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리(연맥) 무엇인가?

제비와 참새가 잘 먹는 들보리 귀리

 

 

 

 

 

 

 

 

 

 

[귀리의 전초, 푸른열매, 익은 열매, 종자의 모습, 사진출처: 일본/대만/한국 구글 이미지 검색]

동맥경화 예방작용, 복중사태(사산되었을 때), 태의불하(태반이 나오지 않을 때), 수렴지혈, 고표지한, 토혈, 혈붕, 백대하, 변혈, 자한, 도한, 난산, 심장질병, 간장 질병, 만성 납중독, 폐결핵, 심장기능부전에 의한 오줌내기장애, 오줌내기약, 열물내기약, 심장병, 신석증, 고장, 홍붕, 당뇨병, 위장병, 땀내기약, 오줌내기약, 고혈압을 다스리는 귀리(연맥)

귀리(oat)는 외떡잎식물 벼목 화본과의 두해살이풀이다.

귀리의 학명은 <Avena sativa L.>이다. 연맥(燕麥) 또는 작맥(雀麥)이라고도 한다. 높이는 30~100cm 정도이며 밑부분에서 뭉쳐난다. 줄기는 곧게 서고 털이 거의 없으나 마디에는 아래로 향한 털이 난다. 잎은 길이 15∼30cm, 나비 6∼12mm로 밀보다 나비가 좀 넓고 짙은 녹색이다. 잎집은 길고 잎혀가 짧으며 잘게 갈라진다.

꽃은 5∼6월에 길이 20∼30cm의 원추꽃차례로 핀다. 잔이삭은 대가 있고 녹색이며 2개의 잔꽃이 들어 있고 밑으로 처진다. 꽃의 구조는 다른 맥류와 비슷하나 까끄라기가 외영(外穎)의 등에 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열매를 곱게 빻은 것을 오트밀이라 하여 식용하고 알코올, 과자의 원료 또는 가축의 사료로 쓴다.

재배종인 귀리의 원산지는 중앙아시아 아르메니아 지방이라고 하며 유럽에는 BC 2000∼1300년경에 전파되었고, 중국에서는 600∼900년경에 재배하였다고 한다. 한국에는 고려시대에 원(元) 나라 군대의 말먹이로 가져온 것이 시초로 여겨진다. 그 후 북부 산간지대의 화전에서 약간 재배하였으나 최근에는 전혀 볼 수 없다.

 ≪본초강목≫에서는 귀리의 명칭에 관하여 “귀리는 들보리이다. 제비와 참새가 잘 먹기 때문에 연맥(燕麥), 작맥(雀麥)이라고 하며, 또 광맥(穬麥), 이맥(耳麥)이라고도 한다.”라고 하였다.

≪아언각비 雅言覺非≫에서는 “연맥은 작맥 또는 영당맥(鈴鐺麥)이라고도 하고 방언으로는 구우리(瞿于里: 귀리)이다. 사람들이 시를 지을 때 많이들 구맥(瞿麥)으로 생각하는데 이것은 잘못이다. 우리 나라의 이문(吏文)에는 영당맥을 이맥(耳麥: 귀보리)이라고 하였다.”라고 설명하고 있다.

원산지는 중앙아시아 아르메니아라고 추정되는데 유럽에는 기원전 2,200∼1,300년경, 미국에는 1900년경, 중국에는 600∼900년경에 들어왔다고 한다. 우리 나라에는 고려 때 몽고병사들이 말의 양식으로 가져온 것을 재배하게 되었다는 설이 있다. 문헌으로는 고려시대 말의 ≪향약구급방≫에 보인다.

귀리는 높이가 1m 이상에 달하며 밑부분에서 총생(叢生)한다. 잎은 길이 15∼30㎝, 너비 6∼12㎜로서 편평하다. 꽃은 5, 6월에 피며 원추화서(圓錐花序: 꽃대에서 작은 가지가 나와 전체적으로 원뿔형을 이루는 꽃차례)이다. 열매는 영과(穎果: 껍질이 말라서 한 개의 씨앗과 붙은 열매. 곡과:穀果라고도 함)로 털이 있으며 한쪽에 홈이 패어 있다. ≪신수본초≫에서 “귀리는 곳곳에서 생산된다. 폐허나 들, 수풀 속에서도 자란다. 잎은 밀과 비슷하나 연약하다.”라고 한 것과 같이 추위에는 약하나 냉습한 기후나 척박한 토양에 대한 적응성은 강하다. 우리 나라에서는 강원도, 평안도, 함경도의 산지에서 가꾼다.

