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아다 무엇인가?

항암 작용이 가장 센 4가지 약초 중 한가지 해아다

 

 

 

 

 

 

 

 

img1.jpg

 

 

[아다의 꽃이 핀 전체, 세밀화, 아다의 농축 결정체, 아다구등의 세밀화 모습, 사진출처: 일본/대만/홍콩 구글 이미지 검색]

▶ 항암작용, 항균작용, 담을 제거하는데, 해수, 지혈, 아감구창, 주마아감, 급성 편도선염, 축농증, 하감음부소양, 치창종통, 모든 옹저와 각종창, 귀두가 곪은데, 화상, 결막, 비강염, 구강염, 혈변, 혈뇨, 칼 따위에 베인 상처, 소화촉진, 소아 소화불량, 정신을 맑게하는데, 잠을 적게자게 하는데, 소갈, 코피, 습진, 자궁경관염, 헌데가 오래 아물지 않는데, 습진, 외상 출혈을 다스리는 해아다

해아다는 콩과 식물 아다(兒茶)의 지간(枝桿)이나 꼭두서니과 식물 아다구등(兒茶鉤藤)의 가지와 잎을 달인 즙을 농축한 건조한 침출물이다.

아다는 중국의 운남, 광서에서 재배되고 아다구등은 원산지가 인도, 스리랑카, 말레이시아 등지이다.

먼저
아다[兒茶: Acacia catechu (L.) Willd]는 낙엽 교목으로 높이는 6~13m이다. 나무껍질은 갈색이거나 회갈색이고 항상 조각 모양으로 갈라지지만 탈락하지는 않는다. 작은 가지는 매우 가늘고 유약하며 갈색, 또는 노갈색이다. 잎은 2회 깃꼴겹잎이고 어긋난다. 자루와 잎줄기의 길이는 6~12cm이고 모두 길고 누운 털로 덮여 있으며 잎줄기의 기부에는 긴 타원형의 샘선이 있다.

img1.jpg
[아다의 전체모습, 사진출처: 홍콩 구글 검색]


깃꼴의 잎몸은 10~20쌍이고 길이는 2~4cm이며 짧은 자루가 있다. 깃 조각은 28~50쌍이고 평행으로 배열되었거나 엎어 놓은 기왓장 모양을 이루며 자루가 거의 없다. 윗면은 진한 녹색이고 밑면은 색이 약간 연하며 양면이 모두 성글게 털이 있다. 총상 화서는 액생하며 꽃은 황색 또는 백색이다. 꽃받침의 기부는 원통 모양으로 연결되고 상부는 갈라지며 열편은 반원형이고 성글게 털이 있다.

꽃잎은 5개이고 피침형이거나 달걀 모양 타원형이고 선단은 약간 내측으로 들어가 있다. 수술은 다수이고 꽃부리 밖으로 뻗어 있다. 암술은 한 개이고 상위 씨방으로 달걀 모양이며 암술대는 가늘고 길다. 협과이고 열매 꼭지를 포함하여 길이는 6~12cm이고 너비는 1~2cm이며 선단은 급격하게 뾰족해진 모양이다. 기부는 좁은 쐐기 모양으로서 편평하고 얇으며 자갌핵이고 광택이 있다.

[아다의 농축 결정체, 사진 출처: 대만 구글 웹검색]


종자는 7~8개이다. 개화기는 8~9월이고 결실기는 10~11월이다. 중국의 운남(雲南), 광서(廣西) 등지에서 재배된다.

두 번째로
아다구등[兒茶鉤藤: Uncaria gambier Roxb.]은 상록 등본 식물이다. 나무껍질은 갈색이고 가지는 마주 난다. 잎은 마주 나며 두 잎의 기부 측면에 대형의 턱잎이 2개 있다. 잎자루는 길이가 약 1cm이고 잎몸은 가죽질이며 달걀 모양 또는 사각형에 가까운 타원형으로 길이는 9cm이고 너비는 5cm이며 선단은 완만하게 뾰족해진 모양이다. 기부는 원형이고 측맥은 6~7쌍이며 밑면의 잎맥에 털이 약간 있는 외에는 양면에 모두 털이 없다. 꽃은 여러 개가 모여서 액생하는 둥근 두상화서를 이루고 총꽃자루는 길이가 2.5~4cm이며 상부의 꽃에 가까운 부분에 돌려나는 작은 총포가 4개 있다. 꽃은 연한 분홍색이고 지름이 5~7mm이며 꽃받침은 합생하고 끝부분은 5개로 깊게 갈라진다. 짧고 부드러운 털로 덮여 있다. 꽃부리는 작은 나비 모양이고 화통(花筒)은 가늘고 길며 열편은 5개이다.


