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꼬마리(창이자) 무엇인가?

항암작용 건선 비염 축농증 술 끊는데 효험

 

 

 

 

 

 

img1.jpg

 

 

[1-도꼬마리 잎, 맺위쪽 수꽃 아래는 암꽃, 푸른 열매, 익은 열매의 모습, 사진출처: 일본/대만/한국 구글 이미지 검색]

 

 

 

 

[2-큰도꼬마리 잎, 맺위쪽 수꽃 아래는 암꽃, 푸른 열매, 익은열매의 모습, 사진출처: 일본/대만/한국 구글 이미지 검색]

 

 

 

 

[3-가시도꼬마리 잎, 맺위쪽 수꽃 아래는 암꽃, 푸른 열매, 익은열매의 모습, 사진출처: 일본/대만/한국 구글 이미지 검색]

 

 

 

 

[4-바늘도꼬마리 잎, 맺위쪽 수꽃 아래는 암꽃, 푸른 열매, 익은열매의 모습, 사진출처: 일본/대만/한국 구글 이미지 검색]

항암작용[각종암, 갑상선암, 피부암, 비인암, 뇌종양, 노뇌종유 등], 갑상선기능저하, 억균작용, 진정, 진경, 해열, 발한, 감기로 인한 두통, 입안염증, 건선, 습진, 고혈압, 은진, 부스럼, 피부소양증, 천연두, 궤양성 피부염, 뱀이나 벌레 물린데, 악성종양의 진통작용, 만성비염, 심상성 백반, 피부궤양, 과잉육아종, 신경통, 관절염, 코염증, 축농증, 류마티즘성관절염, 전립선염, 정자결핍, 신생아제염, 부고환결핵, 치통, 비증으로 팔다리에 경련이 일며 아픈 데, 부비강염, 비연, 연주창, 알코올 중독, 옴, 마풍(나병), 금주(술끊는 약), 가려움증, 알레르기성 비염을 다스리는 창이자

도꼬마리는 쌍떡잎식물 초롱꽃목 국화과의 한해살이풀이다.

도꼬마리의 학명은 <
Xanthium strumarium L.>이다. 들이나 길가에서 자란다. 전체에 빳빳하고 강한 털이 많이 나 있고 줄기는 곧게 선다. 높이는 1.5m 정도이다. 잎은 잎자루가 길고 넓은 삼각형이며 끝이 뾰족하다. 잎 밑은 심장 밑 모양이고 3∼5개로 얕게 갈라지며 양면에 털이 있다. 가장자리에 거친 톱니가 있고 뒷면에는 3맥이 뚜렷하다.

8∼9월에 노란색 꽃이 피는데 암꽃과 수꽃이 따로 피는 두상화(頭狀花)이다. 수꽃은 다소 둥근 모양이고 많으며 끝에 붙는다. 총포 조각은 고르게 나 있으며 1줄이다. 화관은 통으로 된 곤봉 모양이고 다소 털이 있으며 꽃밥이 있다. 암꽃은 밑부분에 있고 암술은 2개이며 2개의 가시가 있다. 총포에 싸여 있는데 꽃이 핀 후 1cm 이상이 된다. 총포는 갈고리 같은 가시가 있고 그 안에 열매인 수과가 2개 들어 있다. 수과는 넓은 타원형으로 길이 2mm 정도이며 바깥쪽에 갈고리 같은 가시가 있다. 이 때문에 다른 물체에 잘 붙어 이런 이름이 붙었다. 결실기는 10월이다.

우리나라에는 현재 큰도꼬마리에 비해 전체적으로 작고 열매에 갈고리 모양의 가시가 듬성 듬성 달리고 표면에 털이 있는 <도꼬마리>, 도꼬마리에 비해 전체적으로 크고 열매의 위쪽에 부리 모양의 돌기가 크며 갈고리 모양의 긴 가시가 촘촘히 있고 표면에 사마귀 모양의 샘점이 있는 <큰도꼬마리>, 큰도꼬마리에 비해 전체적으로 작고 열매의 각시에 비늘조각 모양의 작은 가시가 있는 <가시도꼬마리>, 열매에 큰가시가 있고 가시에 털이 나있는 <가시도꼬마리>가 자라고 있다.,


1-도꼬마리
전초의 다른 이름은 창이[蒼耳=
cāng ěr=V, 지자:只刺: 천금(千金), 식치(食治)], 권이[捲耳: 시경(詩經)], [: 초사(楚辭)], 영이[耳: 모시전(毛時傳)], 호시[胡, 지규:地葵: 신농본초경(神農本草經)], 시이[耳: 초사(楚辭), 왕일주(王逸注)], 백호유[白胡: 정현(鄭玄)], 상시[常: 광아(廣雅)], 작이[爵耳, 이당초:耳草: 육기(陸璣), 시소(詩疏)], 상사[常思: 명의별록(名醫別錄)], 상사채[常思菜, 양부래:羊負來: 도홍경(陶弘景)], 진신채[進腎菜: 기사주(記事珠)], 도인두[道人頭: 본초도경(本草圖經)], 갈기초[喝起草: 두문방(斗門方)], 불이[佛耳: 이참암본초(履岩本草)], 겸사초[絲草: 증치요결(證治要訣)], 야겸사[野絲: 적원방(摘元方)], 야가[野茄, 저이:猪耳: 본초강목(本草綱目)], 치두파[痴頭婆: 생초약성비요(生草藥性備要)], 슬마두[麻頭: 광주식물지(廣州植物誌)], 점점규[黏黏葵: 복건민간초약(福建民間草藥)], 백치두파[白痴頭婆: 광서중수의약식(廣西中獸醫藥植)], 자아과[刺兒顆: 중약지(中藥誌)], 가왜과[假矮瓜, 백저모락채:白猪母絡菜: 민동본초(東本草)], 야락소[野落蘇, 구이타초:狗耳朶草: 상해상용중초약(上海常用中草藥)], 창자과[蒼子: 산동중초약수책(山東中草藥手冊)], 오나모미[オナモミ=葈耳=巻耳: 일문명(日文名)], Xanthium strumarium L.[학명(學名)], 도꼬마리 등으로 부르며 아시아가 원산지이다.

