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창초 무엇인가?

볼품없고 평범하며 하찮게 보이는 잡초이지만 효능이 탁월한 금창초

 

 

 

 

 

 

 

 

 

 

 

 

[금창초의 봄철 어린잎, 주름지어 자란잎, 꽃이 핀 모습, 열매가 익어가는 모습, 익어서 탈피된 열매, 종자의 모습, 사진출처: 일본/대만/한국 구글 이미지 검색]

항박테리아작용[항균 및 항세균억제작용], 지해작용, 항염증작용, 지혈작용, 소염작용, 면역기능증강작용, 기관지평활근 이완작용, 천식을 가라앉히는 작용, 거담작용, 이질, 인후통, 위독폐옹위증, 폐옹, 폐로, 종통, 풍화, 결체를 흩어지게 하는 데, 인후급폐, 단쌍아, 치통, 치질, 미친개에 물린 상처, 만성기관지염[임상보고], 호흡기 기타 염증에 대한 치료[임상보고], 담도 질환의 속발성 감염 및 충수 농양의 치료[임상보고], 이부 감염의 치료[임상보고], 만성기관지염, 호흡기 염증, 충수 농양, 단순성 중이염, 외이도염, 귀의 부스럼, 청열해독, 거담지해, 양혈지혈, 호흡기감염증, 급성폐렴, 급성편도선염, 급성기관지염, 인후염, 편도선염, 디프테리아, 피부종기, 악창, 폐농양, 가래, 폐결핵, 혈열로 인한 변혈, 기침할 때에 피가 섞이는 증상, 양혈소종, 종기, 타박상, 코피, 임병, 중이염, 유선염, 장출혈, 객혈, 천식, 해수, 정창, 옹종, 소종, 해독, 기관지염, 토혈, 적리, 인후종통을 다스리는 금창초

금창초(金瘡草)는 쌍떡잎식물 통화식물목 꿀풀과의 여러해살이풀이다.

금창초의 학명은 <
Ajuga decumbens Thunb.>이다. 높이는 10~30cm이다. 줄기는 네모나고 기부는 포복한다. 가지가 많고 전주는 백색의 부드러운 털로 덮여 있다.

산기슭, 들, 구릉지 등에서 자란다. 원줄기가 사방으로 뻗고 전체에 다세포의 흰 털이 있다. 뿌리잎은 방사상으로 퍼지고 넓으며 거꾸로 선 바소모양이고 길이 4∼6cm, 나비 1∼2cm로서 짙은 녹색이지만 흔히 자줏빛이 돌며, 밑으로 점차 좁아져 가장자리에 둔한 물결 모양의 톱니가 있다. 윗부분의 잎은 마주나고 긴 타원형 또는 달걀모양이다.

꽃은 잎겨드랑이에 몇 개씩 달리고 꽃이 피는 줄기는 4∼6개가 5∼15cm로 곧게 자라며 몇 쌍의 잎이 달리고 자줏빛이 돌며, 3∼4월에 꽃이 피고 결실기는 5~6월이다. 꽃받침조각은 5개이다. 화관(花冠)은 짙은 홍자색의 입술 모양으로 윗부분의 것은 반원형이고 중앙이 갈라지며, 밑부분의 것은 3갈래로 갈라진다. 수술은 4개인데 2개는 길다. 4분과(分果)는 달걀모양 구형이고 길이 2mm 정도로서 그물맥이 있다. 화분의 외벽의 내층은 얇다.

