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백초 무엇인가?

꽃과 뿌리와 잎이 흰색인 삼백초

 

 

 

 

 

 

 

 

 

 

 

 

[삼백초의 잎, 꽃, 뿌리, 열매, 종자, 건조한 잎, 사진출처: 일본/대만/한국 구글 이미지 검색]

항산화작용, 노화방지작용, 해독작용, 항암작용[각종암, 간암, 폐암, 위암 등], 청리습열, 소종, 해독, 수종, 황달, 옹종, 정창염종, 수구풍, 각기로 이미 경이 부종으로 되어 이것을 누르면 손가락 자국이 함몰되는 증상, 임탁, 각기, 열림, 부인의 적백대하, 부스럼, 급성유선염, 복수가 있고 음식을 먹지 못하는 간암, 자궁탈출증[임상보고], 편두통, 만성 피로, 멀미, 숙변, 비만, 피부병, 간장병, 신장병, 정력증강, 변비, 가래삭임, 뱃속의 덩어리와 혹, 간장병, 당뇨병, 신장의 질병, 부종, 장을 맑게하는데, 근골과 근육을 강화하는데, 이뇨, 혈액순환, 냉대하, 동맥경화, 고혈압, 심장병, 부인병, 뇌졸중 예방을 다스리는 삼백초

삼백초는
쌍떡잎식물 후추목 삼백초과의 여러해살이풀이다.

삼백초의 학명은 <Saururus chinensis Baill.>이다. 삼백초속은 전세계에 1종이 뿐이며 우리나라에는 제주도에 1종이 자라고 있다.

습지에서 자라며 키는 30~90cm이고 땅속줄기는 옆으로 뻗으며 흰색의 수염뿌리이다. 줄기는 직립하거나 아랫부분이 땅에 눕고 세로로 모서리가 있으며 털이 없다. 잎은 어긋나고 긴 난상 타원형이며 끝이 뾰족하다. 잎은 통상 초여름에 백색으로 변한다. 잎에 5~7맥이 있으며 가장자리는 밋밋하고 표면은 연한 녹색이며 뒷면은 흰색이다. 윗부분에 달린 2~3장의 잎은 표면이 흰색이다. 잎자루는 밑부분이 약간 넓어져 줄기를 감싼다. 꽃은 양성화이고 흰색이며 이삭화서는 밑으로 처지다가 곧게 선다. 개화기는 5~8월이고 결실기는 6~9월이다. 우리나라 제주도를 비롯하여 일본, 중국, 필리핀 등지에 자생한다.

열매는 둥글고 종자가 각 실에 1개씩 들어 있다. 뿌리, 잎, 꽃이 흰색이기 때문에 삼백초라고 한다. 한방에서는 식물체 전체를 말려 몸이 붓고 소변이 잘 안 나올 때 쓰고, 각기, 황달, 간염 등에도 사용한다. 한국,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하며, 멸종위기 야생식물 2급으로 지정되어 있다.

꽃과 뿌리가 흰색이고 윗부분에 달린 2~3장의 잎이 흰색이기 때문에 삼백초(三百草)라고 불리운다.  

삼백초의 다른 이름은
삼백초[三百草=
sān bǎi cǎo=바이V차오V: 당본초(唐本草)], 수목통[水木通: 본초강목습유(本草綱目拾遺)], 오로백[五路白, 백수계:白水鷄: 복건민간초약(福建民間草藥)], 수반심오[水伴深烏, 백면고:白面姑: 광서중수의약식(廣西中獸醫藥植)], 과당연[過塘蓮: 남영시약물지(南寧市藥物誌)], 삼점백[三點白, 수우초:水牛草, 수구절연:水九節蓮: 강서민간초약(江西民間草藥)], 백화연[白花蓮, 백엽연:白葉蓮: 강서민간초약험방(江西民間草藥驗方)], 1백2백[一白二百: 호남약물지(湖南藥物誌)], 전삼백[田三白, 토옥죽:土玉竹, 백황각:白黃脚: 민동본초(閩東本草)], 오엽백[五葉白, 백통조:白桶朝, 백화조수연:白花照水蓮: 복건중초약(福建中草藥)], 천성초[天性草: 중초약치종류자료선편(中草藥治腫瘤資料選編)], 산빠쿠소우[サンパクソウ=三白草, 사무뻬쿠쵸:サムペクチョ=三百草, 한게쇼우:ハンゲショウ=半夏生, 카타시로구사:カタシログサ=片白草: 일문명(日文名)] 등으로 부른다.