도꼬마리
열매의 다른 이름은 창이자[蒼耳子=
cāng ěr zǐ=VV: 천금(千金), 식치(食治)], 시이실[耳實: 신농본초경(神農本草經)], 우슬자[牛子: 귀주민간방약집(貴州民間方藥集)], 호침자[胡寢子: 약재자료휘편(藥材資料彙編)], 창낭종[蒼郎種, 면당랑:棉螳螂: 강소식물지(江蘇植物誌)], 창자[蒼子, 호창자:胡蒼子: 동북약식지(東北藥植誌)], 아슬자[餓子: 광서중약지(廣西中藥志)], 창과자[蒼子, 창이질려:蒼耳蒺藜: 섬서중초약(陝西中草藥)], 호시[胡葈], 지규[地葵], 시일[施一], 상사[常思], 도꼬마리, 대꼬리 등으로 부른다.

도꼬마리
뿌리의 다른 이름은 창이근[蒼耳根=
cāng ěr gēn=V: 식료본초(食療本草)], 도꼬마리뿌리 등으로 부른다.

도꼬마리
의 다른 이름은 창이화[蒼耳花=
cāng ěr huā=V후아: 본초강목(本草綱目)], 도꼬마리꽃 등으로 부른다.

도꼬마리 줄기 속에 기생하는
벌레의 다른 이름은 창이두충[蒼耳
蟲=cāng ěr tán chóng=V, 창이충:蒼耳蟲: 본초강목(本草綱目=běn cǎo gāng mù=V차오V)], 마충[麻蟲], 도꼬마리줄기벌레 등으로 부른다.

2-큰도꼬마리
의 여러 가지 이름은
가나대창이[加拿大苍耳=jiā ná dà cāng ěr=지아V: 유해생물신식자료(有害生物信息资料)], 오오오나모미[オオオナモミ=大葈耳: 일문명(日文名)], Xanthium canadense Mill.[Xanthium strumarium L. var. canadensis (Mill) T. & G.: 학명(學名)], cocklebur[Burweed, Oriental cocklebur: 영명(英名)], 큰도꼬마리 등으로 부르며 북미가 원산지이다.

3-가시도꼬마리
의 여러 가지 이름은
의대리창이[意大利苍耳=yì dà lì cāng ěr=이V: 백도백과(百度百科)], 이가오나모미[イガオナモミ=毬雄奈毛美=毬巻耳: 일문명(日文名)], Xanthium italicum Moretti. 1822[학명(學名)], 가시도꼬마리 등으로 부르며 북미와 남유럽으로 캐나다 남부, 미국, 멕시코, 호주 그리고 지중해 지역을 포함하며 우크라이나가 원산지이다.

4-바늘도꼬마리
의 여러 가지 이름은
자창이[刺苍耳=cì cāng ěr=V: 백도백과(百度百科)], 도게오나모미[トゲオナモミ: 일문명(日文名)], Xanthium spinosum Linn. 1753[학명(學名)], Spiny cocklebur.[영명(英名)], 바늘도꼬마리 등으로 부르며 유럽이 원산지이다.

[채취]


<열매>


<중약대사전>: "8~9월에 채취한다. 열매가 익으면 뜯어서 햇볕에 말리거나 포기채로 베어내서 열매를 따고 불순물을 제거한 후 햇볕에 말린다."

<벌레>


<중약대사전>: "여름, 가을에 줄기에 벌레먹은 구멍이 있는 도꼬마리 전초를 찾으면 벌레가 있으므로 손칼로 줄기를 펼쳐서 꺼내어 사용한다.

불에 쬐여 말려서 밀폐하여 정장해도 되고 기름에 담가 저장해 놓고 사용해도 좋다."

[약재(藥材)]


<열매>


<중약대사전>: "건조한 총포가 달린 열매는 방추형 또는 타원형으로 길이는 1~1.7cm이고 지름은 4~7mm이며 표면은 황록색, 녹갈색 또는 짙은 갈색이고 약 2mm쯤 되는 갈고리 모양의 가시가 많이 달려 있다. 한쪽 끝에 약간 굵은 가시가 두 개 있는데 분리되어 있는 것과 연결되어 있는 것이 있다. 외피인 총포(總包)는 단단하고 탄력이 있으며 내부는 2실로 나누어지고 각기 수과(瘦果)가 한 개씩 들어 있다. 수과는 거의 방추형이고 한 면이 약간 평탄하다. 열매껍질은 회흑색이고 종이질이며 한 쪽 끝에 가시 모양으로 두드러진 암술대 기부가 있다. 종자는 연한 회갈색이고 씨껍질은 막질이며 내부에는 자엽이 2개 있고 배근(胚根)은 정단에 있다. 냄새는 미약하고 약간 쓴맛이 있으며 기름 모양이다. 알이 크고 부풀어 있으며 황록색인 것이 양품이다.

중국에서는 각지에서 생산되는데 주요 산지는 산동(山東), 강서(江西), 안휘(安徽), 강소(江蘇) 등지이다."

[성분(成分)]


<뿌리>


<중약대사전>: "glucoside를 함유하고 항암작용을 한다."