[아다구등, 사진출처: 대만 구글 웹검색]


거꿀달걀꼴의 수술은 5개이고 화통(花筒)의 목 부위에 생기며 꽃실은 매우 짧다. 암술은 1개이고 하위 씨방이며 2실이고 밑씨는 다수이다. 또 짧고 부드러운 털로 덮여 있고 암술대는 가늘고 길며 꽃부리 밖으로 뻗어나간 것이 매우 많고 길이는 꽃받침의 2배이다.

삭과는 가늘고 길며 약간 마름모형으로 갈색이며 선단에 숙악(宿
)편이 있고 자루가 있다. 종자는 많고 선 모양이다.

원산지는 인도, 스리랑카,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등이다.

콩과(Acacia catechu (L.) Willd) 해아다의 다른 이름은
해아다[孩兒茶=hái ēr chá=하이: 음선정요(飮膳正要)], 조다니[鳥泥, 오루니:烏壘泥, 오정니:烏丁泥: 본초강목(本草綱目)], 서사[西謝: 중약형성경험감별법(中藥形性經驗鑑別法)], 아다[兒茶: 본초술(本草述)] 등으로 부른다.

종류가 다른 꼭두서니과(Uncaria gambier Roxb.) 식물은
아다구등[兒茶鉤藤: 중약대사전(中藥大辭典)]으로 부른다.

또 다른 콩과(
Dichrostachys glomerata (Forsk) Chiov) 종류로는 백륵수[柏勒樹, 백륵수아다:柏勒樹兒茶: 중약대사전(中藥大辭典)] 등이 있다.

[포제(
炮製)]

<중약대사전>: "
상품에는 아다고(兒茶膏)와 방견다(方兒茶)의 두 가지가 있다.

1, 아다고(兒茶膏):
일반적으로 12월부터 이듬해 3월에 아다(兒茶)의 가지를 채취해서 겉껍질을 벗겨 가늘 게 썰어 물을 넣고 잘 달인 다음 여과해서 시럽 상태로 농축하고 냉각한다. 특제의 형틀에 쏟아 부어서 말린다.

2, 방아다(方兒茶):
아다구등(兒茶鉤藤)의 잎이 붙은 가지를 잘라 구리 남비에 넣고 물을 가하여 6~8시간 달이는데, 달일 때 계속 휘저어 섞어서 잎을 잘 게 부수고 잎이 누렇게 되면 가지 잎을 꺼내어 엑스를 여과시킨 다음 시럽 형태로 농축시켜 나무 그릇에 넣고 식어서 응고하면 사각으로 잘라서 말린다."

[약재(藥材)]


<중약대사전>: "1, 아다고(兒茶膏), 흑아수(黑兒茱)라고도 한다. 입방체나 부정형이고 표면은 흑색이거나 적갈색이며 매끈매끈하고 광택이 약간 있으며 표면에 갈라진 무늬가 있는 것도 있다. 질은 연해서 부서지기 쉽다. 단면은 평평하고 가는 구멍이 있으며 또한 광택이 있고 내부는 적갈색이다. 냄새는 없고 맛은 떫으며 처음에는 쓰지만 나중에는 단맛이 난다. 표면이 검고 약간 붉은 빛을 띠며 광택이 있고 구우면 기포가 생기며 향기가 있는 것이 양품이다. 주요 산지는 운남(雲南)이다.

2, 방아다(方兒茶), 종아다(棕兒茶)라고도 한다.
상품에는 신아다(新兒茶)와 노아다(老兒茶) 2종(種)이 있는데 모두 네모 반듯한 모양을 나타내고 한 변이 약 3cm이다. 각면이 모두 안쪽으로 수축되어 있고 대다수의 뾰족한 모서리는 한쪽으로 치우쳐 있거나 이지러져 있다. 표면은 평평하거나 갈라진 무늬가 있다. 노아다(老兒茶)는 흑갈색이고 표면에 아교(阿膠)와 같은 광태이 있다. 신아다(新兒茶)는 다갈색이고 아교(阿膠)와 같은 광택이 없다. 질은 무르고 부서지기 쉬우며 내부는 연한 적갈색이다. 냄새는 없고 쓰며 삽(澁)하다. 습관상 노아다(老兒茶)이 품질은 신아다(新兒茶)보다 좋은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주요 산지는 인도네시아 및 말레이시아 등이다.