삼백초 뿌리의 다른 이름은
삼백초근[三百草根: 당본초(
唐本草)], 삼백근[三百根: 보결주후방(補缺肘後方)], 당변우[塘邊: 생초약성비요(生草藥性備要)], 지우[地: 안과요람(眼科要覽)], 백절우[百節: 식물명실도고장편(植物名實圖考長編)], 과당우[過塘, 수연우:水蓮藕: 광서중수의약식(廣西中獸醫藥植)], 백연우[白蓮藕: 광서중약지(廣西中藥誌)], 구절우[九節: 강서민간초약험방(江西民間草藥驗方)], 천성초근[天性草根: 중국약치종류자료선편(中國藥治腫瘤資料選編)] 등으로 부른다.

[채취]


<전초>


<중약대사전>: "7~9월에 지상 부분을 채취하여 햇볕에 말린다."

<뿌리>


<중약대사전>: "7~9월에 지하 뿌리 줄기를 캐내어 흙을 깨끗이 제거하고 더운 물에 몇 분 동안 담근 다음 꺼내어 햇볕에 말린다.

[약재(藥材)]


<뿌리>


<중약대사전>: "뿌리 줄기는 결이 곱고 치밀하며 연하고 굵다. 그 주위에는 수염뿌리와 같은 뿌리가 많다. 말린 근경(根莖)의 질은 단단하면서도 취약하며 단면은 과립상이다. 중국의 강소(江蘇), 절강(浙江), 안휘(安徽), 광서(廣西), 사천(四川) 등지에 분포되어 있다."

[성분]


<전초>


<중약대사전>: "전초는 정유를 함유한다. 주성분은 methyl-n-nonene이다.

줄기는 가수 분해성 탄닌 1.722%를 함유하고

잎은 puercetin, quercitrin, isoquercitrin, avicularin, flyperin, rutin 및 가수 분해성 탄닌 0.544%를 함유하고 있다."

<뿌리>


<중약대사전>: "뿌리는 아미노산, 유기산, 당류 및 가수 분해성 탄닌 0.49%를 함유한다."

[성미]


<전초>


1, <중약대사전>: "맛은 쓰고 매우며 성질은 차다."

2, <당본초>: "맛은 달고 매우며 성질은 차고 독이 조금 있다."

3, <복건중초약>: "맛은 쓰고 매우며 성질은 서늘하다."

<뿌리>


1, <중약대사전>: "맛은 달고 매우며 성질은 차다."

2, <생초약성비요>: "맛은 달며 성질은 차고 서늘하다."

3, <본초구원>: "맛은 달고 매우며 성질은 차다."

4, <분류초약성>: "맛은 쓰고 성질은 덥다."

[약효와 주치]


<전초>


1, <중약대사전>: "습열사(濕熱邪)를 제거하고 부기를 가라앉히고 해독하는 효능이 있다. 부종, 각기, 황달, 배뇨가 곤란하면서 소변색이 뿌연 증상, 월경조절, 근골치료, 이질, 대하, 옹종, 정독을 치료한다."

2, <당본초>: "부종, 각기를 치료하고 대소변(大小便)을 배설시키며 담벽(痰癖), 적취(積聚), 정종(
疔腫)을 치료한다."

3, <본초습유>: "짓찧어 짠 즙을 복용함으로써 토역(吐逆)케 하여 흉격열담(
胸膈熱痰)을 제거하고 또한 학질(瘧疾) 및 소아 비만(痞滿)을 치료한다."

4, <식물명실도고>: "근골을 치료하고 부인의 월경을 조절하는데 많이 쓴다."

5, <영남채약록>: "임탁(淋濁)을 치료하고 이소변(利小便)하며 열독을 제거한다."

6, <광서중약지>: "여자 백대(白帶) 및 사기(
邪氣)를 치료한다."

7, <본초추진>: "회림(火琳), 허림(虛琳), 황달을 치료한다."

8, <호남약물지>: "이질, 사교상(蛇咬傷)을 치료한다."