한방에서는 해수, 천식, 기관지염, 인후염, 장출혈, 코피, 객혈, 유선염, 중이염, 종기, 타박상 등에 처방한다. 민간요법으로는 생초를 짓찧어 종기, 타박상 등의 환부에 붙인다. 한국(제주, 경남, 전남), 경북(울릉도),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금창초의 다른 이름은
백모하고초[白毛夏枯草=
bái máo xià kū cǎo=바이마오시아차오V, 설리청:雪裏靑, 토서각:土犀角: 본초강목습유(本草綱目拾遺)], 금창소초[金瘡小草: 본초습유(本草拾遺)], 견혈청[見血靑, 백두옹:白頭翁, 근골초:筋骨草, 석회채:石灰菜, 자배금반:紫背金盤, 파혈단:破血丹: 식물명실도고(植物名實圖考)], 퇴혈초[退血草, 산혈초:散血草: 분류초약성(分類草藥性)], 복지근골초[伏地筋骨草: 강소식물명록(江蘇植物名錄)], 백하고초[白夏枯草: 소주본산약재(蘇州本産藥材)], 산혈단[散血丹, 백모관:白毛串, 백후초:白喉草, 사계춘초:四季春草, 대엽도흔초:大葉刀草: 복건민간초약(福建民間草藥)], 청어담초[靑魚膽草, 고지담:苦地膽, 투골소:透骨消: 광서중수의약식(廣西中獸醫藥植)], 사시춘[四時春: 민남민간초약(南民間草藥)], 지용담[地龍膽, 활혈초:活血草: 사천중약지(四川中藥誌)], 설리개화[雪裏開花, 청석등:靑石藤, 붕화:朋花, 일잔등:一盞燈, 야녹함화:野鹿銜花, 천청지홍:天靑地紅, 엽하홍:葉下紅, 파파초:爬爬草: 호남약물지(湖南藥物誌)], 백조갱[白調羹, 화교독초:和毒草: 민동본초(東本草)], 키란소우[キランソウ=金瘡小草: 일문명(日文名)], 금란초, 섬자란초, 가지조개나물, 금창초 등으로 부른다.

[채취]


<중약대사전>: "3~4월이나 9-10월에 전초를 채취하여 햇볕에 말리거나 신선한 것을 그대로 쓴다."

[성분]


<중약대사전>: "전초에는 플라보노이드(
flavonoid) 배당체 및 사포닌(saponin), 알칼로이드(alkaloid), 유기산, 탄닌(tannin), phenol성 물질, steroid 화합물, 환원당이 함유되어 있다. 주성분은 luteolin이다. 스테로이드에는 cyasterone, ecdysterone 및 미량의 ajugasterone C 등 곤충 변태 호르몬을 함유한 외에, 이 호르몬과 반대 작용을 갖는 일종의 성분 ajugalactone도 함유되어 있다. 뿌리에는 kirausin이 함유되어 있다."

[약리작용]


<중약대사전>: "
1, 지해작용: 각종 추출물, 이를 테면 산성 알코올 추출물, 플라보노이드(flavonoid) 배당체, 총페놀카르본산, 결정 I(스테로이드) 및 사포닌을 mouse의 위에 주입시키면 상당한 지해작용이 있으나, flavon을 제거한 총페놀카르본산은 지해 작용이 없어진다(암모니아수 분무에 의한 해수 유발법). flavonoid 배당체의 지해작용은 비교적 좋으며 2.5mg/마리를 복강 내에 주사한 경우의 작용은 코데인 0.4mg/마리와 비슷하다.

2, 거담작용:
산성알코올 추출물 플라보노이드(flavonoid) 배당체 총페놀카르본산, 총알칼로이드 및 결정 I를 마우스의 위에 넣으면 모두 뚜렷한 거담작용을 하며(phenolred법) 사포닌의 거담 작용은 뚜렷하지 않다.

3, 천식 억제 작용:
산성 알코올 추출물, 플라보노이드(flavonoid) glycoside 및 총 알칼로이드를 guinea pig의 복강 내에 주사하면 모두 상당한 천식 억제 작용이 있는데(히스타민과 아세틸콜린 혼합액 분무법), 플라보노이드(flavonoid) 배당체의 작용이 가장 강하여, 250mg/kg일 때 aminophylline 125mg/kg의 효과에 상당한다. 총 페놀카르본산, 결정 I, 사포닌에는 모두 천식억제 작용은 없다. guinea pig에서 적출한 기관지와 폐에 대한 관류법은 백모하고초(
白毛夏枯草)의 알칼리성 에테르 추출물에 기관지의 평활근을 이완 확장하는 작용이 있다는 것이 증명되었다.

4, 세균 억제 작용:
탕제나 에탄올 추출액은 in vitro에서 상당한 억균 작용을 하며 추출물 중에서도 연염(鉛鹽)으로 이물질을 제거한 후의 산성 에테르 추출액의 세균 억제 작용이 가장 강하다. 주로 황색 포도상구균, 카타르균, 폐렴균, α형 연쇄상구균, 대장균 및 녹농균에 대하여 작용한다.