이외에 콩과 식물 백륵수[
柏勒樹: Dichrostachys glomerata (Forsk) Chiov]의 나뭇가지를 달여 만든 백륵수아다(柏勒樹兒茶)가 있다.

원식물은 가시가 있는 관목이거나 소교목으로서 높이는 6m에 달한다. 나무껍질은 회백색이다. 2회 깃꼴 겹잎이고 잎몸 사이에는 막대기 모양 샘선이 1개 있다. 작은 잎은 선모양 긴 원형으로 길이는 4~8mm이고 너비는 1~1.5mm이며 수상 화서는 보통 길이가 6~8mm이다. 하부는 무성화이고 담홍색이거나 연한 자홍색이며 상부의 양성화는 비교적 작고 황색이다. 협과는 머리 모양으로 모이고 너비는 6~13mm이며 짙은 갈색으로서 물결 모양, 혹은 만곡되어 있으며 갈라진다.

산지는 중국의 광동(廣東)이다."


[백륵수의 긴가시가 달리고 잎과 꽃의 모습, 사진출처: 대만 구글 검색]

[성분]

<중약대사전>: "아수(兒茱)의 심재(芯材)는 아선약(阿仙藥) 탄닌산을 20~50%, l- 및 dl-catechin 2~20%, l-,dl-epicatechin, phlobatannin 및 fisetin, quercetin, quercetagetin 등의 flavonol을 함유한다. 색이 진한 심목(心木)은 색소 이외에 protocatechuic tannins과 pyrogallol tannins을 함유한다. 나무껍질은 미량의 protocatechuic tannins을 포함한다.

아다구등(
兒茶鉤藤)의 잎과 뿌리줄기는 roxburghines A, B, C, D, E, rhynchophylline, isorhynchophylline, rotundifoline, dihydrocorynantheine, gambirine 등의 알칼로이드를 함유한다.

또 d-,dl-catechin, gambrine 등의 탄닌도 함유한다."

[약리작용]

<중약대사전>: "
1, 아다고(兒茶膏)의 성분과 용도는 방아다(方兒茶)와 비슷해서 공업에서는 제혁의 염료, 의료에서는 수렴, 지사(止瀉)에 쓰인다(오배자:五倍子를 참조). 시험관 내에서 그이 탕제는 황색 포도상 구균 및 선농균, 디프테리아균, 프로테우스균, 적리균, 티프스균에 대해서 모두 상당한 억제 작용을 한다. 탄닌의 방부작용은 주로 세균이 식물 영양을 섭취하지 못하게 하기 때문이고 10% 용액은 배지(培地)에서 24시간 내에 살균할 수 있다. 또 시험관 내에서 인플렌자 바이러스를 죽일 수 있다. 20% 탕제는 시험관 내에서 복수암(asciter carcinoma)의 세포에 손상을 준다. 공복인 토끼에게 여러 가지 농도의 해아다(
孩兒茶)의 수용액을 주면 십이지장 및 소장의 연동을 억제하지만 맹장의 역연동을 촉진시키고 설사늘 멎게 하는 작용이 있으나 대장에 대해서는 거의 작용이 없다. 아다(兒茶) 등 탄닌을 함유하는 생약 제제의 정맥 주사는 guinea pig의 골격근의 장력을 저하시키고 혈압을 낮추며 호흡을 빠르게 하고 대량으로 사용하면 호흡 마비를 일으키며, 중복하여 주사하면 축적 작용이 있고 경구 투여하면 소장에서 흡수된다.

해아다(
孩兒茶)는 스트렙토키나제의 피브린에 대한 용해를 억제하는 작용이 있다.