귀리는 단백질, 지질(脂質)의 함량이 높고 단백질의 아미노산 조성도 쌀과 비슷하여 곡류 가운데서는 영양가가 높은 편이다. 감자와 섞어서 밥을 짓거나 피와 섞어 죽을 쑤어 먹기도 한다. 밥이나 죽 이외에 국수, 떡, 술, 풀떡 등도 만들어 먹는다. 만주에서는 가루를 내어 밀가루 대용으로 한다. ≪본초연의 本草衍義≫에서도 “봄에 껍질을 까서 버리고 가루를 만들어 쪄서 먹으며, 또 떡을 만들어 먹는다. 구황식물이 된다.”고 하였다.

≪북새기략(北塞記略)≫에서는 “함경북도지방에는 닥나무가 없어서 귀리 줄기를 두들겨서 종이를 만든다. 이 종이는 황마지(黃麻紙) 또는 북황지(北黃紙) 등으로 불린다.”라고 하여 종이로도 이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신수본초≫에 따르면 태아(胎兒)가 나오지 않을 때 귀리싹을 삶아 즙을 마시면 된다고 한다.

귀리(
Avena sativa L.)의 다른 이름은 연맥[燕麥=yàn mài=마이: 신강중약자원명록(新疆中藥資源名錄), 내몽고식물지(內蒙古植物誌)], 광맥[穬麥, 이맥:耳麥: 본초강목(本草綱目)], 영당맥[鈴鐺麥, 작맥:雀麥, 이맥:耳麥, 구우리:瞿于里: 아언각비(雅言覺非)], 엔바쿠[エンバク=エンバク(麦), 오-토무기:オートムギ, 오-츠바쿠オーツバク(麦), 오-토:オート: 일문명(日文名)], 오웃[Oat: 영명(英名)], 귀리, 귀밀[북한방언], 귀보리 등으로 부른다. 

메귀리(
Avena fatua L.)의 다른 이름은 연맥초[燕麥草, 야연맥:野燕麥: 회편(滙編), 사천중약지(四川中藥誌)], 조맥[鳥麥: 식물학대사전(植物學大辭典)], 야맥초[野麥草: 중경초약(重慶草藥)], 메귀리 등으로 부른다.  

[채취]


<메귀리>


결실 전에 채취한다.

[성미]


<메귀리>

<사천중약지>: "맛은 달고 성질은 따뜻하고 독이 없다."

[약효와 주치]


<메귀리>

<사천중약지>: "허로(虛勞)를 보하는 효능이 있다. 토혈, 허한이 나는 증세 및 여자의 홍붕(紅崩)을 치료한다."

[용법과 용량]


<메귀리>

내복: 0.5~2냥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귀리에 대해서 허준의 <동의보감>에서는 다음과 같이 적고 있다.

[작맥(雀麥: 귀리)

성질은 평(平)하고 맛은 달며[甘] 독이 없다. 몸풀이[産]를 힘들게 하는 데 달여서 물을 마신다.

○ 일명 연맥(燕麥)이라고도 한다. 싹은 밀과 비슷한데 연약하고 열매는 광맥 같은데 가늘다. 그러나 이삭은 가늘고 길며 성기다[본초].
]

귀리와 관련하여 북한에서 펴낸
<약초의 성분과 이용> 761면에서는 다음과 같이 적고 있다.

[귀리(Avena sativa L.)

식물:
한해살이풀이다. 줄기는 2~4개의 마디가 있고 잎은 줄 모양이다.

각지의 들판에서 자란다.

성분:
씨에는 녹말, 기름, 단백질, 아미노산, 무기물질, 스테롤(스티그마스테롤, β-시토스테롤, 콜레스테롤), 스테로이드사포닌(아베나코시드 A)이 있고 이밖에 유기산(싱아산, 말론산, 에르코산), 쿠마린, 스코폴레틴이 있다. 또한 배당체, 바닐린, 비타민 E가 있다.

뿌리에는 트리테르펜계의 사포닌이 있다.

작용:
씨는 핏속의 콜레스테롤과 리피드의 양을 줄인다. 또한 지방친화성이 있다.