[독성(毒性)]


산성 알코올 추출물의 LD50은 마우스의 위에 주입한 경우, 254~288g(생약)/kg, 복강 내 주사는 39.9~42.0g(생약)/kg이다.

기타 동속 식물 구미일지호(九味一枝蒿: Ajuga bracteosa Wall ex Benth)의 물 추출물에는 사염화탄소의 rat의 간 손상(조직학 관찰)에 대한 작용을 예방하는 작용이 있다. 마취시킨 개, 고양이에 대하여는 혈압 강하 작용이 있으며 토끼의 적출 심장에 대하여서는 흥분 작용이 있다(초기에는 억제 작용을 볼 수 있다)."

[성미]


1, <중약대사전>: "
맛은 쓰고 달며 성질은 차다."

2, <본초습유>: "맛은 달며 성질은 평하고 독이 없다."

3, <본초강목습유>: "성질은 차고 맛은 쓰다."

4, <본초재신>: "독성이 조금 있다."

[귀경]


<본초재신>: "폐경(肺經)에 들어간다."

[약효와 주치]


1, <중약대사전>: "
해수를 멈추고 가래를 삭이며 열을 내리고 혈을 식히며 부종을 내리고 해독하는 효능이 있다. 기관지염, 토혈, 비출혈, 적리(赤痢), 임병(淋病), 목구멍이 붓고 아픈 증상, 정창(疔瘡), 옹종, 타박상을 치료한다."

2, <본초습유>: "금창의 지혈을 한다. 근육을 자라게 하며 코피를 멎게 한다. 잎을 손으로 비벼서 환부에 붙인다. 또는 달여서 복용하면 어혈 및 급성 하혈을 멎게 한다."

3, <본초강목습유>: "오로지 간화(肝火)를 말끔히 제거한다."

4, <본초재신>: "화(火)를 내리고 기(氣)를 열어준다."

5, <식물명실도고>: "근(筋)을 양(養)하고 혈을 조화시키며 한(寒)을 제거한다. 술로 달여서 복용한다. 창독에는 짓찧어 바른다."

6, <분류초약성>: "화(火)를 내리고 혈을 흩어지게 하고 종독(腫毒)을 제거한다. 타박상을 치료하려면 술에 담가서 우려내어 먹는다."

7, <복건중초약>: "열을 내리고 화(火)를 사하하며 부종을 내리고 해독한다. 이질, 디프테리아, 인후염, 편도선염, 영아의 머리와 얼굴의 습진, 정창(
疔瘡), 치옹, 치통, 급성 유선염 및 미친개에 물린 상처를 치료한다."

8, <사천중약지>: "노상(勞傷), 해수, 토혈 및 부인의 혈기통(血氣痛)을 치료한다."

9, <민동본초>: "손바닥이나 손가락에 생긴 자상(刺傷), 뱀이나 벌레에 물린 상처를 치료한다."

[용법과 용량]


<중약대사전>: "
내복: 3~5돈(신선한 것은 2~3냥)을 달여서 복용한다. 두드려서 즙을 짜내거나 갈아서 가루를 낸다.

외용: 짓찧어 붙이거나 찧어 짜 낸 즙을 입에 머금고 헹군다."


금창초의 효능에 대해서 안덕균의《CD-ROM 한국의 약초》에서는 이렇게 기록하고 있다.

[백모하고초(白毛夏枯草)

[기원]
꿀풀과의 여러해살이 초본식물인 금창초(Ajuga decumbens Thunb.)의 지상부이다.

[성미]
맛은 쓰고, 약성은 차다.

[효능주치]
청열해독(淸熱解毒), 거담지해(祛痰止咳), 양혈지혈(凉血止血), 소종(消腫)한다.

[임상응용]


1. 열(熱)로 인한 인후염, 편도선염, 디프테리아, 피부종기, 악창에 내복하거나 외용하고, 폐농양, 맹장염에 유효하다.

2. 폐열(肺熱)로 인한 해소와 가래가 잘 배출되지 않는 증상에 효과가 있으므로 폐결핵, 기관지염에 쓰인다.

