갈대 무엇인가?

여자의 마음은 흔들리는 갈대 남자의 마음은 올대

 

 

 

 

 

 

 

 

 

 

[갈대 잎, 꽃, 줄기, 겨울철 모습, 사진출처: 일본/대만/한국 구글 이미지 검색]

▶ 이뇨작용, 약한 해열작용, 간보호작용, 조혈기능강화작용, 구역질 멈춤작용, 식도암, 열을 내리게 하는데, 진액을 불려주는데, 청폐위열, 생진지갈, 지구제번, 골증폐위, 청강폐위, 이수통림, 상토하사, 소탕울번, 제구하식, 일얼오뇌, 삼습행수, 청심익신, 눈에 안개가 낀 것 같이 흐릿하게 보이는 증상, 머리가 아찔한 증상, 이명, 창독, 밤에 꿈을 꾸어 정신이 어지럽고 혼란스러운 증상, 유정, 태음온병으로 갈증이 심하고 찐득찐득하고 게거품을 토하며 불쾌할 때, 오역심격기체로 번민하고 토역하며 음식을 먹을 수 없을 때, 구얼이 멎지 않아 궐역하는 때, 상한 후의 구얼반위 및 헛구역질이 나와 음식을 먹지 못할 때, 번조하여 음식을 먹지 못할 때, 곽란번민, 물고기에 중독되어 얼굴이 붓고 번란한 증상 및 농어에 중독되어 빈사 상태에 빠졌을 때, 잇몸에서 피가 나는 병, 기침에 그다지 높지 아니한 신열이 있고 가슴속이 답답하며 흉심이 갑착한 것은 바로 폐농양인데 이것을 치료하는 처방, 토사곽란, 번갈심조, 등에 난 종기가 곪았을 때, 토혈이 멎지 않고 계속 나올 때, 여러 혈병, 건성 곽란에 의한 심복부창통, 구토, 열이 나면서 가슴이 답답하고 갈증이 나는데, 진액이 말라서 갈증이 나고 입 안이 타는 증상, 열병고열번갈, 아은출혈, 기관지염, 소변단적, 열성 질환, 위열에 위한 구역질, 메스꺼움, 가래가 끈끈하고 입 안이 마르는 증상, 변비, 폐결핵, 폐농양, 알코올 중독, 생선과 게를 먹고 중독된데, 복어 독을 해독하는데, 위열구토, 반진설조, 폐열해수, 폐옹, 후통, 소갈, 부종, 황달, 베인상처, 새살이 돋아나게 하는데, 흉터를 없애는데, 코피, 각종 출혈, 등에 생긴 종기, 관절염, 복어독, 식도암, 방광염을 다스리는 갈대

갈대는 강 입구, 습지나 냇가에서 자라는 벼과의 여러해살이풀이다.

갈대의 학명은 <
Phragmites australis>이다. 화본과(벼과)에 속하는 갈대속은 전세계에 수종이 있으며 우리나라에는 갈대(갈), 달뿌리풀(달뿌리갈), 큰달뿌리풀(왕갈)이 자라고 있으며 왕갈대속에는 왕갈대(옹진갈, 물대)가 자라고 있다.

땅속으로 길 게 벋는 뿌리줄기의 마디에서 노란색의 수염뿌리가 내린다. 줄기는 1~3미터 높이로 곧게 서며 속이 비어 있다. 줄기에 어긋나는 가느다란 선형 잎은 밑 부분이 잎집으로 되어 줄기를 둘러 싼다. 9월에 줄기 끝에 수많은 자주색 꽃이 피어 전체적으로 원뿔 모양의 꽃이삭을 만든다.  

털이 달린 씨앗은 바람을 타고 퍼진다. 줄기로 자리를 엮어 방에 깔고 초가집 지붕을 만드는데도 쓰인다. 또 이삭으로 빗자루를 만들어 썼다. 갈대와 비슷한 달뿌리풀(Phragmites japonica)은 뿌리 줄기가 땅위로 벋고 윗부분의 잎집은 흔히 자색을 띠며 꽃이삭이 갈대보다 엉성함으로 구분할 수 있다.

갈대의 여러 가지 이름은
노위[蘆葦=
lú wěi=웨이V: 화잡죽:禾雜竹, 수노죽:水蘆竹: 중약대사전(中藥大辭典)], [葦, :: 시경(詩經)], [蘆: 명의별록(名醫別錄)], 노죽[蘆竹: 약대(藥對)], 포위[蒲葦: 성제총록(聖濟總錄)], 위자초[葦子草: 구황본초(救荒本草)], 요시[ヨシ, 아시:アシ, :葦, :芦, :蘆, :葭: 일문명(日文名)], Phragmites australis[학명(學名)], 갈때, , 북달, , 갈대 등으로 부른다. 