[약리작용]


<열매>


<중약대사전>: "창이자(蒼耳子)는 독이 있다. 분석에 의하면
창이자유(蒼耳子油: 120℃까지 가열한 것) 및 함유 단백질(수용성이 아니고 추출 과정에서 변질된 것)에는 명확한 독성이 없다. 그러나 탈지한 부분에서 만들어진 침제(infusion)의 독성이 크다. 침제(infusion)에서 분리된 일종의 배당체가 창이자(蒼耳子)의 주요한 독성인 것 같다. 물에 담근 다음에 남은 찌꺼기는 독성이 감소되거나 없다. 고열 처리, 이를테면 볶아서 탄화시키면 독성은 파괴된다. 마우스의 한 번의 복강 주사에서의 LD50은 0.93g/kg이고 RaT, 마우스, 모르모트, 토끼에게 여러 가지 방법으로 투여하여도 중독 증상은 기본적으로 같다. 즉 활동이 감소되고 외부 자극에 대한 반응이 둔해지며 호흡이 불규칙적으로 되고 죽기 직전에는 극도로 호흡이 곤란해지며 간헐성 경련이 동반한다. 병리 조직학 검사에서는 여러 가지 동물이 중독된 후에 손상을 받은 주요한 장기는 정도의 차이가 있을 뿐이며 기본적인 병변은 같다. 간장은 퇴행 변성 또는 괴사하고 신장의 곡뇨세관상피가 탁종(濁腫)하여 관강(管腔) 내는 단백 관형(管形)이 되며 폐와 뇌는 충혈, 수종이 있고 심장에는 가벼운 탁종(濁腫)이 생긴다.

이 중에서 간장의 손상이 제일 심하며 사염화탄소에 의한 손상과 비슷하다. 이로부터 종자의 인(仁)의 침제에 의한 중독의 주요인은 간장의 괴사이고 연이어 뇌조직의 수종에 의한 경련이 사망의 직접 원인이 될 것이다. 중독된 토기와 모르모트에 대해서는 프로메타진이 예방, 치료의 효과가 있다. 또한 인지질, dl-메틸오닌, 시스틴, 비타민 C, 비타민 K3, 비타민 B12, 디펜히드라민, 아미노피린 및 포도당에도 일정한 효과가 있다. 스트리키닌도 토끼에 대하여 어느 정도의 치료 효과가 있었다. 아트로핀, 코라민, 클로르프로마진, 바르비탈, 노르아드레날린 등은 효과가 없다. 중독 후에 일으키는 강렬한 간헐성 경련은 창이자((蒼耳子)에 함유된 배당체성 물질이 혈당을 현저하게 하강시키는 것과 관계가 있으며 대량의 포도당을 주사하면 경련을 완화시키고 생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고 하는 사람도 있다. 창이자로 만든 팅크제는 개구리의 호흡 운동을 강하게 하지만 대량으로 사용하면 억제한다. 창이자의 탕제는 시험관내에서 황색 포도 구균에 대하여 정균작용을 하고 아세톤 혹은 에틸알코올에 의한 추출물은 시험관내에서 홍색모선균에 대하여서도 정균작용을 한다."

<뿌리>


<중약대사전>: "뿌리의 물 또는 메틸알코올 추출물(배당체를 함유하며 융점은 242℃)은 복수암(ascites carcinoma)을 접종한 마우스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포제(
炮製)]

<열매>


<중약대사전>: "섞인 불순물을 제거하고 가시를 뽑은 후 체로 쳐서 부스러기를 없애며 누렇게 될 때까지 볶아서 꺼내 식힌다."

[성미]


<열매>

1, <중약대사전>: "
맛은 달고 성질은 따뜻하며 독이 있다."

2, <신농본초경>: "맛은 달고 성질은 따뜻하다."

3, <명의별록>: "맛은 쓰다."

4, <본초품휘정요>: "맛은 쓰고 달며 성질은 따뜻하고 독이 조금 있다."

[귀경]


<열매>

1, <중약대사전>: "
폐(肺), 간경(肝經), 신경에 작용한다."

2, <뇌공포제약성해>: "폐경(肺經)에 들어간다."

3, <옥추약해>: "족궐음간경(足厥陰肝經)에 들어간다."

4, <본초구진>: "간(肝), 비경(脾經)에 들어간다."

5, <회약의경>: "간신(肝腎)의 2경(經)에 들어간다."

[약효와 주치]


<열매>


1, <중약대사전>: "
풍(風)을 풀어주고 통증을 완화시키며 거습하고 기생충을 구제하는 효능이 있다. 풍한(風寒: 감기), 두통, 비연(鼻淵: 축녹증), 치통, 풍한습비(風寒濕痺: 풍한에 의한 마비), 사지의 경련과 통증, 개라(疥癩), 소양(瘙癢)을 치료한다."

2, <신농본초경>: "감기 두통, 풍습에 의한 전신의 마비, 사지의 경련통, 악육사기(惡肉死肌: 부육:腐肉, 조직괴사)를 치료한다."

3, <본초습유>: "술에 담가서 복용하면 풍을 제거하고 보익(補益)한다."

4, <일화자제가본초>: "모든 풍기(風氣)를 치료하고 수(髓: 골수)를 보충하며 각요(脚腰)를 덥힌다. 나력(
瘰癧), 개선(疥癬) 및 소양(瘙癢)을 치료한다."

5, <본초몽전>: "두통을 멎게 하고 정문(頂門)을 선통(善通)하며 풍독(風毒)을 제거하고 골수를 보강하며 감충(疳蟲), 습닉(濕(img1.jpg)을 죽인다."

6, <본초정>: "축농증을 치료한다."

7, <본초비요>: "발한(發汗)에 능하고 풍습을 풀어주며 위로는 뇌정(腦頂), 아래로는 족슬(足膝)에 통하며 밖으로는 피부에 달한다. 두통, 목암(目暗), 치통, 축농증을 치료한다. 가시를 제거한다."

8, <옥추약해>: "부기를 가라앉히고 비(痺)를 치료하며 풍을 제거하고 습을 제거한다. 개여풍소은진(疥
癮疹: 심하게 가려운 개선과 습진)을 치료한다."