2,
방아다(方兒茶: 갈아다:褐兒茶)는 대량의 탄닌을 함유하므로 수렴제로써 사용할 수 있다(오배자:五倍子를 참조). 카테콜 탄닌을 마우스에게 경구 투여, 혹은 주사하면 모세 혈관이 저항력이 증가된다. 비타민 C가 결핍된 guinea pig에게 카테콜탄닌을 가하여 쓰면 비타민 C의 흡수를 촉진시키는데 catechin에도 이 작용이 있다. 카테콜 탄닌은 쥐의 실험성 방광 결석의 형성도 억제한다(쥐의 소변에서의 pH 저하와 관계가 있다고 생각되며 투약 후 소변의 pH 수치는 9.0에서 7 또는 7 이하로 내려갔다). 쥐에게 카테콜 탄닌 3~5%를 함유하는 사료를 1개월 주었지만 죽지 않았다. 마우스에게 200~300mg/kg을 정맥 주사하면 죽는다. 그의 대사 산물 pilocatechin의 독성은 비교적 크다. pyrogallol tannin(페닐핵에 수산기가 1개 더 많다)의 독성은 카테콜 탄닌보다 훨씬 더 크고 상술한 바와 같은 치료 작용도 없다.

3,
d-catechin은 토끼의 적출 이혈관(耳血管)을 수축시키고 두꺼비의 적출 심장의 진폭을 먼저 억제한 다음 흥분시킨다. 또 tyrosinase의 활성을 증강시키고 tyrosine decarboxylose의 활성을 억제함으로 체내의 아드레날린의 함유량을 저하시킨다. 이것은 혈압 강하의 원인이라고 생각된다. d-catechin은 histiodine decarboxylose의 활성을 억제한다(histaminase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다). 이것이 항히스타민 작용과 관계가 있다고 생각된다. 또 d-catechin은 hyaluronidase, cholineacetylose를 억제하지만 cholinesterase에 대해서는 영향을 주지 않는다. d-catechin은 여러 종류의 기관, 예를 들면 쥐의 뇌, 간장, 신장, 심장, 돼지의 대동맥의 산소 섭취, 특히 심근의 산소 섭취를 억제하고 그것이 동맥 죽상 경화의 치료에 관계가 있는지 없는지에 대해서는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그밖에 d-catechin은 토끼의 혈당을 저하시키고 lanoline에 의한 혈청 cholesterol 수치의 상승을 지연시킨다.

4,
pyrocatechol을 고양이와 쥐에게 50mg/kg 경구 투여하면 경궐에 이어서 마비를 일으켜 48시간 이내에 호흡 및 순환 부전으로 죽는다. 1일 30mg/kg을 경구 투여하면 빈혈, 황달, 신장 상해를 일으켜 수주 이내에 죽으며 확실한 고혈당 증세가 확인되었다."

[포제]

<중약대사전>: "불순물을 골라내고 먼지와 부스러기를 제거한 다음 부수어 작은 덩어리로 만들거나 갈아서 고운 분말로 만든다."

[성미]

1, <중약대사전>: "맛은 쓰고 떫으며 성질은 서늘하다."

2, <음선정요>: "맛은 달고 쓰며 성질은 약간 차고 독이 없다."

3, <본초강목>: "맛은 쓰고 떫으며 성질은 평하고 독이 없다."

4, <본초정>: "맛은 쓰고 약간 떫으며 성질은 서늘하다."

[약효와 주치]

1, <중약대사전>: "열을 제거하고 담(痰)을 삭이며 지혈하고 소화를 촉진시키고 새살이 돋아나게 하며 통증을 진정시키는 효능이 있다. 담열(痰熱) 해수, 소갈, 토혈, 비출혈, 혈뇨, 혈리(血痢), 혈붕(血崩), 소아 소화 불량, 아감(牙疳), 구포(口疱), 후비(喉痺), 습진을 치료한다."

2, <음선정요>: "담열(痰熱)을 제거하고 갈증을 멎게 하며 소변을 잘 나오게 하고 소화를 촉진시키며 위로 치밀어 오르는 기(氣)를 내리고 정신을 맑게 하며 잠을 적게 자게 한다."

3, <의학입문>: "혈을 풀어주고 일체의 창독(瘡毒)을 치료한다."

4, <본초강목>: "횡격막(橫膈膜)의 열을 제거하고 담(痰)을 삭이며 진액을 생성한다. 칼 따위에 베인 상처나 모든 창(瘡)에 바르면 새살이이 돋아나게 하고 지통, 지혈하며 습을 수렴한다."

