <만병만약>: "
산중에서 무술 수련을 하는 사람이 실수로 허리를 삐거나, 발목 관절을 삐었을 때, 높은 곳에서 낙상하여 심한 타박상을 입었을 때, 뿌리 잔가지 등의 생약재를 모두 사용한다. 잘 게 썰어 생으로 짓찧어 환부에 두껍게 붙인다. 그리고 잔가지, 잔뿌리, 수피를 잘 게 썰어 진하게 달여 마시고 땀을 푹 내고 나면 심하던 통증이 싹 가신다."

[용법과 용량]


1, <중약대사전>: "외용:
짓찧어 바른다.

2, <
만병만약>: "뿌리 잔가지 등의 생약재를 모두 사용한다. 잘 게 썰어 생으로 짓찧어 환부에 두껍게 붙인다. 그리고 잔가지, 잔뿌리, 수피를 잘 게 썰어 진하게 달여 마시고 땀을 푹 내고 나면 심하던 통증이 싹 가신다."

3, <한국의 약용식물>:
"줄기 껍질 10g에 물 700mL를 넣고 달인 액을 반으로 나누어 아침 저녁으로 복용하고, 외용에는 짓찧어서 환부에 붙이거나 바른다."

생강나무의 효능에 대해서 안덕균의
<한국본초도감>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삼첩풍(三
風)

녹나무과의 갈잎떨기나무 생강나무(Lindera obtusiloba Bl.)의 나무껍질이다. 황매목(黃梅木)이라고도 한다.

성미:
맛은 맵고 성질은 따뜻하다.

효능:
활혈서근(活血舒筋), 산어소종(散瘀消腫)

해설:
① 타박상으로 어혈(瘀血)이 진 것을 치료하고, ② 산후에 몸이 붓고 팔다리가 아픈 증상을 치료한다.

성분:
sitosterol, campesterol과 정유가 함유되어 있으며, 정유의 주성분은 inderol이다.]

생강나무의 효능과 관련하여 북측에서 펴낸
<동의처방대전> 제 6권 347면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
동배나무

<뇌출혈>: "동배나무(생강나무) 열매 40~80g을 물에 달여 하루 3번에 나누어 먹인다."

[원식물]

동배나무는 황해남도 이남 산기슭의 양지바른 곳에서 자라는 잎 지는 넓은 잎 떨기나무(높이 5m 안팎)이다. 줄기는 곧추 서는데 가지를 치며 나무껍질은 잿빛 나는 밤색이다. 잎몸은 긴 타원형이며 양 끝은 뾰족하고 잎 윗면은  풀색이다. 뒷면은 흰색을 띤 연한 풀색이고, 보드라운 털이 있다. 4~5월 경 잎아귀에 연한 노란풀색의 작은 꽃이 여러개 모여 핀다.

열매는 둥근 물열매인데 10월 경에 검게 익으며 약간 매운 맛이 있다.

열매를 약으로 쓰는데
뇌출혈로 말을 제대로 하지 못할 때에 쓴다.]

생강나무의 효능에 대해서 북한에서 펴낸 <동의학사전>에서는 이렇게 적고 있다.  

[황매목(黃梅木) //생강나무가지// [본초]

녹나무과에 속하는 낙엽성 관목인 생강나무(Benzoin obtusilobum O. Kuntz.)의 가지를 말린 것이다. 생강나무(개동백나무, 산동백나무)는 각지의 산기슭에서 자란다.

가을에 가지를 잘라 그늘에서 말린다. 가지와 잎에서 생강 냄새가 난다고 하여 생강나무라고 했다. 주로 복통에 쓰며 해열제, 기침약으로도 쓴다.

민간에서는 해열제, 기침약으로 잎과 싹을 차처럼 달여 마신다. 열매에서 짜낸 기름은 동백기름 대용으로 머리에 바른다.
]


생강나무의 효능에 대해 류상채의
<만병만약(萬病萬藥)>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황해목(
黃海木)

이 생약은 단향매, 또는 새앙나무, 생강나무라 부르며 씨앗을 산 후추라 한다. 전국적으로 널리 분포되어 있으며 산야나 숲 속에 흔하게 있다. 꽃이 노랗게 피는 활엽수이다. 전체가 민간요법에 쓰인다. 채취하는 시기는 일년 내내 아무 때나 할 수 있다. 이 생약은 도가(道家)에서 귀하게 여기는 생약재이다. 성전이나 사당, 신당에 차를 올릴 때 이 생약재를 달여 찻잔에 부어 단상에 올리면 신령이 기뻐한다고 한다. 차를 끓여 마시면 은근한 향기가 있어 맛이 독특하다.