9, <요약분제(要藥分劑)>: "비식(鼻
) 즉 비용(鼻茸)을 치료한다."

10, <회약의경(會約醫鏡)>: "여러 가지 치질을 치료한다."

11, <본초재신>: "목통(目痛)을 치료한다."

<뿌리>


1, <중약대사전>: "
정창(瘡), 옹저(癰疽), 인두(咽頭) 및 하함(下) 림프절 염종(炎腫), 단독(丹毒), 고혈압, 이질을 치료한다."

2, <식료본초>: "중한 정종(
疔腫)을 치료하는 데는 신선한 창이(蒼耳)의 뿌리와 잎을 찧어 사내아이 소변과 섞어 짜낸 즙 1되를 하루에 3회씩 찬것 그대로 복용한다."

3, <의림찬요>: "약효는 창이자(蒼耳子)와 같다. 목욕제로 하면 풍을 제거하고 마른 것을 촉촉하게 한다."

4, <광서중약지>: "해수를 치료한다."

<꽃>


1, <본초강목>: "백라완양(白癩頑
)을 다스린다."

2, <남영시약물지>: "백리(白痢)를 치료한다."

<벌레>


1, <중약대사전>: "
정종(疔腫), 치질을 치료한다."

2, <본초강목>: "정종(
疔腫), 악독(惡毒)을 치료한다."

3, <민간상용초약휘편>: "치질을 치료한다."

[용법과 용량]


<열매>


<중약대사전>: "
6~12g을 물로 달여서 복용하거나 환을 짓거나 가루내어 먹는다."

<뿌리>


<중약대사전>: "
내복: 신선한 것 0.5~1냥을 물로 달여 복용하거나 찧은 즙을 복용하거나 또는 푹 달여서 고(膏)로 만들어 복용한다.

외용: 달인 물로 환부에 그 약기운을 쏘이면서 씻거나 달여서 고약을 만들어 바른다."

<꽃>


<중약대사전>: "
내복: 3~7돈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외용: 찧어 바른다."

<벌레>


<중약대사전>: "
외용: 가루내어 바른다. 또 찧어서 바르거나 향유에 담갔다 바른다."

[배합(配合)과 금기(禁忌:
주의사항)]

<열매>


1, <중약대사전>: "
혈허(血虛)로 인한 두통, 마비통에는 복용하면 안된다."

2, <당본초>: "돼지고기, 말고기, 쌀뜨물을 꺼린다."

3, <본초종신>: "기(氣)가 희박하고 혈이 적은 허약한 사람은 사용하면 안 된다."

4, <
중약대사전>: "중국 북방의 일부 지역에서는 창이자와 창이자의 싹을 잘못 먹어 중독된 사람이 있다.

먹은 상태는 생식하거나 볶거나 달여서 먹은 사람, 달인 물을 마신 사람 등 여러 가지가 있으며 수량이 적은 것은 겨우 5~6알(아동)로부터 많은 것은 3000g까지이고 창이자의 싹일 때에는 50~2000g까지 다양하다. 중독 반응도 경증이 같지 않은데 일반적으로 어지러움, 두통, 나른함, 식욕 감퇴, 오심, 구토, 복통, 설사 혹은 발열, 안면홍조, 결막의 충혈, 담마진 등이다. 중증인 환자에게서는 번조 불안과 항상 흐리멍텅한 상태로 잠이 오는 경우, 또 의식 혼탁, 마비, 심박의 과도한 저하, 혈압의 상승, 황달, 간 종대, 간 기능의 장애, 출혈, 소변의 이상과 소뇨, 눈꺼풀의 부종 등이 나타난다. 이런 것들은 중추 신경계, 순환 기계 및 간장, 신장의 장애에 의해서 일어나는 것이다. 중독되었을 때에 즉시 유효한 구급 처리를 하면 흔히 급속히 회복되지만 중독 증상이 심한 사람과 늦게 구급한 사람은 간세포의 대량 괴사로 인한 간성 혼수, 신 기능의 쇠약, 호흡의 쇠약으로 인해 죽음에 이르는 경우가 있다."

5, <남방주요유독식물>:
"창이는 전체에 독이 있다. 그중 열매에 가장 독이 많다. 싱싱한 잎이 마른 잎보다 독이 많고 어린 잎이 오래된 잎보다 독이 많다.

중독의 구조 방법: 가벼운 중독일 때는 몇 시간 내지 하루 음식을 중지하고 그 사이에 설탕물을 대량으로 마신다. 중증의 중독일 때는 조기에 위를 세척하고 설사시키며 2%의 생리 식염수로 고압 관장을 한다. 동시에 25% 포도당액에 비타민 C 500mg을 넣어 주사한다. 출혈 예방에는 비타민 K를 주사한다.

필요할 때에는 수혈을 고려한다. 간장을 보호하기 위하여 구연산콜린을 복용하고 메틸오닌을 근육 주사한다. 저 지방의 음식물을 먹는다. 민간에서는
감초녹두탕을 사용하여 해독하고 있다."

<뿌리>


<의림찬요>: "돼지고기, 찹쌀을 금한다."


도꼬마리의 효능에 대해서 북측에서 펴낸
<동의학사전>에서는 이렇게 기록하고 있다.

[창이자(蒼耳子) //도꼬마리열매, 창이실(蒼耳實), 시이실(
耳實), 호시(胡), 지규(地葵), 시일(施一), 상사(常思)// [본초]

국화과에 속하는 일년생 풀인 도꼬마리(Xanthium strumarium L.)의 열매를 말린 것이다. 도꼬마리는 각지의 들판에서 자란다. 가을에 익은 열매를 따서 햇볕에 말린다. 맛은 쓰고 달며 성질은 따뜻하고 독이 있다. 폐경(肺經), 간경(肝經)에 작용한다. 땀이 나게 하고 풍습(風濕)을 없애며 통증을 멈추고 살충한다.