3. 량혈(凉血)작용이 있어서 혈열(血熱)로 인한 변혈, 코피와 기침할 때에 피가 섞이는 증상에 지혈(止血)작용을 하며 외상출혈에는 짓찧어 붙이면 효과가 있다.

[임상연구]


1. 만성기관지염에 50g을 달여서 복용하여 유효율이 향상되었다. 또한, 40g을 달여서 설탕을 넣고 2∼3회로 나누어 복용하였더니 세균학 및 세포학적인 검사에서 소염작용이 인정되었다.

2. 호흡기감염증에도 약침제제로 활용되었는데, 특히 급성폐렴, 급성편도선염, 급성기관지염에서 유효하였다.

3. 담도질환감염 및 충수염에도 평균 6∼7일에서 현저한 반응을 나타냈다. 귀감염증에도 약침제제로 활용되었다.

[약리작용]


1. 여러 가지 추출물은 해소에 일정한 작용을 보이고, 기관지평활근에 이완작용이 있어서 천식을 가라앉힌다.

2. 연쇄상구균, 황색포도상구균, 폐렴쌍구균, 대장균, 녹농균 등에 대하여 비교적 양호한 억제작용을 나타낸다. 일정한 항염증작용과 면역기능 증강작용이 있다.

[화학성분]

neo-clerodane diterpenes, ajugacumbin A,B,C,D,E,F, ajugamarin, iridoid, decumbeside A,B,C,D, reptoside, 8-acetyl harpagide, sterols, cyasterone, ecdysterone, ajugasterone B,C, ajugalactone, luteolin, kiransin 등을 함유하고 있다.]

금창초의 효능에 대해서 안덕균의 <원색 한국본초도감> 제 589면 760호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백모하고초(白毛夏枯草)

꿀풀과의 여러해살이풀 금란초[금창초: Ajuga decumbens Thunb.]의 지상부이다.

성미: 맛은 쓰고 성질은 차다.

효능: 청열해독(淸熱解毒), 거담지해(祛痰止解), 양혈지혈(凉血止血), 소종(消腫)

해설: ① 열로 인한 인후염, 편도선염, 디프테리아, 종기, 악창(惡瘡)에 내복하거나 외용하며, ② 폐농양과 맹장염에 유효하다. ③ 폐열(肺熱)로 인한 해수와 가래가 잘 배출되지 않는 증상에 효과가 있으므로 폐결핵, 기관지염에 쓰인다. ④ 양혈(凉血) 작용이 있어서 혈열(血熱)로 인한 변혈, 코피, 기침할 때에 가래에 피가 섞이는 증상에 지혈 작용을 하며, 외상 출혈에는 짓찧어 붙이면 효과가 있다.

성분: 알칼로이드(alkaloid), 플라보노이드(flavonoid), 사포닌(saponin), 탄닌(tannin), 유기산 등이 확인되었으며, cyasterone, ecdysterone이 분리되었다.

약리 작용: ① 여러 가지 추출물은 해수에 일정한 작용을 보이고, 기관지 평활근에 이완 작용이 있어서 천식을 가라앉힌다. ② 연쇄상구균, 황색포도상구균, 폐렴쌍구균, 대장균, 녹동균 등에 비교적 양호한 억제 작용을 나타낸다. ③ 일정한 항염증 작용과 면역 기능 증강 작용이 있다.

임상 보고: ① 만성기관지염에 이 약물 50g을 물을 넣고 달여서 복용하자 유효율이 향상되었고, 또한 40g을 달인 물에 설탕을 넣고 2~3회로 나누어 복용한 후 세균학 및 세포학적인 검사에서 소염 작용이 인정되었다. ② 호흡기감염중에도 약침 제제로 활용되었는데, 특히 급성 폐렴, 급성 편도선염, 급성 기관지염에 유효하였다. ③ 담도 질환 감염 및 충수염에도 평균 6~7일 치료 후에 현저한 반응을 나타냈다. ④ 이부(耳部) 감염증에도 약침 제제로 활용되었다.]

금창초의 효능
에 대해서 배기환의 <한국의 약용식물> 433면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금창초(금란초)

과명/
꿀풀과

학명/
Ajuga decumbens Thunb.

여러해살이풀. 높이 5~15cm. 꽃은 짙은 자줏빛으로 5~6월에 핀다. 꽃받침은 5개, 4개의 수술 중 2개는 길다.