5, <본초정>: "화(火)를 내리고 진액을 생성하며 담연(痰涎) 해수를 제거하고 구창후비(口瘡喉痺), 번열을 치료한다. 소갈, 토혈, 비출혈, 혈변, 혈뇨, 습열리혈(濕熱痢血), 부인의 붕림(崩淋), 월경이 멎지 않은 증세, 소아 감열(疳熱), 구감(口疳), 열창(熱瘡), 습란(濕爛)한 각종의 창(瘡)을 치료한다. 염기(斂肌), 생육(生肉)하고 기생충을 구제한다."

6, <본초비요>: "음감치종(陰疳痔腫)에 바른다."

7, <본초구진>: "계절성 온장(
瘟瘴)을 치료한다."

8, <약재자료휘편>: "화상을 치료하고 소염 통증을 완화시킨다. 결막, 비강, 구강 등의 염증을 치료한다."

[용법과 용량]

<중약대사전>: "내복: 0.3~1돈을 물로 달여 복용하거나 환을 만들거나 가루내어 살포하거나 개어서 바른다.

외용: 갈아서 분말로 살포하거나 개어서 바른다."

해아다의 효능에 대해서 북한에서 펴낸
<실용동약학> 548면에서는 이렇게 알려주고 있다.

[해아다(아다)

약성:
맛은 쓰고 성질은 평하며 폐경에 작용한다. 습열을 없애며 헌데를 아물 게 하고 피나는 것을 멈추며 아픈 것을 멈춘다.

맞음증:
헌데가 오래 아물지 않는데, 습진, 외상 출혈.

하루용량(그램):
1~4g이다.]

해아다로 질병을 치료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

1, 담을 제거하는 처방

아다(兒茶), 박하엽(薄荷葉), 세다(細茶)를 가루내어 꿀로 환을 만들어 식후 3~5알을 입에 물고 녹인다. [본초술(本草述)]

2, 해수

아다(兒茶) 2냥, 세신(細辛) 4돈을 함께 가루내어 저담(猪膽) 1개분의 담즙을 가하고 가열해서 충분히 졸여 1돈 무게의 환제로 만든다. 1회 1알을, 1일 4회 빈속에 입에 물고 녹인다.

3, 지혈

센 불로 구운 용골(龍骨), 상피(象皮), 오래된 석회(石灰), 낡은 송향(松香), 강향(降香) 가루, 혈갈(血竭), 아다(兒茶), 백급(白及) 가루 같은 양을 함께 소리가 나지 않을 때까지 곱게 가루내어 상처난 곳에 뿌린다. [실용정골학(實用正骨學)]

4, 아감구창(牙疳口瘡)

해아다(孩兒茶), 붕사(硼砂) 같은 양을 가루내어 바른다. [본초강목(本草綱目)]

5, 주마아감(走馬牙疳)

해아다(孩兒茶), 웅황(雄黃), 패모(貝母) 같은 양을 가루내어 쌀 뜨물로 입을 충분히 헹구어 내고 바른다. [적덕당경험방(積德堂經驗方)]

6, 급성 편도선염

아다(兒茶), 시상(枾霜) 각 3돈, 빙편(氷片) 2푼, 고반(枯礬) 2돈을 함께 곱게 가루내어 글리세린을 넣어 풀 형태로 개어서 환부에 바른다. [전전선편(全展選編), 이비인후질병(耳鼻咽喉疾病)]

7, 축농증(蓄膿症)으로 콧물이 나올 때

해아다(孩兒茶) 가루를 비강(鼻腔)에 불어 넣는다. [본초권도(本草權度)]

8, 하감음부(下疳陰部) 소양(瘙痒)

해아다(孩兒茶) 1돈, 진주(眞珠) 1푼, 편뇌(片腦) 0.5푼을 가루내어 바른다. [찬요기방(纂要奇方)]

9, 치창종통(痔瘡腫痛)

해아다(孩兒茶), 사향(麝香)을 가루내어 타액으로 개어서 바른다. [손천인집효방(孫天仁集效方)]

10, 모든 옹저(癰疽)와 각종 창(瘡)이 곪아서 낫지 않을 때

아다(兒茶), 유향(乳香), 몰약(沒藥) 각 3돈, 빙편(氷片) 1돈, 사향(麝香), 2푼, 혈갈(血竭) 3돈, 한삼칠(旱三七) 3돈을 가루내어 뿌린다. [의종금감(醫宗金鑑), 부진생기산(腐盡生肌散)]