약리실험에서 억균작용이 밝혀졌다.
감기로 머리가 아픈 데, 치통, 비증(痺證)으로 팔다리에 경련이 일며 아픈 데, 비연(鼻淵), 연주창, 옴, 마풍(문둥병) 등에 쓴다. 하루 6~12g을 물로 달이거나 환을 짓거나 가루내어 먹는다. 외용약으로 쓸 때는 달인 물로 씻거나 가루내어 뿌린다.]

도꼬마리의 효능에 관해서 북한의 <국규처방전>에서는 이렇게 기록하고 있다.

[창이자(蒼耳子)

국화과에 속하는 도꼬마리의 열매를 말린 것이다. 여러 지방의 들판에 자란다. 약제를 찧어서 가시를 없애고 약간 볶아서 또는 술에 불려 쪄서 쓴다. 배당체인 크산토스트루마린이 약 12퍼센트, 기름 약 39퍼센트, 나무진 약 3.3퍼센트, 비타민C 등이 들어 있다. 도꼬마리이 열매와 잎에 상당한 양의 알칼로이드가 들어 있으며 도꼬마리의 줄기와 잎에는 신경과 근육에 대하여 유독한 물질이 들어 있다는 보고도 있다.

맛은 쓰고 달며 성질은 따뜻하고 폐경에 작용한다. 땀을 나게 하고 풍습을 없앤다. 실험에 의하면 도꼬마리열매는 화농균, 장내세균, 백색칸디다에 대하여 센 억균 작용을 나타낸다. 아픔멎이 작용도 나타낸다. 도꼬마리 열매즙이
갑상선암다른 암에 대하여서도 치료 작용을 나타낸다는 자료가 있다.  

감기로 머리가 아픈 데, 비염으로 코가 메고 코로 고름이 나오며 머리가 아픈 데(상약동염), 팔다리가 가드러들며 아픈 데, 비증, 관절아픔, 관절염, 연주창, 옴, 마풍(나병) 등에 쓴다. 근육 마비에도 쓴다. 옹근풀과 엑기스를 이질, 나병
에 쓴다.

하루 6~12그램을 물로 달여 먹거나 환을 만들어 또는 가루내어 먹는다. 독성이 있으므로 쓰는 양에 주의하여야 한다. 도꼬마리 열매를 너무 많이 먹으면 중독 증세로서 심한 머리아픔, 어지럼증, 온몸의 무력감, 배아픔, 갈증, 메스꺼움, 게우기, 출혈반 등이 나타나며 심한 경우에는 붓기, 간붓기, 황달, 콩팥부위의 아픔 등이 나타난다. 생명이 위험할 수도 있다. 그러므로 쓰는 양에 주의하여야 한다.
]

도꼬마리의 효능에 대해 북측에서 펴낸
<약초의 성분과 이용>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도꼬마리(Xanthium strumarium L.)

다른 이름: 대꼬리, 창이

식물: 높이 1~1.5m 되는 한해살이풀이다. 잎은 어긋나게 붙고 가지 끝에 수꽃, 그 아래에 암꽃이 핀다. 열매는 타원형이고 가시가 있다.

각지의 들판, 낮은 산, 길섶에서 널리 자란다.

열매(창이자): 익은 열매를 따서 햇볕에 말린다.

성분: 전초에 Υ-락톤인 크산티닌, 카로티노이드, 알칼로이드, 사포닌, 열매에 크산토스트루마닌(노란색의 배당체), 수지, 요오드염, 씨에 수지, 40%까지의 기름(리놀산 63.4%, 올레산 27%, 포화지방산 8.2%)이 있다.

고등식물 가운데서 요오드 함량이 높은 식물의 하나이다. 전초는 요오드 함량이 높기 때문에 갑상선 기능 저하에 쓴다. 동의치료에서 오줌내기약, 열내림약, 땀내기약, 진경약으로 열성질병, 간기, 머리아픔, 코염증, 축농증, 류머티즘에 쓴다.  

민간에서는 전초를 나병 치료약, 진정 진경약으로 쓰거나 입안염에 입가심한다. 또한 열매와 전초로 살균고약, 방부고약을 만들어 습진, 태선, 선병, 부스럼, 뾰두라지, 천연두, 궤양성 피부병에 바르며 뱀이나 벌레에 물린 데 독풀이약으로 쓴다. 이가 쑤시거나 곪는 데에도 효과가 있다. 열매를 악성종양에 아픔멎이약으로 쓴다.  

도꼬마리열매 달임약(8~10g:200cc): 하루 3번 나누어 먹는다. 만성 비염에 좋은 효과가 있으며 달여서 졸인 것은 관절염, 신경통에 쓴다.]

도꼬마리의 항암작용에 대해서 상민의씨가 쓴
<항암본초>에서는 이렇게 적고 있다.

[창이(蒼耳: 도꼬마리)

맛은 쓰고 매우며 성질은 차고 독이 있다. 거풍산열(祛風散熱)하고 해독살충(解毒殺蟲)한다. [중약대사전]

이 약은 국화과 식물 도꼬마리의 줄기, 잎, 열매(창이자) 및 뿌리이다. 전초에는 '스트루마로시드 크산티닌', '유기산'이 들어 있고 뿌리에는 용점이 242℃인 글리코시드가 들어 있는데 이는 항암활성작용을 갖고 있다. 창이자의 유독성분(有毒成分)은 수용성물질(水溶性物質)이다.  

[항암약리]


1, 도꼬마리 뿌리의 수침액(水浸液) 도는 메타놀 추출물(글리코시드)은 엘릿히복수암을 접종시킨 좀흰생쥐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었다.