갈대 뿌리의 여러 가지 이름은
노근[蘆根=
lú gēn=: 신농본초경집주(神農本草經集注)], 노모근[蘆茅根: 회약의경(會約醫鏡)], 위근[葦根: 온병조변(溫病條辨)], 노고근[蘆根: 초목편방(草木便方)], 순강용[順江龍: 천보본초(天寶本草)], 수랑강[水蓢蔃: 영남채약록(嶺南採藥錄)], 노시근[蘆柴根: 남경민간약초(南京民間藥草)], 노통[蘆通: 강소식약지(江蘇植藥誌)], 위자근[葦子根: 하북약재(河北藥材)], 노아근[蘆芽根: 산동중약(山東中藥)], 첨경자[梗子: 사천중약지(四川中藥誌)], 활수노근[活水蘆根: 중약대사전(中藥大辭典)], 갈뿌리 등으로 부른다.

갈대 줄기의 여러 가지 이름은
노경[蘆莖: 당본초(唐本草)], 위경[葦莖: 천금방(千金方)], 눈노경[嫩蘆梗: 현대실용중약(現代實用中藥)] 등으로 부른다.

갈대 잎의 여러 가지 이름은
노엽[蘆葉: 당본초(唐本草)], 노약[蘆
: 본경봉원(本經逢原)] 등으로 부른다.

갈대 새싹의 여러 가지 이름은
노순[蘆
: 본초도경(本草圖經)], [: 이아(爾雅)], 노첨[蘆尖: 요약분제(要藥分劑)] 등으로 부른다.

갈대 탁엽의 다른 이름은
노죽탁[蘆竹
: 약대(藥對)], 노적외피[蘆外皮: 태평성혜방(太平聖惠方)] 등으로 부른다.

갈대 꽃의 다른 이름은
노화[蘆花, 봉농:蓬
: 당본초(唐本草)], 가화[花: 이아(爾雅)], 노봉용[蘆蓬茸: 소품방(小品方)], 봉용[蓬茸: 본초도경(本草圖經)] 등으로 부른다.

[
채취]

<뿌리>


<중약대사전>: "봄, 여름, 가을에 채취하여 진흙을 깨끗이 씻어내고 남은 줄기, 싹 및 마디 위의 수염뿌리를 잘라 버리고 막처럼 생긴 잎을 벗겨낸다. 그런 다음 햇볕에 말린다. 혹은 눅룩한 모래 속에 파묻어 두었다가 신선한 것을 쓴다."

<줄기>

<중약대사전>: "여름과 가을에 채취한다."

<잎>

<중약대사전>: "봄, 여름, 가을에 모두 채취할 수 있다."

<새싹>

<중약대사전>: "봄과 여름에 채취한다."

<탁엽>

<중약대사전>: "봄, 여름, 가을에 모두 채취할 수 있다."

<꽃>


<중약대사전>: "가을 이후에 채취한다."

[약재(藥材)]


<뿌리>

<중약대사전>: "
1, 신선한 갈대 뿌리: 활수노근(
活水蘆根)이라고 한다. 길쭉한 원기둥 모양이거나 납작한 원기둥 모양으로 길이는 일정하지 않고 지름은 약 1.5cm이다. 표면은 황백색이고 광택이 있으며, 끝은 죽순처럼 뾰족하고 녹색이거나 황녹색이다. 전체에 마디가 있고 마디사이의 길이는 10~17cm이다. 마디 위에는 수염뿌리나 눈의 흔적이 남아 있다. 질은 가벼우면서도 질기며 쉽게 끊어지지 않는다. 가로로 잘라 낸 면은 황백색이고 속이 비었으며, 사방 벽의 두께는 약 1.5mm이고 고리 모양으로 배열된 가는 구멍이 보이며 겉껍질은 바삭바삭하여 벗겨낼 수 있다. 냄새는 없고 맛은 달다.

2, 말린 갈대 뿌리:
납작하고 길쭉한 원기둥 모양이다. 표면은 광택이 있고 황백색이며, 마디 부분은 비교적 단단하고 또렷한 황홍색이며, 마디 사이에 세로 주름이 있다. 질은 가벼우면서도 부드럽고 질기며 십게 끊어지지 않는다. 냄새는 없고 맛은 조금 달다. 굵고 단단하여 황백색이고 광택이 있으며, 수염뿌리가 없고 질이 연한 것이 좋다. 중국 각지에서 산출된다."