<뿌리>


1, <중약대사전>: "소변이 잘나오게 하고 습을 거두며 열을 내리고 해독하는 효능이 있다. 각기경종(脚氣脛腫), 임탁(淋濁), 대하(帶下), 옹종(癰腫), 개선(疥癬)을 치료한다."

2, <본초강목>: "
각기(脚氣), 풍독(風毒), 경종(脛腫)을 치료하는 데는 짓찧어서 술과 함께 복용한다. 또한 탕액으로 개선(疥癬)을 씻는다."

3, <생초약성비요>: "
임탁(淋濁)을 치료하고 이소변(利小便)하며 열독을 가시게 한다. 썩은 육골(肉骨)을 제거하는 데에는 진매(陳梅)와 함께 바른다."

4, <분류초약성>: "부인의 적백 대하를 치료한다."

5, <민간상용초약휘편>: "
대소변을 배출시키고 흉격(胸膈)을 소통시키며 학질의 주기적인 발작을 예방하고 부기를 가라앉히게 한다."

6, <중경초약>: "
보기(補氣)하고 비장을 튼튼하게 하며 제습한다. 백대(白帶), 노병(癆病), 해수, 토혈(吐血), 허종(虛腫)을 치료한다. 또 타박상에도 쓴다. 풍습에는 약주에 담그어 쓴다."

[용법과 용량]


<전초>


<중약대사전>: "내복: 3~5돈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또 짓찧은 즙을 마신다.

외용: 짓찧어 바르거나 달인 물로 씻는다."

<뿌리>


<중약대사전>: "내복: 3~5돈(신선한 것은 1~3냥)을 물로 달여서 복용하거나 찧은 즙을 복용한다.

외용: 달인 물로 씻거나 가루내어 개어서 바른다."

삼백초의 효능에 대해서 북한에서 펴낸
<약초의 성분과 이용>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삼백초(Saururus chinensis Baill.)

식물: 높이 60~100cm 되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잎은 긴 달걀 모양 또는 타원형이고 밑부분은 심장 모양이다. 여름철에 흰색의 작은 꽃이 이삭 모양으로 모여 핀다.

남부(제주도)의 들판, 물가에서 자란다.

응용: 민간에서 잎과 줄기는 부기, 각기 등에 오줌내기약으로, 뿌리는 풍독, 종창에 쓴다.]

삼백초의 효능에 대해서 안덕균의
<한국본초도감>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삼백초(三白草)

삼백초과의 여러해살이풀 삼백초(Saururus chinensis Baill.)의 지상부이다.

성미: 맛은 쓰고 매우며 성질은 차다.

효능: 청영이습(淸熱利濕), 소종해독(消腫解毒)

해설: ① 이습(利濕) 작용이 있어서 전신이 붓고 소변이 잘 나오지 않을 때 쓰며, ② 황달에도 유효하다. ③ 종기, 악창(惡瘡)에 짓찧어 붙이며, ④ 부인의 백대하(白帶下)에도 활용된다.

성분: methl-n-nonyl-ketone, tannin 1.722%, quercitrin, isoquercitrin, avicularin 등이 함유되어 있다.]

삼백초의 효능에 대해서 중국에서 펴낸 <중국본초도록> 제 4권 51면 1577호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삼백초(三白草)

기원: 삼백초과(三白草科: Saururaceae)식물인 삼백초(三白草: Saururus chinensis (Lour.) Baill)의 지상전초(地上全草).

형태: 다년생 초본으로 높이는 3080cm이다. 줄기는 직립해 있거나 아랫부분이 땅에 엎드려 있으며 털이 없다. 잎은 단엽(單葉)으로 어긋나며, 잎자루는 길이가 23cm이고 기부(基部)는 줄기를 싸고 있고, 엽편(葉片)은 난형(卵形) 혹은 난상(卵狀) 피침형(披針形)이며, 엽저는 심장형(心臟形)으로 대략 귀모양이며 엽저에서 나오는 맥()5갈래가 있고, 화서(花序) 아래 23장의 잎은 보통 유백색(乳白色)이다. 총상화서(總狀花序)는 줄기의 윗쪽 끝에서 달리 피며 잎과 마주나고, 화서축(花序軸)과 화서(花序)에는 짧은 유모(柔毛)가 있으며, 꽃은 작고 양성이며 꽃잎은 없고 포편액(苞片腋)안에서 피며, 수술은 6개이고, 수술대와 꽃밥의 길이는 같으며, 암술은 1개로 4개의 심피(心皮)가 연합되어 이루어져 있으며, 암술대는 4개로 바깥쪽으로 구부러져 있다. 열매는 삭과(蒴果)로 성숙한 후에 頂端부위에서 부터 벌어진다. 종자는 원형(圓形)이다.