또한 산중에서 무술 수련을 하는 사람이 실수로 허리를 삐거나, 발목 관절을 삐었을 때, 높은 곳에서 낙상하여 심한 타박상을 입었을 때, 뿌리 잔가지 등의 생약재를 모두 사용한다. 잘 게 썰어 생으로 짓찧어 환부에 두껍게 붙인다. 그리고 잔가지, 잔뿌리, 수피를 잘 게 썰어 진하게 달여 마시고 땀을 푹 내고 나면 심하던 통증이 싹 가신다.

아무튼 이 생약재는 삐고, 멍든 데, 타박상의 통증으로 오는 두통, 오한 등에 신효한 약재임이 틀림없다. 씨앗을 술에 담가 마시면 근육이 발달하고 뼈가 튼튼해지며 정신이 맑아진다. 술을 담는 법은 재료의 3~4배 정도 되게 술을 붓고 밀봉하여 냉암소에 6개월간 보관한 후 1일 3회 조금씩 상음하면 좋다.
]

생강나무의 효능에 대해서 배기환의
<한국의 약용식물> 120면 127호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생강나무(Lindera obtusiloba Blume) [녹나무과]

갈잎작은큰키나무. 높이 3m. 꽃은 암수딴그루로 3월에 잎보다 먼저 피고 황색이며 꽃대가 없는 산형 꽃차례에 많이 달인다. 열매는 검은 장과로 둥글며 지름 7~8mm로 9월에 흑색으로 익는다.

분포/
전국 숲 속 그늘이나 산골짜기에서 자라며, 일본, 만주, 중국에 분포한다.

약효/
줄기 껍질을 삼찬풍(三鑽風)이라고 하며, 활혈, 산어(散瘀), 소종(消腫), 서근(舒筋)의 효능이 있고, 타박상, 어혈종통을 치료한다.

성분/
줄기 껍질, 잎, 가지에는 capric acid, lauric acid, myristic acid, linderic acid, oleic acid, linoleic acid 등이 함유되어 있다.

사용법/
줄기 껍질 10g에 물 700mL를 넣고 달인 액을 반으로 나누어 아침 저녁으로 복용하고, 외용에는 짓찧어서 환부에 붙이거나 바른다.

참고/
가지를 꺾으면 생강 냄새가 나므로 생강나무라고 한다.]

생강나무의 효능과 관련하여 북측에서 펴낸
<약초의 성분과 이용> 259면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
생강나무

학명:
Benzoin obtusilobum Kuntz.

다른 이름:
아그사리, 개동백나무, 산동백나무, 동배나무

식물:
높이 3~4m 되는 잎지는 떨기나무이다. 잎은 넓은 달걀 모양으로 윗부분이 3개로 갈라졌다. 봄철에 잎보다 먼저 노란색의 작은 꽃이 모여 핀다.

중부와 남부의 산지대에서 자란다.

가지(황매목):
가을철에 가지를 잘라서 그늘에 말린다. 가지와 잎에서 생강 냄새가 난다 하여 생강나무라고 한다.

응용:
동의치료에서 배아픔에 쓰며 열내림약, 가래약으로 쓴다.

민간에서도 열내림약, 가래약으로 어린잎과 싹을 차처럼 달여 마신다. 열매에서 짜낸 기름은 동백기름 대용으로 머리에 바르면 좋다.
]

생강나무에 대해서 최영전의
<한국민속식물>에서는 이렇게 적고 있다.

[생강나무(黃梅木:황매목)

생강나무는 우리나라 전역에 분포하고 있는 녹나무 과에 속한 낙엽관목으로서 옛적부터 우리 생활에 밀접한 관계를 맺어 많은 공헌을 했으므로 곳에 따라 많은 이름 즉 방언이 붙여져 있는 실용적인 나무의 하나이다.

생강나무란 이름을 얻게 된 것은 가지를 꺽어보면 생강냄새가 난다고 해서 생강나무라고 부르게 되었다고 하는데 생강을 [생]이라 하는 지방에서는 이 나무도
[생나무]라 했고 [새양]이라 하는 곳에서는 [새양나무]라 한 것은 매우 재미있는 명명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생강나무의 특징이 이름으로 불리는 곳도 적지 않으나 이 나무는 이른 봄 산골짜기에서 가장 일찍 꽃이 핀다 하여 노소(老少)를 연상하여 [아기나무]라고 하는 곳도 있는가 하면 볼품은 없어도 황금색의 향기로운 꽃이 매화보다도 일찍 꽃핀다 하여 황매목(黃梅木)이니 단향매(檀香梅)라는 중국명을 그대로 적용시켜 부르는 곳도 적지 않다. 그러나 생강나무에 가장 보편적으로 부르는 또 하나의 이름은 [개동백나무]이다.