[성분]


<뿌리>


<중약대사전>: "뿌리에는 coixol 및 protein 5%, fat 1%, 탄수화물 51%, asparagine 0.1%를 함유하고 있다. 갈대는 cellulose 48~54%, 리그닌(lignin) 약 18.2%, xylan 약 12.4%, 회분 2.8%를 함유하고 있다. polysaccharide를 가수 분해하면 d-xylose, 1-arabinose, d-glucose, d-galactose 및 2종의 uronic acid가 생성된다. 이외에 대량의 비타민(vitamin) B1, B2와 C 및 tricin을 함유하고 있다."

<줄기>

<중약대사전>: "cellulose 38.64~40.98%, pentosan 17.27~19.66%, 리그닌(lignin) 30.36~32.42%, 회분 2.00~2.20%, 수분 7.00~9.47%을 함유하고 있다."

<잎>

<중약대사전>: "cellulose 21.35~21.45%, pentosan 10.55~15.21%, 리그닌(lignin) 42.01~50.79%, 회분 10.67~11.33%, 수분 6.67~10.00%를 함유하고 있다. 또한 ascorbic acid 0.2%를 함유하고 있다."

<탁엽>

<중약대사전>: "cellulose 24.96~31.06%, pentosan 15.75~17.59%, 리그닌(lignin) 37.42~35.35%, 회분 14.00~18.00%, 수분 7.87~8.00%를 함유하고 있다."

<꽃>

<중약대사전>: "리그닌(lignin) 18%, pentosan 24.9~25.6%, cellulose 26.8~31.1%가 들어 있다."

[성미]


<뿌리>

1, <중약대사전>: "맛은 달고 성질은 차다."

2, <명의별록>: "맛은 달고 성질은 차다."

3, <약성론>: "독이 없다."

4, <본초재신>: "맛은 달고 쓰며 성질은 조금 차고 독이 없다."

5, <육천본초>: "맛은 달고 싱거우며 성질은 약간 차다."

<줄기>

<본초강목>: "맛은 달고 성질은 차며 독이 없다."

<잎>

<본초강목>: "맛은 달고 성질은 차며 독이 없다."

<새싹>

1, <본초도경>: "맛이 약간 쓰다."

2, <일용본초>: "맛은 달고 성질은 차며 독이 없다."

<탹엽>

<
약대(藥對)>: "성질이 차다."

<꽃>


<본초강목>: "맛은 달고 성질은 차며 독이 없다."

[귀경(歸經)]


<뿌리>

1, <중약대사전>: "폐(肺), 위경(胃經)에 들어간다."

2, <뇌공포제약성해>: "폐(肺), 위경(胃經)에 들어간다."

3, <득배본초>: "수소음(手少陰), 태음경(太陰經)의 혈분(血分)에 들어간다."

4, <요약분제>: "폐(肺), 비(脾), 신(腎)의 3경(經)에 들어간다."

5, <본초재신>: "간(肝), 비(脾)의 2경(經)에 들어간다."

<줄기>

<본초강목>: "심(心), 폐(肺)에 들어간다."

[약효와 주치]


<뿌리>


1, <중약대사전>: "열을 내리고 진액을 생기게 하며, 제번(除煩)하고 구역질을 멎게 하는 효능이 있다. 열병에 의한 번갈(煩渴), 위열(胃熱)에 의한 구토, 식도암, 번위(
翻胃), 폐위(肺), 폐농양을 치료한다. 또한 복어독을 푼다."

2, <명의별록>: "소갈객열(消渴客熱)을 치료하고 소변리(小便利)를 멎게 한다."

3, <약성론>: "대열(大熱)을 풀고 식욕을 돋워 준다. 멎지 않은 일얼(
噎噦)을 치료한다."

4, <당본초>: "구역질이 나서 음식을 먹지 못하는 증세와 위중열(胃中熱)을 치료하며 상한(傷寒)환자에게는 더욱 좋다."

5, <일화자제가본초>: "유행병으로 오한과 신열이 나서 번민하는 증상, 임신부의 심열(心熱), 설사로 인한 갈증을 치료한다."

6, <일용본초>: "복어독을 푼다."

7, <본초몽전>: "주독, 물고기 및 게의 중독을 푼다."

8, <본초원시>: "
건구곽락(乾嘔霍亂)을 치료한다."

9, <옥추약해>: "
청강폐위(淸降肺胃), 소탕울번(消蕩鬱煩)하고 진액을 생기게 하며 갈증을 해소하고 제구하식(除嘔下食)한다. 일얼오뇌(噎噦懊憹)를 치료한다."