분포/
충청도, 경상도, 전라도 및 제주도의 산기슭이나 들에서 자라며, 중국과 일본에 분포한다.

약효/
건조시킨 전초를 백모하고초(白毛夏枯草)라고 하며, 지해, 화담, 청열, 양혈, 소종, 해독의 효능이 있고, 기관지염, 토혈, 적리, 인후종통을 치료한다.

성분/
cyasterone, ecdysterone, ajugasterone C, ajugalactone이 함유되어 있고, 에탄올 추출물은 쥐에 대하여 지해 작용이 있으며, 또 황색포도상구균, 폐렴균 등에 대하여 항균 작용이 있다.

사용법/
건조시킨 전초 15g에 물 700mL를 넣고 달인 액을 반으로 나누어 아침 저녁으로 복용한다.
]

금창초의 효능에 대해서 중국에서 펴낸
<중국본초도록> 제 5권 142면 2280호에서는 이와 같이 기록하고 있다.

[백모하고초(白毛夏枯草)

기원: 순형과(脣形科=꿀풀과: Labiatae)식물인 금창소초(金瘡小草=금창초: Ajuga decumbens Thunb.)의 전주(全株)이다.

형태: 다년생 초본으로 높이가 10-30cm이다. 줄기는 네모진 모양이고 식물 전체에 백색(白色)의 유모(柔毛)가 난다. 단엽(單葉)이 마주나는데 잎 가장자리에는 물결모양의 굵은 톱니가 있고 뒷면 및 잎가장자리는 대개 자색(紫色)을 띈다. 윤산화서(輪傘花序)가 가지 상부에서 모여달려 수상(穗狀)을 이루며, 꽃받침은 종모양이며 5갈래 이고, 화관(花冠)은 입술모양이며 백색(白色)이거나 자색(紫色)이고, 수술은 4개이며 이강(二强)이고, 자방상위(子房上位)이다. 열매는 견과(堅果)로 회황색(灰黃色)이다.



분포: 길가, 황무지, 강기슭에서 자란다. 중국 대부분의 지역에 분포. 우리나라에서는 경상도, 전남 및 제주도에서 자란다.

채취 및 제법: 봄, 가을에 채취하여 신선한 상태로 사용하거나 햇볕에 말린다.

성분: 플라보노이드(flavonoid) 배당체, 알칼로이드(alkaloid).

기미: 맛은 쓰면서 달고 성질은 차다.

효능: 지해화담(止咳化痰), 청열해독(淸熱解毒), 양혈소종(凉血消腫).

주치: 기관염(氣管炎), 토혈(吐血), 뉵혈(衄血), 적리(赤痢), 임병(淋病), 인후종통(咽喉腫痛), 정창(疔瘡), 옹종(癰腫).

용량: 6-12g. 외용시(外用時)에는 적량(適量)을 사용한다.

참고문헌: 중약대사전, 상권, 1511면.]

금창초로 질병을 치료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

1, 이질

신선한 근골초(筋骨草: 금창초) 3냥을 짓찧어 짜낸 즙을 꿀로 개어 약한 불에 달여서 온복한다. [복건중초약(福建中草藥)]

2, 인후통

백하고초(白夏枯草)를 더움물에 담가 복용한다. [강소식약지(江蘇植藥誌)]

3, 위독폐옹위증(危篤肺癰
症)
설리청(雪裏靑)의 즙액을 복용한다. 만일 토하려 한다면 효과가 있는 것이다. [
본초강목습유(本草綱目拾遺)]

4, 폐옹(肺癰)

설리청(雪裏靑)의 즙액에 꿀을 가하여 2회로 나누어 복용한다. 1일 5~7회 복용한다. [
본초강목습유(本草綱目拾遺)]

5, 폐로(肺勞)

금창소초(金瘡小草)의 전초 2~3돈을 햇볕에 말려 갈아서 분말로 하여 복용한다. 1일 3회 복용한다. [호남약물지(湖南藥物誌)]

6, 종통(腫痛), 풍화(風火), 결체(結滯)를 흩어지게 하는 처방

설리청(雪裏靑)의 뿌리, 얇게 썬 돼지 살코기를 한 층 한 층 떼어 놓고 백주(白酒)로 찌부러질 때까지 싱겁게 고아서 복용한다. [
본초강목습유(本草綱目拾遺)]