동백하면 옛날에 우아한 낭자머리를 머리털 한 올도 흐트림 없이 반 듯하고 곱게 매만져 주던 유명한 [동백기름]을 누구나 다 연상할 것이며 오늘날의 화장품 이상으로 애용했다. 그러나 동백나무는 남부 지방에만 국한되어 생장하고 있어 서북지방에서는 아주 귀한 존재로 동백기름이 행세했었다. 그래서 생강나무의 열매로 기름을 짜서 동백기름을 대용으로 머릿기름으로 사용하게 되었으므로 개동백나무라고 부르게 되었다는 것인데 생강나무 열매로 짠 기름은 오히려 더 향기로와서 동백 기름은 일반대중용 머릿기름인 반면에 이는 사대부집 귀부인들이나 고관대작을 상대하는 상류층에 속하는 명기들이 애용하는 고급 머릿기름으로 손꼽혔던 것이다.

그런데 하필이면 [개]라는 정관사를 붙였을까? 우리는 진짜도 아니고 또 좋은 것도 아닌 함부로 된 것을 말할 때 비하해서 [개]를 붙여 부르기를 좋아한다. 식물명에 [개]자가 많은 것은 [비슷하다]는 뜻이 주어져 있다고 풀이한다. 그러나 생강나무에 [개동백나무]라 한 것은 아무래도 옛날의 빈부귀천의 차가 심했던 시절의 고급 머릿기름을 시기한 서민의 저주 섞인 욕설이 그런 표현으로 나타난 것이 아닌가 생각된다. 그러나 맵시와는 상관없이 두메 산골에서는 그을음나는 관솔불 아닌 어둠을 밝히는 등불로서 생강나무 기름은 귀중한 등유(燈油)였다고 하며 귀한 손님이 올 때만 켜는 1등 기름이라 한다.

[아주까리 동백꽃......]하는 속요(俗謠)가 모두 불 밝히는 유지식물을 노래한 것도 전기불 없던 옛날에 등불의 존재를 말해준다.

생강나무의 꽃은 그 피는 것에 따라 그 해의 농사를 미리 점친 농은목 구실도 했다는데 [꽃이 많이 피면 풍년이 들고 띠엄띠엄 피면 흉년이 들겠다]고 염려했다는 것이다. 이것은 황금색이 동양에서 부귀와 연관시켜 생각하는 사고가 빚어낸 관념으로서 눈 덮인 산허리에 황금색 꽃이 만발하며 올해는 풍년이 들겠다고 기뻐했다니 그 시절의 하늘만 쳐다보고 땅과 씨름했던 옛조상의 풍요를 기원하는 애처로운 모습이 잘 나타난 민속이라 할 수 있다.

북쪽에는 생강나무의 꽃을 따서 그늘에서 말렸다가 주머니(향낭)에 넣어 방에 걸어두는 민속이 있는데 이는 추의 속에 꽃피는 강인함이 사기(邪氣)를 쫓는다고 믿은 유감주술적(類感呪術的)인 민속이다.

생강나무 잎은 꽃이 진 후에 돋아나는데 싹이 나와 참새의 혓바닥만큼씩 할 때 따 말렸다가 차로 이용했다. 그래서 차의 일등품인 작설차(雀舌茶)의 이름을 따붙여서 생강나무차를 작설차라고도 한다. 차나무가 남부에만 국한되어 있었으며 또 차가 귀했던 고로 옛날에는 북쪽 지방의 절간이나 풍류를 즐기는 가정에서는 즐겨 생강나무차를 작설차라 부르며 애용했다 한다. 또 불가(佛家)에서 공다(供茶)용으로도 흔히 쓰였다고 한다.

이른 봄에 차를 딴 후의 어린 잎은 따 말렸다가 튀각도 만들고 나물도 먹기도 했다 하니 자원의 활용은 오늘날의 우리가 따를 수 없는 것이 많다.

생강나무의 재목은 향기로와서 향을 만들어 기제사나 동제 등에 사용했다 하며 이는 앞서 말한 벽사의 뜻이 다분히 크게 작용한 흔적이 짙다.  