10, <의림찬요>: "
삼습행수(滲濕行水)하고 폐농양을 치료한다."

11, <천보본초>: "
청심익신(淸心益腎)한다. 눈에 안개가 낀 것 같이 흐릿하게 보이는 증상, 머리가 아찔한 증상, 이명, 창독, 밤에 꿈을 꾸어 정신이 어지럽고 혼란스러운 증상, 유정을 치료한다."

12, <중국약식지>: "변비를 치료한다."

13, <남경민간약초>: "후통(喉痛)을 치료한다."

14, <산동중약>: "부종을 치료한다."

15, <사천중약지>: "반진설조(斑疹舌燥) 및 진액 부족을 치료한다."

<줄기>

<본초강목>: "폐농양에 의한 번열(煩熱)을 치료한다."

<잎>

1, <중약대사전>: "상토하사(上吐下瀉), 토혈, 코피, 폐농양, 등에 난 종기를 치료한다."

2, <본초강목>: "곽란구역(
霍亂嘔逆), 악창을 치료한다."

3, <본경봉원>: "약성이 남게 태워서 쓰면 토혈, 코피 등 모든 출혈을 치료한다."

4, <옥추약해>: "청폐(淸肺)하고 구토를 멎게 한다. 등에 생긴 종기와 폐농양을 치료한다."

<새싹>

1, <중약대사전>: "열병에 의한 갈증, 임질, 소변 불리를 치료한다."

2, <일용본초>: "격한객열(膈寒客熱)을 치료하고 갈증을 멎게 하며 소변이 잘 나오게 하고 물고기 독을 푸는 효능이 있다."

3, <본초강목>: "여러 가지 고기의 독을 푼다."

4, <옥추약해>: "청폐지갈(淸肺止渴)하며 이수통림(利水通淋)한다."

<탁엽>

<약대>: "칼에 찔리거나 베인 상처를 다스리고 새살이 돋아나게 하며, 흉터를 없애는 효능이 있다."

<꽃>


1, <중약대사전>: "출혈을 멎게 하고 해독하는 효능이 있다. 코피, 자궁출혈, 상토하사(上吐下瀉)를 치료한다."

2, <당본초>: "물에 끓인 진한 즙을 복용하여 곽란을 치료한다."

3, <본초도경>: "물에 끓인 진한 즙을 복용하여 고기와 게의 중독을 치료한다."

4, <본초강목>: "태운 재를 코에 불어 넣어 코피를 멎게 하거나 혹은 자궁출혈 치료약으로 쓴다."

[용법과 용량]


<뿌리>


<중약대사전>: "내복: 18.5~37g(신선한 것은 74~148g)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혹은 짓찧은 즙을 복용한다."

<줄기>

<중약대사전>: "내복: 18.5~37g(신선한 것은 74~148g)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잎>

<중약대사전>: "내복: 37~74g을 물로 달여서 먹거나 혹은 약성이 남게 태워 갈아서 가루내어 쓴다.

외용: 갈아서 가루내어 뿌린다."

<새싹>

<중약대사전>: "내복: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꽃>


<중약대사전>: "내복: 18.5~37g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외용: 약성이 남게 태운 다음 갈아서 가루내어 콧속에 불어 넣는다."

[배합(配合)과 금기(禁忌:
주의사항)]

<뿌리>


1, <중약대사전>: "비위(脾胃)가 허한(虛寒)한 자는 금한다."

2, <신농본초경소>: "한곽락(
寒霍亂)에 의하여 속이 더부룩하거나 한(寒)에 의한 구토가 있는 경우에는 복용을 금한다."

<새싹>

<영원, 식감본초(寧原, 食鑑本草)>: "파두(巴豆)를 꺼린다."

갈대의 효능에 관해서 북한에서 펴낸 <동의학사전>에서는 이렇게 적고 있다.

[노근(蘆根) //갈뿌리, 위근(葦根)// [본초]

벼과에 속하는 다년생 풀인 갈(Phragmites longiualuis Miquel)의 뿌리를 말린 것이다. 갈은 각지의 늪, 강기슭, 습지, 바다기슭에서 자란다. 봄 또는 가을에 뿌리줄기를 캐서 잔뿌리를 다듬어 버리고 물에 씻어 햇볕에 말린다. 맛은 달고 성질은 차다. 폐경, 위경에 작용한다.