7, 인후급폐(咽喉急閉)

설리청(雪裏靑)의 즙액을 환부에 바른다. [
본초강목습유(本草綱目拾遺)]

8, 단쌍아(單
双蛾)
목련봉(木蓮蓬), 설리청(雪裏靑: 금창초)의 뿌리와 잎의 즙액을 끓인 미초(米酢)를 섞어서 입에 머금었다가 뱉어 내면 치유된다. [
본초강목습유(本草綱目拾遺)]

9, 치통

설리청(雪裏靑)의 전즙(煎汁: 달인액)을 아픈 곳에 머금었다가, 소량의 술로 복용한다. [
본초강목습유(本草綱目拾遺)]

10, 치질

설리청(雪裏靑)을 달인 물로 환부를 씻는다. [
본초강목습유(本草綱目拾遺)]

11, 미친개에 물린 상처

신선한 백모관(白毛串)의 전초 5~8돈(말린 것은 3~5돈)과 고구마 소주 8~10냥으로 1시간 달여서 따뜻할 때 복용한다. [복건민간초약(福建民間草藥)]

12, 만성기관지염
(임상보고)
신선한 백모하고초(
白毛夏枯草) 전초 2냥 또는 말린 백모하고초(白毛夏枯草) 1냥을 진하게 달여서 당(糖) 적당량을 가하여 1일 1첩을 2~3회로 나누어 복용한다. 10일을 1치료 기간으로 한다. 577례를 치료한 결과 단기간 치료에서 30례가 치유되었으며 현효 103례, 호전 339례로 유효율이 80% 이상이었다. 복용 기간 중, 중한 부작용이나 나쁜 반응은 나타나지 않았지만, 일부 환자는 복용 후 1~2일 사이에 가벼운 현훈(眩暈), 위부부적(胃部不適), 오심(惡心), 소화불량이 나타났으나, 대증요법에 의해 증상이 모두 소실되었으며 계속하여 복용하는 데에 영향은 없었다. 상술한 치료 효과의 기초 위에, 또 백모하고초(白毛夏枯草)의 조(粗) 추출물로 만든 당의정(糖衣錠)으로 900례의 환자를 치료하여, 겨울의 7치료 기간을 치료한 바, 유효율이 88%, 임상 억제율은 25%, 현효율은 50%였다. 일부 환자에 대해서 치료 전후에 담(痰)의 세균학과 세포학적 검사를 실시한 결과, 각각 다른 정도의 세균 생장의 억제와 염증을 억제하는 작용이 있다는 것이 증명되었음과 동시에 병변 조직이 수복된 흔적도 있었다. [중약대사전] 

13, 호흡기 기타 염증에 대한 치료
(임상보고)
백모하고초(
白毛夏枯草)로 200% 주사액을 만들어, 1일 2회 근육에 주사한다. 4세 이하는 1회 2ml, 4세 이상은 4ml로 한다. 소아의 호흡기 감염, 급성 기관지염, 급성 폐렴, 급성 편도선염과 급성 인두염 등, 118례를 치료한 결과, 치유 53례, 호전 38례, 무효 27례로, 총유효율은 77.12%였다. 효과를 본 병례는 평균 2.1일로 체온이 정상으로 내려갔고 입원 기간은 평균 7일이었다. 신선한 약초나 말린 약초를 달여서 복용해도 급성 기관지염, 폐렴, 폐농양 및 편도선염, 인후염 등에 효과가 있었다. [중약대사전] 

14, 담도 질환의 속발성 감염 및 충수 농양의 치료
(임상보고)
30~35%의 백모하고초(
白毛夏枯草) 탕약을 1회 50ml를 1일 2회 복용한다. 아동은 양을 적당히 줄인다. 담도 속발성 감염에 대해서는 동시에 침구로 진경(鎭痙) 지통을 하고 일부 환자에 대해서는 소량의 진경제(鎭痙劑)를 사용하였으며 또 탈수, 산 중독을 시정하였다. 37례를 치료한 결과 치유 33례, 호전 4례였고 평균 입원 일 수는 6.2일이었다. 충수 농양에 대해서는 탕약을 복용하는 외에 신선한 약초를 짓찧어 환부에 1일 1회 붙인다. 13례를 관찰한 결과 평균 6~7일 치료하여 모두 치유되었다. [중약대사전]