이 나무로 이쑤시개를 만들어 사용하면 이틀이 좋아진다고 믿은 것은 같은 뜻이 함축되어 있다. 민간약으로 피부병에 줄기를 삶아 그 물로 씻으면 낫는다고 믿고 있다.
]

생강나무에 관하여 중국의 <유기백과(維基百科)>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삼아오약(三椏烏藥)

[과학분류(科學分類)]

(): 식물계(植物界=Plantae)
(): 피자식물문(被子植物門=Magnoliophyta)
(): 쌍자엽식물강(雙子葉植物綱=Magnoliopsida)
(): 장목(樟目=Laurales)
(): 장과(樟科=Lauraceae)
(): 산호초속(山胡椒屬=Lindera)
(): 삼아오약(三椏烏藥=L. obtusiloba)
이명법(二名法): Lindera obtusiloba Bl.

[변종(變種)]

1, 삼아오약(三椏烏藥: L. o. var. obtusiloba)
2,
전장조장(滇藏釣樟: L. o. var. heterophylla)

三椏烏藥(學名: Lindera obtusiloba爲樟科山胡椒屬的植物分布於朝鮮日本以及中國大陸的福建西藏湖南甘肅四川江西浙江湖北山東陝西遼寧江蘇安徽河南等地生長於海拔20米至3,000米的地區多生長於山穀及密林灌叢中目前尚未由人工引種栽培

[별명(別名)]

홍엽감강[紅葉甘橿: 중국수목분류학(中國樹木分類學), 중국고등식물도감(中國高等植物圖鑒), 진령식물지(秦嶺植物志)], 감강[甘橿, 향려목:香麗木, 후추수:猴楸樹: 하남(河南)], 삼건풍[三鍵風: 섬서(陝西)], 삼각풍[三角風: 사천(四川)], 산강[山薑, 가로산곤:假嶗山棍, 강군:橿軍: 산동(山東)], 녹녹시[綠綠柴: 절강(浙江)], 대산호초[大山胡椒: 사천(四川)]

[변종(變種)]

1, Lindera heterophylla Meissn.
2, Lindera obtusiloba Bl. var. heterophylla (Meissn.) H. P. Tsui
3, Lindera obtusiloba Bl. var. praetermissa (Grierson et Long) H. P. Tsui
4, Lindera obtusiloba Bl. var. villosa (Bl.) Kitag.

[참고문헌(參考文獻)]

昆明植物研究所. 三椏烏藥(原變種). 中國高等植物數據庫全庫. 中國科學院微生物研究所. [2009-02-20]. (原始內容存檔於2016-03-05).]




[<<"황금무늬잎생강나무", 잎이 5갈래로 갈라지는 "고로쇠생강나무(
Lindera quinquelobum)", 잎이 갈라지지 않는 "둥근잎생강나무(Lindera ovata)", 사진-출처: JDM 촬영>>]

생강나무로 질병을 치료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산후풍(산후증, 산후통, 아이를 낫고 몸조리를 못해 손발이 냉한데 등)
생강나무 줄기를 잘 게 썬 것 50g을 물에 달여 하루 2~3번에 나누어 먹는다.  

임상자료:
산후증 환자 89례를 위의 방법으로 5~7일 동안 치료한 결과 찬 바람이 들어오는 감, 찬물에 손을 넣지 못하는 증상, 머리아픔, 식은 땀 등이 대상환자의 90% 이상에서 없어졌거나 덜어졌다. 30일 동안 치료한 다음 완전히 나은 환자가 17례, 좀 나은 환자가 8례였다. [누구나 할 수 있는 고려치료 474면]

2, 뇌출혈로 말을 제대로 하지 못할 때

동배나무(생강나무) 열매 40~80g을 물에 달여 하루 3번에 나누어 먹는다. [동의처방대전 제 6권 347면]

3, 눈두덩이에 피멍이 들었을 때
경남 거제시에 거주하고 있는 <임채오> 약사모 회원님께서 2008년 3월 13일 생강나무잎의 체험담을 산야초 연구소에 보내주었는데 그 내용은 아래와 같다.

[눈두덩이에 피멍이 들었을 때

저는 또 집회에서 한눈의 눈두덩이 맞아 피멍이들고 부어 앞이 보이지 않아 불편함은 물론 남보기가 미안해서 병원에가서 빨리 멍이나 부은것을 가라 않히고자 하였으나 약 3주일 정도 되어야 가라않는다는 의사의 말을 듣고 내가 약초를 실험하고자 검토하고 가까운 산에서 생강나무잎의 즙을 짜서 누워잘때 거즈에 적셔 눈위에 올리고 3일동안 했더니 부은것과 멍이 가시는 것을 보고 토종 산야초의 신기함을 느꼈습니다.
]

이른 봄철에 산기슭에 잎이 나오기 전에 노란색으로 아름답게 물들이며 피는 모습이 멀리서 보면 산수유꽃과 비슷하게 아름다운 모습을 보여주는데 생강나무는 말없이 보는이로 하여금 눈을 즐겁게 해 주고 봄이 왔다는 전령사의 역할을 톡톡히 해주고 있다. 그 아름다운 모습에 취해서 꽃가까이에 가노라면 은은한 생강냄새가 나면서 그 향이 너무 진하다 못해 어딘가 모르게 비릿한 지린내가 나기도 한다. 