2, 창이자의 열수침출물(熱水浸出物)이 복수형육류(腹水型肉瘤)-180 억유율(抑瘤率)은 50.2%였다.

3, 창이자 열수침출물을 냉동건조한 후 실시한 체외실험 결과 JTC-26 억유율이 50~70%에 이르렀다.

[시용방제]


1,
각종암증(各種癌症): 도꼬마리(잎, 줄기, 열매 중의 어느 것이나 다 좋다) 10g. 달여서 3차례로 나누어 복용한다. [중의약연구자료, 1978년 6월호.]

2,
비인암(鼻咽癌): 신이(辛夷) 15g, 창이자 7.5g, 백지 30g, 박하엽(薄荷葉) 1.5g. 가루로 하여 6g씩 차로 마신다. [경악전서(景岳全書), 비탁(鼻濁)]

3,
뇌종양(腦腫瘍): 창이자, 관중(貫衆), 사육곡(蛇六谷: 선전:先煎)(37-7) 각 30g. 포황근(蒲黃根), 칠엽일지화(七葉一枝花) 각 15g. 하루 1첩씩 물로 달여 마신다. [실용항암약물수책]

[역대평의]


1, <천보본초(天寶本草)>: "창이자는 바람을 없애고 독을 푼다."

2, <요약분제(要藥分劑)>: "창이자는 비식을 다스린다."

3, <식료본초(食療本草)>: "정종곤중(疔腫困重)에 도꼬마리 뿌리와 잎을 짓찧고 어린이 오줌을 넣어 짜낸 즙을 1되 차게 해서 복용한다."
]



[바늘도꼬마리의 전체적인 세밀화, 뾰족한 결각잎과 가시가 길고 열매가 열린 모습, 사진 출처: 미국 구글 이미지 검색 ]

창이자의 항암작용에 대해서
<한국항암본초>에서는 이렇게 기록하고 있다.

[
창이자(蒼耳子) Fructus xanthii

기원: 도꼬마리의 총포에 싸여있는 과실
과명: 국화과(Compositae)
식물명: 도꼬마리
학명: Xanthium strumarium L
중명: 창이(chang er)
영명: Siberian Cocklebur
일명: オナモミ

높이 30-60cm의 1년초로 전체는 털로 덮였다. 잎은 광삼각형으로 아심장이며 길이 5-15cm, 엽연에 결핵과 조거치가 있다. 8-9월에 개화하며 두화는 단성동주이며 집생한다. 웅두화는 구형이며 숫꽃은 관상, 정단이 5치열 5개의 수술이 있고 황색이다. 자두화는 웅두화의 밑에 달리며 총포는 타원형이며 그 속에 2매의 웅예가 들어 있다. 수과는 가시가 있는 총포내에 들어 있다.

생육지
노상, 밭 부근.

분포
전국각지.

채집
가을에 성숙한 과실(總苞와 함께)을 채집하며 정선한다.

번식
3-4월에 파종한다. 1개의 총포(果苞)에서 2개의 유묘가 나온다.

성분
창이자에 Xanthostrumarin 1.2%, 수지3.4%, 지방, Alkaloid, Vitamin C, 색소등이 있다1,2).

과실(乾燥)에 지방유 9.2%가 있으며 그의 지방산으로서는 Linol 산, Olein 산, Palmitin 산, Stearin 산이 있다. 추출물 중에는 Ceryl alcohol, β-, γ- 및 α-Sitosterol이 있으며 유지중에는 Lecithin, Cephalin이 있다
3).

일반약리
실험관시험으로서 창이자 다린 액에 황색포도구균에 대한 억제작용이 있으며 에탄올 추출물에 홍색모선균에 대한 억제작용이 있음을 확인하였다4,5). 창이자의 유독성분인 Rhamnose는 신장기능에 손상작용이 있다6).

항암약리
뿌리의 메탄올 추출물(配糖體를 含有)은 Sarcoma-180에 대하여 억제작용이 있으며7) Ehrlich 복수암에 대하여도 억제작용이 있다6). 수추출물 또는 메탄올 추출물은 Ehrlich 복수암 mouse의 생명을 연장할 수 있었다8).

성미
맛은 달고 성질은 따뜻하며 유독하다.

작용
폐, 간에 작용한다.

약효
풍을 없애고(散風), 지통(止痛), 거습(袪濕), 살충(殺虫).

적응증
풍한두통(風寒頭痛), 비연(鼻淵 : 蓄膿症), 치통, 소양(瘙痒), 풍한습비(風寒濕痺), 사지련통(四肢攣痛).

주의
두통에는 금지한다. 저육, 마육, 미감을 피한다.

용법과 용량
4.5~9g을 다려서 복용하거나, 환, 가루로 복용하거나 다린 물로 씻는다.

항암임상응용
1. 비인암(鼻咽癌): 창이자, 야생국화, 패모, 반지련, 계수자(葵樹子) 등을 배합한다9).

2. 노뇌종유(顱腦腫瘤): 창이자, 사육곡(蛇六谷), 황약자(黃藥子), 곤포 등을 배합한다
9).