열을 내리고 진액을 불려주며 구토를 멈춘다. 약리실험에서 이뇨작용, 약한 해열작용, 간보호작용, 조혈기능강화작용 등이 밝혀졌다. 열이 나면서 가슴이 답답하고 갈증이 나는 데, 위열구토(胃熱嘔吐), 폐열해소(肺熱咳嗽), 폐옹(肺癰), 소갈(消渴), 부종, 황달, 관절염, 방광염 등에 쓴다. 하루 10~30g, 신선한 것은 30~60g을 탕약으로 먹는다.
]


갈대의 효능에 관해서 안덕균의
<한국본초도감>에서는 이렇게 기록하고 있다.

[노근(蘆根)

화본과의 여러해살이풀 갈대(
Phragmites longiualuis Trin.)의 뿌리줄기이다.

성미: 맛은 달고 성질은 차다.

효능: 청열생진(淸熱生津), 지구제번(止嘔除煩)

해설: ① 열을 내리므로 열병으로 인해 가슴 속이 답답하고 편안치 않아서 팔다리를 가만히 두지 못하거나 열이 나는 증상 및 진액(津液)이 말라서 갈증이 나고 입 안이 타는 증상 등의 열성 질환에 유효하다. ② 위열에 의해 구역질, 메스꺼움 등의 증세가 있을 때 진하게 달여서 자주 마시며, ③ 폐열로 인한 해수, 가래가 끈끈하고 입 안이 마르는 증상에도 활용된다. 폐결핵, 폐농양에도 쓰이며, ④ 생선과 게를 먹고 중독된 것을 풀어 주는데, 특히 복어 독을 해독시킨다.  

성분: coixol, 단백질 5%, 지방 1%, 탄수화물 51% 및 asparagine, vitamin B1, B2 등이 함유되어 있다.]


[갈대뿌리의 건조한 모습, 사진 출처: 대만 구글 이미지 검색]

갈대의 효능에 관해서 배기환의
<한국의 약용식물> 564면 717호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갈대(Phragmites longiualuis Trin.) [벼과]

여러해살이풀. 높이 1~3m. 꽃은 9월에 핀다. 원추 꽃차례는 끝이 밑으로 처지고 길이 20~40cm로 넓은 달걀 모양이며, 자주색에서 자갈색으로 변한다.

분포/
전국의 습지나 냇가에서 자라며, 일본, 만주, 중국 등 아시아, 유럽, 아프리카, 아메리카에 분포한다.
약효/
뿌리 줄기를
노근(蘆根)이라고 하며, 청열, 제번, 생진(生津), 지구(止嘔)의 효능이 있고, 열병에 의한 구갈, 심번(心煩), 위열에 의한 구토, 번위, 폐위(肺), 페옹을 치료하고, 복어 중독을 해독한다. 잎을 노엽(蘆葉)이라고 해며, 구토, 설사, 토혈을 치료한다.

성분/
뿌리줄기에는 coixol이 함유되어 있다.

사용법/
뿌리줄기 20g에 물 800ml를 넣고 달인 액을 반으로 나누어서 아침 저녁으로 복용한다.]

갈대뿌리의 효능에 대해서 중국에서 펴낸 <중국본초도록> 제 3권 207면 1414호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노근(蘆根)

기원: 화본과(禾本科=벼과: Gramineae)의 식물인 노위(蘆葦=갈대: Phragmites communis (L.) Trin.)의 근상경(根狀莖)이다.

형태: 다년생 초본으로 길이가 5m에 달한다. 지하경(地下莖)은 굵고 튼튼하며 가로로 나있고 마디사이는 가운데가 비어있으며 마디 위에 싹과 수염뿌리가 난다. 지상경(地上莖)은 직립하고 단단하며 마디에 1개의 액아(腋芽)가 있다. 잎은 2열(列)이며 광피침형(廣披針形)이고 전연(全緣)이며 양면이 거칠고, 엽초(葉鞘)는 통상(筒狀)으로 줄기를 감싸며 엽설(葉舌)에 털이 있다. 원추화서(圓錐花序)가 정생(頂生)하고 분지는 섬세하며 빗자루모양을 나타내고 종자색(棕紫色)이며 기부(基部)에 백색(白色)의 실같은 털이 있다. 영과(穎果)는 타원형(橢圓形)이다.


[갈대 꽃, 잎, 줄기, 갈대의 세밀화, 사진 출처: 중국본초도록 및 일본 구글 이미지 검색]

분포: 강가, 저수지의 모래톱, 늪과 염분이 많은 곳에서 자란다. 중국의 대부분의 지방에 분포.