15, 이부(耳部) 감염의 치료
(임상보고)
백모하고초(
白毛夏枯草)의 주사액, 1회 2ml(생약 2g 함유)를 1일 1~2회 근육 주사한다. 귀의 절(癤: 부스럼), 단순성 중이염, 외이도염 등의 이부(耳部) 감염, 총 32례를 치료한 바, 12례가 치유되었고 19례가 호전, 1례는 무효였다. [중약대사전]

[비고(備考)]


1, <본초습유(本草拾遺)>:
"금창소초(金瘡小草)는 강남(江南: 장강:長江 하류 이남 지역)의 촌락과 전야의 낮은 습지에서 자란다. 높이는 1~2치 정도이고 제(薺: 냉이) 잎과 비슷하지여 짧고 봄부터 여름 사이에 연보랏빛 꽃이 피는데 길이는 멥쌀만하다."

2, <백초경(百草鏡)>:
"눈이 올 때 작은 흰 꽃이 피는 것은 과동청(過冬靑)이고 3월에 줄기가 나고 꽃이 흰 이삭을 이루고 하고초(夏枯草)와 비슷하다. 털이 있는 것을 설리청(雪裏靑)이라고 한다."

[금창초 재배법]


1, 기후와 토양:
따뜻하고 습한 것을 좋아한다. 응달의 경사지로 부식질이 많은 토양이 좋다.

2, 정지:
모판은 30cm 깊이로 갈고 너비 90~100cm로 두둑을 만들어, 표토를 곱게 부수고 부식토를 4cm 정도의 두께로 펴서 널빤지로 가볍게 다진 후, 편평하게 고른다. 이식할 때에는 먼저 갈아서 두둑을 만들고 토양이 척박하다면 갈 때에 무(畝)당 퇴비나 외양간 두엄을 100kg 가량 준다. 두둑 폭을 120cm로 하고 이랑 사이 거리, 포기 사이 거리를 24X18cm로 구멍을 판다.

3, 번식:
① 육모: 9월 상순에 파종한다. 심은 다음 얇게 초니회(焦泥灰)로 덮고 그 위에 볏짚을 덮는다. 파종 후 모판주위에 굵은 대나무 따위로 높이 120cm의 덕을 만들어, 갈대로 만든 발로 햇볕을 가린다. 그 후, 토양을 항상 습한 상태를 유지하며 2~3주일 후에 모가 나오면 덮었던 볏짚을 제거하고 묘에 본엽이 3~4개 나왔을 때에 이식한다.

② 이식:
응달의 환경을 선호하는 성질에 적응하기 위해 누에콩이나 완두를 간작한다. 또는 두둑 양 끝에 백모하고초(
白毛夏枯草)를 심고 두둑 한가운데에 천명정(天明精)을 혼작하여 햇볕 가리개로 한다. 심을 때에 뿌리와 토양이 밀착하도록 주의하고 줄기의 기부와 지면이 편평하게 고르도록하여 생육이 잘되도록 너무 깊게 심지 않도록 해야 한다.

4, 경작 관리:
잡초는 손으로 뽑아, 호미 따위로 김매기하다가 뿌리의 생육에 영향이 미치지 않게 해야 한다. 채취 후에는 언제나 초니회를 100kg씩 주고 묵은 뿌리의 생육을 촉진시킨다. 우기에는 배수에 주의해야 한다. [중약대사전]

최근에 친환경농업 자연에 가까운 유기농법이 세계적으로 각광을 받고 있다. 금창초가
<충기피식물>로 알려져 있으며 천연농약으로 활용할 수 있는데, 인터넷에 올라온 자료가 있어 여기에 소개해 본다.

[
약성 및 활용

한방에서는 금창초(金瘡草)의 전초를 백모하고초(白毛夏枯草)라 하여 약으로 사용한다. 맛은 쓰고 달며 성질은 차다. 주로 폐경(肺經)에 들어간다. 열을 내리고 독을 없애며, 가래를 삭이고 기침을 멎게 하는 효능과 혈분(血分)에 열이 성한 것을 치료하는 효능이 있다.