분포: 습기가 있는 저지대나 물가까운 땅에서 자란다. 중국의 장강(長江) 이남의 각 지역에 분포.

채취 및 제법: 79월에 채취하여 햇볕에 말린다.

성분: quercitrin, isoquercitrin, avicularin등을 함유한다.

기미: 맛은 쓰고 매우며 성질은 차다.

효능: 청리습열(淸利濕熱), 소종(消腫), 해독(解毒).

주치: 수종(水腫), 각기(脚氣), 황달(黃疸), 임탁(淋濁), 대하(帶下), 옹종(癰腫), 정창(疔瘡).

용량 및 용법: 525g. 즙을 내어 마시기도 한다. 외용시(外用時)에는 갈아서 붙이거나 끓인 물로 씻는다.

참고문헌: 중약대사전, 상권, 0104호.]

삼백초로 질병을 치료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

<전초>


1, 정창염종(
瘡炎腫)
삼백초의 신선한 잎 한 줌을 짓찧어 환부에 붙인다. 1일 2회 바꾸어 붙인다. [복건민간초약(
福建民間草藥)]

2, 수구풍(繡球風)

신선한 삼백초를 짓찧은 즙액으로 환부를 씻는다. [절강천목산약식지(
浙江天目山藥植誌)]

<뿌리>

3, 각기(脚氣)로 이미 경(脛)이 부종으로 되어 이것을 누르면 손가락 자국이 함몰되는 증상

삼백초 뿌리를 짓찧어 술과 함께 마신다. [보결주후방(
補缺肘後方)]

4, 임탁(淋濁), 각기(脚氣)

신선한 삼백초 뿌리 37.5g을 달여서 복용한다. [강서민간초약(
江西民間草藥)]

5, 열림(熱淋)

삼백초 뿌리 37.5g을 쌀뜨물(두 번째 뜨물)과 함께 달여서 복용한다. [강서민간초약(
江西民間草藥)]

6, 부인의 적백대하(赤白帶下)

삼백초 뿌리 37.5g을 정저육(精猪肉) 75g의 탕액으로 달여서 복용한다. [강서민간초약(
江西民間草藥)]

7, 부스럼

햇볕에 말린 삼백초 뿌리를 분말로 하여 벌꿀 또는 계란 흰자위와 섞어서 환부에 도포하여 1일 1회 바른다. [강서민간초약(
江西民間草藥)]

8, 급성유선염

신선한 삼백초 뿌리 37.5~75g과 두부 적당량을 달여서 복용하고 찌꺼기를 짓찧어 환부에 붙인다. [복건중초약(
福建中草藥)]

9, 복수(腹水)가 있고 음식을 먹지 못하는 간암

천성초근[天性草根: 삼백초 뿌리]과 야개채(野芥菜), 대계(大
薊: 엉겅퀴)의 뿌리 각각 113~150g을 제각기 따로 따로 달여서 찌꺼기를 제거하고 흰설탕 적당량을 가하여 오전에는 삼백초 뿌리, 오후에는 개채근(芥菜根)을 복용한다. [중초약치종류자료선편(中草藥治腫瘤資料選編)]

10, 자궁탈출증
(임상보고)
신선한 삼백초 뿌리 300g을 잘 게 썰어 물을 적당히 가하여 삶아서 푹 인힌 다음 찌꺼기를 버리고 즙을 취하여 찹쌀 300g을 넣고 찰밥을 만들어 저녁 식사로 복용한다. 1일 1회, 10일을 1치료 기간으로 하여 2~3치료 기간 복용을 계속하면 좋다.

1치료 기간을 거친 11례 중, 완치된 것(자궁이 수축하여 원래 위치에 돌아가서 보통 집안일을 하여도 자궁이 탈출되지 않고 자각 증상이 소실된 것)이 5례, 현효(자궁 탈출의 정도가 줄어들거나 수축된 후 격심한 기침을 하거나 과로했을 때 탈출하는 경우가 있더라도 자각 증상이 뚜렷하게 감소된 증상) 3례였고 기타의 3례는 만족할 만한 치료 효과를 얻지 못했다.