채취 및 제법: 여름과 가을에 캐서 지상경(地上莖)과 진흙을 제거하고 절단하여 햇볕에 말린다. 신선한 것은 모래를 덮어서 보존하였다가 사용한다.

성분: asparagin, coixol.

기미: 맛은 달고 성질은 차다.

효능: 청폐위열(淸肺胃熱), 생진지갈(生津止渴), 지구제번(止嘔除煩), 이소변(利小便).

주치: 열병고열번갈(熱病高熱煩渴), 아은출혈(牙齦出血), 비출혈(鼻出血), 기관지염(氣管支炎), 소변단적(小便短赤).

용량: 9-30g.

참고문헌: 회편(滙編), 상권 446면.]

갈대로 질병을 치료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

<뿌리>


1, 태음온병(太陰溫病)으로 갈증이 심하고 찐득찐득하고 게거품을 토하며 불쾌할 때

이즙(梨汁), 발제즙(
薺汁), 신선한 갈대 뿌리즙, 맥동즙(麥冬汁), 연뿌리즙(혹은 자장:蔗漿)을 쓴다)을 증상이 일어날 때에 적당량을 고루 섞어 차게해서 먹는다. 찬 것을 좋아하지 않는 경우에는 중탕(重湯)으로 따뜻하게 데워서 복용한다. [온병조변(溫病條辨), 오즙음(五汁飮)]

2, 오역심격기체(五
心隔氣滯)로 번민하고 토역(吐逆)하며 음식을 먹을 수 없을 때
갈대 뿌리 185g을 썰어서 큰잔으로 물 3잔을 붓고 2잔으로 되게 달여서 찌꺼기를 버리고 수시로 따뜻하게 데워서 복용한다. [금궤옥함방(金
玉函方)]

3,
구얼(嘔噦)이 멎지 않아 궐역(蹶逆)하는 때
노근(蘆根) 1.5kg을 썰어 물로 진하게 끓인 즙을 수시로 마신다. [주후비급방(肘後備急方)]

4,
상한(傷寒) 후의 구얼반위(嘔噦反胃) 및 헛구역질이 나와 음식을 먹지 못할 때
신선한
노근(蘆根: 썬 것), 청죽여(靑竹茹) 각 1되, 멥쌀 3홉, 생강 111g, 상술한 네 가지 약물에 물 5되를 붓고 2되 반으로 졸아들 게 달여서 수시로 마신산. [천금방(千金方), 노근음자(蘆根飮子)]

5,
골증폐위(骨蒸肺痿), 번조(煩躁)하여 음식을 먹지 못할 때
노근(蘆根: 썰어서 무게를 잰다), 맥문동(麥門冬: 속을 제거한 것), 지골백피(地骨白皮) 각 370g, 껍질과 같이 썬 생강, 귤피(橘皮), 복령(茯苓) 각 185g을 썰어서 물 2말을 붓고 8되가 되게 달인 다음 꼭 짜서 찌꺼기를 제거하고 5회에 나누어 따뜻하게 데워서 복용한다. 2시간내지 2시간반에 1회씩 복용하는데 낮에 3회, 밤에 2회 복용하고 이불을 덮어 땀을 낸다. 식초 같이 신 음식을 삼간다. [현감전시방(玄感傳屍方)]

6,
곽란번민(霍亂煩悶)
노근(蘆根) 11.1g, 맥문동(麥門冬) 3.7g을 달여서 복용한다. [천금방(千金方)]

7, 물고기에 중독되어 얼굴이 붓고 번란(煩亂)한 증상 및 농어에 중독되어 빈사상태에 빠졌을 때

갈대 뿌리즙을 맘껏 마신다. 또한 게에 중독되었을 때도 치료한다. [천금방(千金方)]


8, 잇몸에서 피가 나는 병

노근(蘆根)을 물에 달여 차대신 마신다. [호남약물지(湖南藥物誌)]

<줄기>

9, 기침에 그다지 높지 아니한 신열이 있고 가슴속이 답답하며, 흉심(胸心)이 갑착(甲錯)한 것은 바로 폐농양인데 이것을 치료하는 처방

위경(葦莖) 2되(잘게 썰어서 물 2말을 붓고 5되로 줄아들 때까지 달여서 찌꺼기를 버린다), 의이인(
薏苡仁) 반 되, 도인(桃仁) 30개, 과판(瓜瓣) 반 되, 위경(葦莖)을 제외한 나머지 약재를 잘게 썰어서 위즙(위즙)에 넣고 2되로 졸아들게 달여서 한 되를 복용하면 피로름을 토하게 된다. [천금방(千金方), 위경탕(葦莖湯)]