응용:
동맥경화증의 예방, 심장과 간 질병에 치료영양제로 쓴다. 만성 납중독에는 밥을 해서 먹는다. 민간에서는 폐결핵, 심장기능부전에 의한 오줌내기장애 등에 쓴다. 또한 오줌내기약, 열물내기약으로 심장병, 신석증, 고장, 당뇨병, 간질병에 쓰며 위장병에도 쓴다. 짚은 땀내기약, 오줌내기약으로 쓴다.]

귀리에 대해서 중국에서 펴낸 <중국본초도록> 제 9권 171면 4393호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연맥(燕麥)

기원: 화본과(禾本科=벼과: Gramineae)식물인 연맥(燕麥=귀리: Avena sativa L.)의 묘엽(苗葉)이다.

형태: 일년생 초본이다. 줄기는 곧게 서있으며 높이는 70∼150cm이다. 엽초(葉鞘)에는 털이 없으며 엽설(葉舌)은 막질(膜質)이고 엽편의 길이는 7∼20cm이며 너비는 0.5∼1cm이다. 원추화서(圓錐花序)가 정생(頂生)하며 펼쳐져 있고 길이는 25cm에 이르며 너비는 10∼15cm이고 소수(小穗)는 길이가 1.5∼2.2cm이고, 1∼2개의 소화(小花)가 달리며 소수축(小穗軸)은 쉽게 떨어지지 않고, 영(穎)은 얇으며 난상(卵狀) 피침형(披針形)이고 길이는 2∼2.3cm이며, 외부(外稃)는 딱딱하고 털이 없으며 5∼7개의 맥(脈)이 있고, 제1외부(第一外稃)는 길이가 약 1.3cm이며 배부(背部)에 길이 2∼4cm의 실같은 돌기(突起)가 있으며 제2외부(第二外稃)에는 실같은 돌기(突起)가 없고, 내부(內稃)와 외부(外稃)는 거의 같은 길이 이다. 열매는 영과(穎果)이며 긴 원주형(圓柱形)이고 길이는 약 1cm이며 황갈색(黃褐色)이다.



분포:
대부분 재배한다. 중국의 동북(東北), 화북(華北), 서북(西北)에 분포. 우리나라에서는 북부지방에서 흔히 재배한다.

채취 및 제법:
여름철에 채취하여 햇볕에 말린다.

주치:
복중사태(腹中死胎), 태의불하(胎衣不下).


용량: 9∼15g.

참고문헌:
신강중약자원명록(新疆中藥資源名錄), 124면 ; 내몽고식물지(內蒙古植物誌), 제 7권 156면.]

메귀리에 대해서 중국에서 펴낸
<중국본초도록> 제 5권 194면 2387호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연맥초(燕麥草)

기원: 화본과(禾本科=벼과: Gramineae)식물인 야연맥(野燕麥=메귀리: Avena fatua L.)의 전초(全草)이다.

형태: 일년생 초본이며 높이는 60-120cm이다. 잎은 어긋나며 느슨한 털이 있는 긴 초(鞘)가 있으며, 엽설(葉舌)은 투명한 막질(膜質)이고, 모양은 편평하고 길이는 10-30cm이며 너비는 4-12mm이다. 원추화서(圓錐花序)가 성기게 달리는데 길이는 10-25cm이며 분지에 능각(稜角)이 있고, 소수(小穗)에 2-3송이의 꽃이 있으며 소화경(小花梗)은 가늘고 길며 아래로 드리워져있고 정단(頂端)이 팽창해 있으며, 내영(內潁)의 외영(外潁)은 같은 모양이고 내부(內稃)와 외부(外稃)는 비슷하다. 영과(穎果)는 담종색(淡棕色)의 유모(柔毛)로 덮여있다. 꽃피는 시기는 6-7월이다.



분포: 들에서 자란다. 중국의 남북(南北) 각 지역에 분포한다.

채취 및 제법: 봄과 가을에 채취하여 햇볕에 말린다.

성분: 향초대(香草甙), trigonelline, aconitine, malonic acid, 어산(菸酸), scopoletin, vitamin E, 사인산쌍선대(四鏻酸雙腺甙), 연맥치순(燕麥甾醇).

기미: 맛은 달고 성질은 평하다.

효능: 수렴지혈(收斂止血), 고표지한(固表止汗).

주치: 토혈(吐血), 혈붕(血崩), 백대하(白帶下), 변혈(便血), 자한(自汗), 도한(盜汗).

용량: 15-30g.