생강나무를 삼첩풍이라고도 불린다. 맛은 맵고 따뜻하다. 타박상으로 어혈이 진 것을 치료하고 산후에 몸이 붓고 팔다리가 아픈 증상을 치료한다. 열매에서 기름을 짜내어 부인네들이 머릿기름으로 써 왔기 때문에 산 동백나무라고도 부른다. 또는 황매목, 단향매, 산후추라고도 부른다.

봄에 새순이 올라오는 모습이 마치 참새혓바닥을 닮았다고 하여 생강나무의 새순을 채취하여 작설차의 재료로 사용되기도 하는데 그 맛과 향이 일품이다.  

사용부위는 주로 잔가지를 이용한다. 1년 내내 채취할 수 있으며 햇볕에 말려서 잘게 썰어서 달여 먹는다. 잎과 열매도 말려서 달여 먹는다. 봄철에 연한 어린잎은 쌈을 싸서 먹어도 좋다. 해열, 소종의 효능이 있으며 멍든 피를 풀어주는 작용도 한다. 산후풍, 오한, 복통, 신경통, 멍든 피로 인한 통증, 타박상, 발을 헛디뎌 삔데 사용한다.
말린가지를 30~50그램 정도를 200cc의 물을 붓고 반으로 줄어들도록 달여서 하루 3번 식후에 복용한다. 멍든곳의 통증과 타박상이나 삔 상처에는 생것을 짓찧어 환부에 붙여 준다. 씨를 산후추라하여 약용으로 사용하며, 가지를 달여서 차 대용으로도 마신다.

상기 자료는 약초연구가로서 우리땅에 존재하는 천연물질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고 질병으로 고통을 겪고 있는 환우들에게 희망을 주며 기능성 식품이나 신약을 개발하는데 통찰력을 갖게하고 약초를 사랑하는 모든 사람에게 정보의 목적으로 공개하는 것임을 밝혀 둔다.

 

(글/ 약초연구가 & 동아대 & 신라대 대체의학 외래교수 전동명)

참조: 아래에 누구나 프린터할 수 있는 아래한글 문서입니다. '주는 것이 받는 것 보다 더 행복하다'는 취지를 실천하기 위한 사랑과 자비의 서비스입니다. 경제적인 부담(종이값, 잉크, 토너 비용 등)이 되신다면 아래의 문서를 각자의 컴퓨터 및 기타 저장매체에 담아 놓고 볼 수 있습니다. 소중한 자원낭비가 되지 않기 위하여 프린터하기 전에 한번더 개인적으로 결정해 보시기 바랍니다. 여러분 모두도 다른 사람에게 더 많이 주어서 더 행복하시기 바랍니다.

아래한글문서 7쪽 분량을 프린터할 수 있는 사랑과 자비의 서비스: 1, 생강나무 무엇인가?

아래한글문서 1쪽 분량을 프린터할 수 있는 사랑과 자비의 서비스: 2, 생강나무 무엇인가?

생강나무 사진 감상 번호 클릭: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네이버+구글+다음+일본구글+대만구글: 1, 2, 3, 4, 5,

생강나무 상세 사진 웹사이트: 1, 2, 3, 4, 5, 6, 7,

문의 및 연락처: 010-2545-0777 ; 051-464-0307

홈주소: http://jdm0777.com

페이스북 주소: http://www.facebook.com/jdmsanyacho

이메일: jdm0777@naver.com


아래의 비슷한 식물도 함께 참조해 보시기 바랍니다.

 

 

  1. 감태나무 무엇인가?
  2. 비목나무 무엇인가?
  3. 생강나무 무엇인가?
  4. 털조장나무 무엇인가?

 

 

※ 아래에 jdm 필자가 찍은 생강나무/황금무늬잎 생강나무/고로쇠생강나무/둥근잎생강나무 사진도 감상해 보시고 행복하시기 바랍니다~~~^.^

 
 





<잎이 5갈래로 갈라지는 "고로쇠생강나무(Lindera quinquelobum)">


 <잎이 갈라지지 않는 "둥근잎생강나무(Lindera ovata)">

 

홈페이지 주소 : http://jdm0777.com 클릭하시면 홈으로 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