<잎>

10, 토사곽란, 번갈심조(煩渴心躁)

노엽(蘆葉: 잘게 썬 것) 37g, 찹쌀 18.5g에 물 큰잔으로 한 잔, 죽여(竹茹) 0.37g을 넣고 6할이 되게 달인다. 그런다음 꿀 반 홉, 생강즙 반 홉을 넣고 두세 번 펄펄 끓여서 찌꺼기를 버리고 따뜻하게 해서 수시로 마신다. [태평성혜방(太平聖惠方)]

11, 등에 난 종기가 곪았을 때

오래 묵은 노엽(蘆葉)을 가루낸다. 총(蔥), 초탕(椒湯)으로 상처를 깨끗이 씻고 노엽(蘆葉) 가루를 바른다. [건곤생의비온(乾坤生意秘
)]

<탹엽>

12, 토혈이 멎지 않고 계속 나올 때

노적외피(
外皮)를 까맣게 태운 재를 가루내어 말씹조개 가루를 조금 넣고 고루 갈아서 맥문동탕(麥門冬湯)으로 3.7~7.4g을 복용한다. [태평성혜방(太平聖惠方)]

<꽃>


13, 여러 혈병(血病)

수노화(水老化), 홍화(紅花), 괴화(槐花), 백계관화(白鷄冠花), 모화(茅花) 각 같은 양에 물 2잔을 넣고 한 잔이 될 때까지 달여 복용한다. [적선당경험방(積善堂經驗方)]

14, 건성 곽란에 의한 심복부창통(心腹部脹痛)

노봉용(
蘆蓬茸) 1줌을 물에 달여 진한 즙으로 하여 1되를 한번에 먹는다. [소품방(小品方)]

[각가(各家)의 논술(論述)]


<뿌리>


1, <본초강목(本草綱目)>:
"<뇌공포자론(雷公
炮炙論), 서(序)>에 말하기를 술을 많이 마시려면 노박(蘆朴)을 달여서 먹어야 한다." 하였다. 주(注)에 이르기를 깨끗한 물로 노근(蘆根)과 후박(厚朴) 2가지 약물을 각 같은 양으로 취하여 달여서 복용한다 하였다. 노근(蘆根)의 단맛은 익위(益胃)하고 찬성질은 강화(降火)하기 때문이다."

2, <신농본초경소(神農本草經疏)>:
"갈대 뿌리는 맛이 달고 독이 없다. 소갈증이란 중초에 열이 있어 비위(脾胃)가 건조해지고 진액을 생성하지 않는 것이다. 단맛이 익위화중(益胃和中)하고 한(寒)이 제열강화(除熱降火)하고 해열화위(解熱화胃)하면 진액이 유통하여 소갈증이 멎게 된다. 객열(客熱)은 사열(邪熱)이다. 감한(甘寒)이 사열(邪熱)을 제거 하면 객열(客熱)은 저절로 없어진다. 폐(肺)는 수(水)의 상원(上源)이고 비기(脾氣)가 산정(散精)하여 위로 폐(肺)에 돌아가야만 비로소 수도(水道)가 막힘없이 통하게 되어 아래로 방광에 수송되며 또 신(腎)은 수장(水臟)이고 이변(二便)을 주관하는 바, 삼가(三家) 즉 폐(肺), 신(腎), 비(脾)에 열이 있으면 소변 횟수가 많아지면, 심하면 조금도 참을 수 없게 되는데 이것은 화성(화성)이 빠르기 때문이다. 폐(肺), 신(腎), 비(脾) 삼가(三家)의 열이 풀리면 소변도 다시 정상으로 회복된다. 화승위열(火升胃熱)하면 반위구역(反胃嘔逆)하여 음식을 먹지 못하고 일얼(
噎噦)이 멎지 않는다. 상한시질(傷寒時疾)로 열이 심하면 번민한다. 하(下)하는 것이 많아서 망음(亡陰)하기 때문에 설사를 하는 사람은 갈증이 많다. 임신부의 혈(혈)이 부족하면 심(心)이 열(熱)하지만 감한(甘寒)은 제열안위(除熱安胃)하고 또 하기(下氣)할 수 있기에 이상의 모든 증세를 치료할 수 있다."