「중화본초(中華本草)」에 의하면, “목안이 붓고 아픈 증상과 폐에 생긴 여러 가지 병증으로 기침이 나오거나 통증이 있을 때 사용하며, 눈의 통증, 악성종기, 뱀에 물린 상처, 넘어지거나 부딪친 상처를 치료할 때에도 쓴다. 약으로 쓸 때에는 개화기에 전초를 채취하여 사용하는데 신선한 것일 경우 30~60g, 햇볕에 말려 둔 것은 10~30g을 물에 달이거나 담가 두었다가 복용하면 된다.”고 한다.

또한 세균을 억제하는 작용이 강하다. 실험에서 연쇄상구균, 황색포도상구균, 폐렴쌍구균, 대장균, 녹농균 등에 대하여 양호한 억제작용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졌다. 항염증작용과 면역기능 증강작용이 있다.


금창초 전초에는 플라보노이드(flavonoid) 배당체 및 사포닌, 알칼로이드(alkaloid), 유기산, 탄닌, 페놀성 물질, 스테로이드(steroid), 환원당이 함유되어 있는데, 주성분은 루테올린(luteolin)이다. 스테로이드 중에는 cyasterone, ecdysterone 및 미량의 ajugasterone C 등의 곤충변태호르몬이 함유된 외에 이 호르몬과 반대작용을 하는 ajugalactone 성분도 들어있다. 뿌리에는 kiransin이 함유되어 있다.

금창초에 함유된 엑디스테론(ecdysterone), cyasterone, ajugasterone, ajugalactone 등의 스테로이드 호르몬들은 곤충의 변태 및 탈피에 작용하는 성분들로,
식물이 해충으로부터 스스로를 지키기 위해 분비하는 화학물질이다. 이러한 스테로이드 호르몬들을 곤충이 대량으로 섭취할 경우 생장 및 변태에 교란작용이 일어나 정상적으로 성장하지 못한다. 꿀풀, 조개나물 등에도 들어있다.

금창초에 함유된 항균 성분과 해충의 섭식을 방해하는 여러 변태호르몬 성분을
친환경농업에서 천연농약으로 이용할 수 있다. 생즙을 내거나 물에 다리거나 알코올에 우려내어 사용한다.]

논밭두렁 길가, 개울가, 산기슭, 황무지 등 흔하게 자라면서 땅바닥에 바짝 붙어 자라는 이 풀은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큰 이목을 끌지 못하고 천대받는 풀이기도 하다. 하지만 위의 기록에서 보는 것처럼 고대 우리 조상들은 매우 다양한 이름을 붙여주면서 약용으로 애용하여 온 귀중한 약초이기도 하다.

진리는 평범한데 존재한다는 말과 같이 남들이 볼 때 하찮고, 볼품없고, 천대받는 평범하고 일반적인 풀이지만 실제로는 엄청난 효능이 숨겨져 있는 대단히 귀중한 보물의 약초이기도 하다. 금창초를 볼 때마다 인류는 다시금 금창초를 만들어준 조물주에게 고마움을 느껴야 될 것이다. 

상기 자료는 약초연구가로서 지구상에 존재하는 천연물질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고 질병으로 고통을 겪고 있는 환우들에게 희망을 주며 기능성 식품과 신약을 개발하는데 통찰력을 갖게하고 약초를 사랑하는 모든 사람에게 정보의 목적으로 공개하는 것임을 밝혀 둔다.   

(글/ 약초연구가 & 동아대 & 신라대 대체의학 외래교수 전동명)

금창초 사진 감상: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네이버+구글+다음+일본구글+대만구글: 1, 2, 3, 4, 5,

금창초 일본 상세한 사진 웹사이트: 1,

문의 및 연락처: 010-2545-0777 ; 051-464-0307

주소: http://jdm0777.com

페이스북 주소: http://www.facebook.com/jdmsanyacho

메일: jdm0777@naver.com

 

 

※ 아래에 jdm 필자가 찍은 금창초 사진도 감상해 보시고 행복하시기 바랍니다~~~^.^

 


 

홈페이지 주소 : http://jdm0777.com 클릭하시면 홈으로 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