참고문헌

1. 中草藥有效성분的硏究(一冊) 423, 1972.
2. 中國經濟植物誌, 1967, 1961.
3. Chemical Abstract. 58; 48102, 1963.
4. 中華醫學 50(8): 524, 1964.
5. Chemical Abstract. 65: 11009d, 1966.
6. 上海市腫瘤防治硏究辨公室, 實用抗癌藥物手冊, 1977.
7. Chemical Abstract. 170: 73, 54418t, 1966.
8. 雲南抗癌中草藥, 雲南人民出版社 1982.
9. 安徽醫學院學報, 5(1): 42, 1962.
]

도꼬마리로 질병을 치료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

<도꼬마리의 열매인 창이자 요법>

1, 모든 풍(風)에 의하여 어지러운 증상, 두부의 예리한 통증

창이인(蒼耳仁: 열매 속씨) 113g, 천마, 흰국화 각 11g을 복용한다. [본초휘언(本草彙言)]

2, 풍습으로 인한 마비, 사지 경직 및 경련

창이자 113g을 찧어 가루내어 물 1되반으로 7홉이 되게 달여 찌꺼기를 제거하고 단숨에 마신다. [식의심경(食醫心鏡)]

3, 대마풍(大麻風: 나병=한센병)

창출 600g, 창이자 113g을 가루내어 쌀밥으로 벽오동씨 만한 크기의 환을 만든다. 1일 3회, 1회에 7.5g을 복용하고 성관계를 3개월 삼간다. [동천오지(洞天奧旨)]

4, 옴, 풍을 제거하고 독을 푸는 법

창이자와 현육(
肉: 가막조개살)을 볶아서 복용한다. [생초약성비요(生草藥性備要)]

5, 부인의 가려워서 견디기 어려운 풍소은진(風
瘙癮疹)
창이자의 꽃, 잎, 종자를 각각 같은 양을 찧어 체로 쳐서 곱게 가루내어 1회에 7.5g을 두림주(豆淋酒)로 복용한다. [태평성혜방(太平聖惠方)]

6, 축농증으로 탁한 콧물이 멎지 않을 때

신이(辛夷) 19g, 창이자 9g, 향백지(香白芷) 37.5g, 박하잎 19g을 햇볕에 말려 곱게 가루내어 1회에 7.5g을 파 또는 차 달인물로 식후에 복용한다. [제생방(濟生方), 창이산(蒼耳散)]

7, 눈이 어두운데, 이명증

창이자 0.19g을 짓찧어서 물 2되를 넣고 즙을 짜서 멥쌀 19g과 함께 달여 죽을 만들어 먹거나 가루내어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태평성혜방(太平聖惠方), 창이자죽(蒼耳子粥)]

8, 치통

창이자 5되를 물 1말로 달이고 달인 물 5되를 취하여 뜨거운 것을 입에 머금는다. 아프면 뱉아내고 몇 번이고 계속한다. 종자가 없을 때에는 줄기, 잎도 사용할 수 있다. [천금익방(千金翼方)]

9, 정창악독(
瘡惡毒)
창이자 19g을 약간 볶아서 가루내어 황주(黃酒)를 넣어 복용한다. 동시에 환부에 계란 흰자위를 바르면 정(疔)의 뿌리가 빠진다. [경험광집(經驗廣集), 창이주(蒼耳酒)]

10, 족요(足腰) 통증, 좌골신경통, 비대성 요추염, 허리염좌
(임상보고)
창이자로 30%의 주사제를 만들어 하루 건너 한 번, 1회에 2~4ml를 아픈 부분에 주사하고 10회를 1치료 기간으로 한다. 허리 부분의 염좌, 허리 근육의 과로로 인한 손상(損傷), 좌골 신경통, 비대성 요추염, 요추 잠재성 열상 등에 의한 요통 163례를 치료한데서 총유효율은 89%에 달하였다. 효과가 빠른 것은 한 번 주사한 후 바로 증상이 경감되고 일반적으로 3~5회에서 효과가 있었다.

급성 요부 염좌의 요근손상(腰筋損傷)에 대한 효과가 비교적 좋았지만 미저골(尾骶骨)의 잠재성 열상 및 비대성 요추염으로 인한 요통은 효과가 확실하지 않았다. [중약대사전]

11, 알레르기성 비염
(임상보고)
약을 쓴 다음 많은 환자는 증상이 소실 또는 개선되고 발작의 감소가 보였다. 비강점막(鼻腔黏膜)은 소수의 병례에서 창백한 것으로부터 경한 충혈에로의 변화가 보인 것외에 대다수는 뚜렷한 변화가 없었다.

용법:
창이자를 진한 갈색이 될 때까지 불에 쬐이거나 후라이팬에 볶아 가루내어 1회에 3~5g을 1일 3회, 2주일간 계속해서 복용한다. 혹은 가루를 꿀과 섞어 환제로 하여(1알에 가루 3g이 함유된다) 1회에 1~2알, 1일 3회, 2주일간 계속해서 복용한다. 필요할 때에는 3주일~2개월 복용하여도 된다. 또 다른 방법으로서 약재 가루를 알코올로 침출한 엑스를 정제(1정은 원생약 약 1.5g 정도 상당)를 만들어 1회에 2정, 1일 3회, 2주일간 연속 사용하는 방법도 있다.  

소수의 환자에게서 가벼운 설사, 복부의 창만 동통 및 경미한 두통, 전신 무력 등의 증상이 나타났다. [중약대사전]

12, 만성 비염
(임상보고)
창이자 30~40개를 가볍게 두드려 깨뜨려서 깨끗한 알루미늄의 작은 잔에 넣고 마유(麻油) 50g을 넣은 후 약한 불에 끓을 때까지 달인 후 창이자를 꺼내고 식으면 작은 병에 넣어 둔다.