3, <
의학충중참서록(醫學衷中參西錄)>: "<천금(千金)> 위경탕(葦莖湯)에 관하여 주석자는 말하기를 갈대는 줄기를 쓰고 뿌리를 쓰지 않는 것은 폐(肺)가 본래 위에 있고 높은 것은 위쪽에서 친하다는 것을 이용한 것이다. 그러나 내가 생각하기에는 그렇지 않다. 갈대의 뿌리는 물 밑바닥에 있고 그의 성질은 서늘하며, 잘 상승하는 것으로 대두온(大頭瘟)을 앓고 있는 것에 대하여 나는 인경(引經)의 중요한 약으로 흔히 이것을 쓰고 있다. 이것은 그의 상승의 힘이 뇌부(腦部)에까지 이르는데 어쩌 폐(肺) 뿐이겠는가? 아울러 그의 성질은 서늘하여 폐열(肺熱)을 내리고 속이 비어 있어 폐기(肺氣)를 다스리며, 또 맛이 달고 즙이 많아 더욱 폐음(肺陰)을 자양하므로 뿌리는 줄기보다 낫다는 것이 명백하다. 지금 약방에서 파는 것은 노근(蘆根)이라 부르고 있지만 실은 위근(葦根)이다. 그의 성은 모근(茅根)에 아주 가깝다. 대개 모근(茅根)을 쓸 경우에 신선한 것이 없을 때에는 모두 신선한 갈대 뿌리를 대신 쓸 수 있다."

<줄기>

<본초봉원(本草逢源)>:
"갈대의 줄기는 속이 비었고 전적으로 이규(利竅)하며, 폐농양을 잘 치료하고 피고름과 냄새나는 가래를 토하게 한다. <천금방(千金方)>의 위경탕(葦莖湯)은 본품을 군약(君藥)으로 한 것이다. 이것을 복용하면 열독(熱毒)이 소변으로 배설되는데 그 효과가 매우 좋다."

갈대라는 이름의 유래는 대나무와 유사한 풀이라는 데서 유래하였다고 한다. 부산의 낙동강 하구언 주변에는 수많은 갈대숲이 장관을 이루고 있다. 그속에서 온갖 곤충들과 새들이 집을 짓고 알을 낳으며 보금자리를 잡고 사는 모습이 아름답다.

키가 크고 줄기가 가늘며, 줄기에 비하여 잎이 무성하므로 바람이 불면 금방 한쪽 방향으로 쏠린다. 이렇게 바람이 불면 흔들리는 모습이 대단히 아름다우며 눈을 즐겁게 한다. 이런 속성 때문에 쉽게 마음이 변하는 여인을 가리켜 <여자의 마음은 갈대>라고 말하는데 그에 맞서 <남자의 마음은 올대>라고 하여 남, 여의 차이를 갈대 올대 차이라고 흔히 유머스러운 얘기를 하기도 한다.

상기 자료는 약초연구가로서 지구상에 존재하는 천연물질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고 질병으로 고통을 겪고 있는 환우들에게 희망을 주며 기능성 식품과 신약을 개발하는데 통찰력을 갖게하고 약초를 사랑하는 모든 사람에게 정보의 목적으로 공개하는 것임을 밝혀 둔다.  

(글/ 약초연구가 & 동아대 & 신라대 대체의학 외래교수 전동명)

갈대 사진 감상: 1, 2, 네이버+구글+다음+일본구글+대만구글: 1, 2, 3, 4, 5,

벼과의
갈대와 비슷한 "달뿌리풀" 사진 감상: 1,

문의 및 연락처: 010-2545-0777 ; 051-464-0307

주소: http://jdm0777.com

페이스북 주소: http://www.facebook.com/jdmsanyacho

메일: jdm0777@naver.com

참조: 아래에 비슷한 식물도 함께 고려해 보시기 바랍니다. 


 

 

  1. 갈대(노위) 무엇인가?
  2. 강아지풀(구미초) 무엇인가?
  3. 개솔새(구엽운향초) 무엇인가?
  4. 귀리(연맥) 무엇인가?
  5. 달뿌리풀 무엇인가?
  6. 뚝새풀(간맥낭) 무엇인가?
  7. 물억새(적) 무엇인가?
  8. 밀(소맥) 무엇인가?
  9. 바랭이(마당) 무엇인가?
  10. 벼(쌀) 무엇인가?
  11. 보리(대맥) 무엇인가?
  12. 솔새(황배초) 무엇인가?
  13. 수크령(지랑풀) 무엇인가?
  14. 억새(망경) 무엇인가?
  15. 잔디(초평) 무엇인가?
  16. 줄(줄풀) 무엇인가?

 

 

※ 아래에 jdm 필자가 찍은 갈대 사진도 감상해 보시고 행복하시기 바랍니다~~~^.^

 

 

홈페이지 주소 : http://jdm0777.com 클릭하시면 홈으로 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