11, 귀두(龜頭)가 곪긴 경우의 치료

해아다(孩兒茶)에 빙편(氷片)을 섞어서 바른다. [본초촬요(本草撮要)]

12, 소아 소화불량
(임상보고)
아다(兒茶)를 곱게 갈아서, 1세 전후인 사람은 0.15g, 2세 이상인 경우는 0.2g을 1일 3회 복용한다. 또는 체중 1kg에 25~50mg으로 계산하여 1일 3~4회로 나누어 복용하고 3~7일을 1치료 기간으로 한다. 동시에 탈수증과 아시도시스를 정상으로 되돌리기 위해 수액(輸液)을 한다. 중독성 및 단순성 소화불량을 전부 300례 정도 치료하였는데 치료 효과는 90% 이상이었다. 치료 기간은 1~7일 걸렸으며 평균적으로는 3.5일 가량 걸렸다. [중약대사전]

13, 자궁 경관염
(임상보고)
아다(兒茶)를 가루내어 1일 1회 염증의 궤양면(潰瘍面)에 골고루 뿌린다. 효과가 있는 경우에는 4~5회로 완치되었다. [중약대사전] 

14, 지혈
(임상보고)
굵은 백륵수(
柏勒樹)의 굵은 가지를 길이는 2~5cm이고 두께는 0.2~0.5cm의 작은 조각으로 잘라 질그릇이나 알미늄 남비에 넣고 그 10배의 청수(淸水)을 넣어서 달여 6~7시간 후 두 장 겹친 가제로 여과시킨다.

찌꺼기는 다시 1~2회 달여 여과액을 합쳐서 농축하면 다갈색의 백륵수아다(
柏勒樹兒茶) 엑스가 된다. 1회에 0.5g, 1일 3~4회 내복한다. 궤양 출혈이 있는 증상, 간경변으로 붕루(崩漏: 자궁출혈)를 병발하는 증상, 만성 황달형 간염으로 비출혈이나 치아의 출혈을 병발하는 증상 등 22례를 관찰한 결과 유효가 18례, 무효가ㅏ 4례였다.

궤양 출혈이 있는 증상 17례 중에서 본약을 복용했지만 대량 출혈로 인해 지혈되지 않아서 즉시 다른 치료법으로 바꾼 것이 1례 있었다. 기타 16례는 2~4일 이내에 모두 지혈 효과가 있었고 특히 삼출성 출혈에는 현저한 효과가 있었다. 자궁출혈에 대해서도 상당한 치료 효과가 있다. 그러나 간염, 간경변 등으로 인한 출혈에 대한 효과는 그리 좋지 않았다. [중약대사전]

흥미로운 점은 북한에서 항암약초를 조사한 자료에 의하면 아래와 같은 사실을 알려주고 있다.

"
93가지 동약재의 항암작용을 검토한 자료에 의하면(체외실험) 항암작용이 가장 센 것은 하늘타리열매, 산수유, 석창포, 해아다이다." [실용동약학 452면]

해아다가 우리나라에는 자생하고 있지 않지만 꽃이 아름다워 원예식물로 들여와 가꾸어지고 있다. 또한 항암작용이 뛰어나고 여러 가지 질병에 큰 효험이 있어 재배하여 가꾸어 볼 가치가 있는 식물이다.

상기 자료는 약초연구가로서 지구상에 존재하는 천연물질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고 질병으로 고통을 겪고 있는 환우들에게 희망을 주며 기능성 식품과 신약을 개발하는데 통찰력을 갖게하고 약초를 사랑하는 모든 사람에게 정보의 목적으로 공개하는 것임을 밝혀 둔다.   

(글/ 약초연구가 & 동아대 & 신라대 대체의학 외래교수 전동명)

해아다 사진 감상: 대만 구글+일본 구글+홍콩 구글: 1, 2, 3,

문의 및 연락처: 010-2545-0777 ; 051-464-0307

홈주소: http://jdm0777.com

페이스북 주소: http://www.facebook.com/jdmsanyacho

이메일: jdm0777@naver.com


 

 

홈페이지 주소 : http://jdm0777.com 클릭하시면 홈으로 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