그 중 1도, 2도의 환자에 대한 치료 효과는 비교적 좋았다. 치료 과정에서는 부작용은 아직 발견되지 않았다. [중약대사전(中藥大辭典)]

천연약자원연구가인 조규형의
<삼백초 건강법>에서는 삼백초의 효능이 아래와 같은 질병에 효험이 있다고 기록하고 있다. 방대한 자료 가운데 질병명만 간추려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항산화작용, 노화방지작용, 해독작용, 항암작용(간암, 폐암, 위암), 편두통, 만성 피로, 멀미, 숙변, 비만, 피부병, 간장병, 신장병, 정력증강, 변비, 가래삭임, 뱃속의 덩어리와 혹, 간장병, 당뇨병, 신장의 질병, 부종, 장을 맑게하는데, 근골과 근육을 강화하는데, 이뇨, 혈액순환, 냉대하, 동맥경화, 고혈압, 심장병, 부인병, 뇌졸중 예방>

기록 가운데 교포의사인 박순식 씨가 말기 암환자 80명중 72명을 고쳤다는 신문 보도를 실고 있다. 현대과학에 의하면 삼백초에 들어 있는 성분중 "쿠에르치트린과 탄닌"이 경이의 항암작용을 한다고 밝히고 있다. 

집안이나 주위에 텃밭이 있다면 삼백초를 직접 재배하여 가꾸어 보기를 추천한다. 꽃도 감상하면서 흰색과 푸른색을 가지고 있는 잎도 아름답다. 가정상비약으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삼백초 효소 찌꺼기 활용법]

효소를 만들고 나서 남는 찌꺼기는 한군데 잘 보관해 두었다가 먹을 만큼 물을 부어 냉장고에 2~3일 보관한 후 마시면 된다.

또는 1회용씩 세분하여 냉동실에 보관해 놓았다가 60도 이하의 미지근한 물에 우려 먹으면 차 대용으로도 좋다. 이때 온도는 반드시 효소가 파괴되지 않도록 40도 이상 끓지 않게 한다. 또한 매실같은 열매류는 종자를 제거한 후 사용하고, 더덕같은 뿌리류는 잘게 찢어서 장아찌를 담아 먹으면 좋다. 때로는 찌꺼기를 끓여서 그 물을 장아찌 담을 때 이용하면 연한 맛이 배어 장아찌의 맛이 더 좋아진다.

1, 적당량씩 묶어서 물에 우려 먹거나 양이 많은 것은 이웃에게도 나누어 준다.

2, 이웃에게 나누어 주면서 담금주를 담아두었다가 마시면 아주 맛이 일품이다.

3, 장아찌, 쨈, 된장찌개, 각종 요리에 넣어서 음용한다.

4, 재활용하고 남은 찌꺼기는 식물에 거름으로 주면 식물이 영양성분을 잘 흡수하여 건강하게 자란다. [출처: 인터넷에서 올라온 자료를 jdm이 편집함]


상기 자료는 약초연구가로서 지구상에 존재하는 천연물질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고 질병으로 고통을 겪고 있는 환우들에게 희망을 주며 신약을 개발하는데 통찰력을 갖게하고 약초를 사랑하는 모든 사람에게 정보의 목적으로 공개하는 것임을 밝혀 둔다.  

(글/ 약초연구가 & 동아대 & 신라대 대체의학 외래교수 전동명)

삼백초
사진 감상: 1, 2, 3, 4, 5, 6, 네이버+구글+다음+일본구글+대만구글: 1, 2, 3, 4, 5,

백초 상세 사진 일본 웹사이트: 1,

문의 및 연락처: 010-2545-0777 ; 051-464-0307

홈주소: http://jdm0777.com

페이스북 주소: http://www.facebook.com/jdmsanyacho

이메일: jdm0777@naver.com


참조: 아래에 비슷한 식물도 함께 참조해 보시기 바랍니다.

 

 

  1. 삼백초 무엇인가?
  2. 어성초 무엇인가?

 

 

※ 아래에 jdm 필자가 찍은 삼백초 사진도 감상해 보시고 행복하시기 바랍니다~~~^.^

 

 

홈페이지 주소 : http://jdm0777.com 클릭하시면 홈으로 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