참고문헌: 회편(滙編), 하권 691면.]

귀리의 효능에 대해서 일본에서 펴낸 <건강, 영양식품사전> 184~186면에서는 이렇게 기록하고 있다.

[귀리(연맥=燕麥)

현미보다 나은 영양가, 영국의 전통적 영양식품


구미에서 오트(oat)라 하는데 오트-밀로서 일상적으로 먹고 있는 귀리(연맥)이지만 일본에는 명치이후에 소개되었으나 그다지 보급 안되었다. 그러나 근년에 그 영양가가 클로즈업 되고 새로이 건강식품으로 주목을 받아오고 있다.

귀리는 단백질의 아미노산조성이 현미와 닮았고 라이신이나 메티오닌, 슬레오닌이 적으므로 콩을 보충하면 완전한 단백식으로 된다. 백미에 비해서 비타민 B1, B2가 많고 B6, 판토텐산, 나이아신 등도 함유되어 있으므로 비타민 밸런스가 좋은 것이 특징이다. 또 수용성의 비타민양물질(樣物質)인 콜린(collin)이 함유되어 있고 고혈압이나 동맥경화를 예방하는 작용도 한다.

귀리를 그대로 가정에서 그냥 이용하는 일은 거의 없지만 시판의 오트밀을 사용하면 일상적으로 귀리를 섭취할 수가 있다. 오트밀은 짧은 시간에 조리할 수가 있으므로 비타민류의 손실없이 섭취될 수가 있는 것이 큰 메리트이다.

먹는 방법은 오트밀을 우유로 끓이고 설탕이나 벌꿀을 타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오트밀 자체에는 별로 맛이 없으므로 일본풍으로서 오트죽으로 하든지, 수우프맛나니를 사용해서 리조오트풍으로 만들어내도 좋다. 이밖에 밀가루를 섞어 빵이나 쿠키(cookie)로 하든지 햄버거에 섞는 것 등을 궁리를 하면 여러 가지 먹는 방법이 가능하다.
]

메귀리 및 귀리로 질병을 치료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

<메귀리>

1, 허한이 멎지 않을 때 및 토혈 후의 신체 허약의 치료

메귀리는 부드럽고 단맛이 날 때까지 약한 불에 끓여서 복용한다. [
사천중약지(四川中藥誌)]

2, 여성의 홍붕(紅崩)의 치료

메귀리를 닭의 선혈과 함께 술에 섞어 약한 불에 고아서 복용한다. [
사천중약지(四川中藥誌)]

상기 자료는 약초연구가로서 지구상에 존재하는 천연물질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고 질병으로 고통을 겪고 있는 환우들에게 희망을 주며 기능성 식품과 신약을 개발하는데 통찰력을 갖게하고 약초를 사랑하는 모든 사람에게 정보의 목적으로 공개하는 것임을 밝혀 둔다.   

(글/ 약초연구가 & 동아대 & 신라대 대체의학 외래교수 전동명)

귀리 사진 감상: 네이버+구글+다음+일본구글+대만구글: 1, 2, 3, 4, 5,

문의 및 연락처: 010-2545-0777 ; 051-464-0307

주소: http://jdm0777.com

페이스북 주소: http://www.facebook.com/jdmsanyacho

메일: jdm0777@naver.com

아래의 비슷한 식물의 곡류도 함께 고려해 보시기 바랍니다.

 

 

  1. 귀리(연맥) 무엇인가?
  2. 녹두 무엇인가?
  3. 땅콩 무엇인가?
  4. 맥아 무엇인가?
  5. 밀(소맥) 무엇인가?
  6. 밀배아 무엇인가?
  7. 발아현미 무엇인가?
  8. 벼(쌀) 무엇인가?
  9. 보리(대맥) 무엇인가?
  10. 수수 무엇인가?
  11. 쌀겨(미강) 무엇인가?
  12. 쌀배아 무엇인가?
  13. 옥수수 무엇인가?
  14. 작두콩 무엇인가?
  15. 쥐눈이콩 무엇인가?
  16. 콩나물 무엇인가?
  17. 콩(모든콩) 무엇인가?
  18. 팥 무엇인가?
  19. 현미 무엇인가?
  20. 황대두(누런콩) 무엇인가?
  21. 흑대두(검은콩) 무엇인가?

 

 

홈페이지 주소 : http://jdm0777.com 클릭하시면 홈으로 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