사용할 때에는 면봉에 충분히 스며들 게 하여 비강 안에 바른다. 1일에 2~3번, 2주일 간을 1치료 기간으로 한다. 207례를 치료한 데서 무효 3례와 약을 계속 쓰지 않은 12례 이외에 모두 치유되고 임상 증상은 모두 소실되었다. 그 후의 방문 조사에서 가장 긴 것은 이미 3년이 되었지만 재발한 것은 1례도 없었다. [중약대사전]

13, 말라리아
(임상보고)
신선한 창이자 150g을 잘 씻고 짓찧어서 15분간 달이고 찌꺼기를 없앤다. 이 약액에 계란 2~3개를 깨어 넣어 잘 달인다. 말라리아가 발작하기 전에 이 계란과 약액을 한 번에 마신다. 1회 복용하여 효과가 없을 때에는 같은 방법으로 약을 만들어 다시 복용한다. [중약대사전]

14, 하지궤양
(임상보고)
창이자를 누렇게 될 때까지 볶아 가루를 낸 것 100~200g과 신선한 저판유(猪板油) 200~300g을 섞어 찧어서 풀 모양으로 한다. 사용할 때에는 먼저 석회수(석회 0.5kg에 끓인 물 4kg을 넣어 한 시간쯤 놓아 윗물을 취한다)로 환부를 깨끗이 씻고 닦은 다음 고(膏)를 바르고 붕대를 감는다. [중약대사전]

15,
금주(禁酒 및 알콜해독: 술 끊는 법)

○ 금주(禁酒)

"1회 창이자 40g을 1일 3회 복용량으로 10일분 1,200g을 복용한다. 이 창이자 달인 물을 먹고는 전과 달리 술 생각이 전혀 안나서 술을 한번도 안먹었다고 한다. 이 처방은 서울 마장동 도축장 앞에서 리어카 판 위에 "술 끊는 약"이란 푯말아래 창이자를 수북히 쌓아둔 것을 보고 리어카 행상 아저씨에게서 힌트를 얻어낸 방법이다. 복용한 사람 절반의 경우에 술마시는 것이 현저히 줄거나 끊었다고 말하였다. 복용시나 복용직후에 술이 잘 받지 않는 등 술에 대한 거부 현상이 나타나나 1~2달 등 일정 시간이 지나면 술에 대한 거부 현상은 나타나지 않는 것 같았다." [한방임상비방집 제 3권 276-278면]

○ 절주(切酒)

"임상에서 남편의 폭음 폭주 관계로 절주에 관한 문의를 받게 된다.

창이자(蒼耳子) 30g, 승마(升麻) 20g을 물에 끓여 꿀을 달게 타서 복용시킨다. 복용을 싫어하면 보약 또는 피로 회복제라고 하여 복용시킨다.

먹고 나서 머리가 아프다고 하면 약을 중단한다.

이후 음주하면 머리가 아파서 음주를 못한다." [이가동의임상(李家東醫臨床) 200면]

○ 술을 끊는 방법


1, 생약 창이자(蒼耳子)를 까맣게 태워 가루를 만들어 술에 타서 계속 마시면 머지 않아 술을 끊게 된다.

2, 흰개 젖과 흰돼지 젖을 약 5일 정도 마시면 된다. 아침, 점심, 저녁, 식간에 마시는데 한 번에 한 잔씩 먹되 먹는 사람은 몰라야 한다. [약이되는 술 347면]

○ 술 끊는 약(단주방:斷酒方)


창이자 101개를 물로 달여서 마셔라. 식전 빈속에 복용하라. 하루분이다. [인산 김일훈의 신의암처방집 125면]

○ [이메일 질문(2011년 2월 05일 토요일)]


명절 잘 보내셨는지요? 도꼬마리가 비염에 좋다고 해서 전초를 달여서 팩을 지어 아들에게도 먹기를 권하고 저도 먹었는데 술을 먹으면 머리가 2-3일 정도 아프고 위궤양 증상도 생깁니다. 설 전날 아들과 술을 먹으며 이야기 도중 아들도 주량이 소주 2병인데 한병만 먹어도 토하고 머리가 띵한게 2틀 정도 간다고 합니다. 암인가 고민하다가 대화를 통해서 알게 되었지요 아들놈이 맘고생이 심했나봅니다. 아직 어리고 사회생활도 해야하기에 술을 조금씩은 해야하는데 해독 방법이 없을까요? 조언부탁 드립니다.

[이메일 답변(2011년 2월 07일 월요일)]


문의주셔서 감사합니다. 해독 방법은 가벼운 중독일 때는 몇 시간 내지 하루 음식을 중지하고 그 사이에 설탕물을 대량으로 마십니다.

중증의 중독일 때는 조기에 위를 세척하고 설사시키며 2%의 생리 식염수로 고압 관장을 합니다. 동시에 25% 포도당액에 비타민 C 500mg을 넣어 주사합니다.

출혈 예방에는 비타민 K를 주사합니다. 필요할 때에는 수혈을 고려하기도 하며 간장을 보호하기 위하여 구연산콜린을 복용하고 메틸오닌을 근육 주사할 수도 있습니다.

저지방의 음식물을 먹으며, 민간에서는 감초녹두탕을 사용하여 해독하고 있습니다. 참조하여 잘 응용해 보시길 바랍니다. [jdm]

참조: 아래에 누구나 프린터할 수 있는 아래한글 문서입니다. '주는 것이 받는 것 보다 더 행복하다'는 취지를 실천하기 위한 사랑과 자비의 서비스입니다. 경제적인 부담(종이값, 잉크, 토너 비용 등)이 되신다면 아래의 문서를 각자의 컴퓨터 및 기타 저장매체에 담아 놓고 볼 수 있습니다. 소중한 자원낭비가 되지 않기 위하여 프린터하기 전에 한번더 개인적으로 결정해 보시기 바랍니다. 여러분 모두도 다른 사람에게 더 많이 주어서 더 행복하시기 바랍니다.

아래한글문서 6쪽 분량을 프린터할 수 있는 사랑과 자비의 서비스: 1, 담배 및 술 끊는법 무엇인가?

16,
건선(임상보고)
1), 물에 달여서 국소을 씻는다. 일주일 정도 씻으면 구진(丘疹: 살갗에 돋아나는 발진. 크기는 바늘 대가리만 한 것부터 완두콩만 한 것까지 일정하지 않고 모양도 일정하지 않은데, 색은 붉거나 희며 진물이 나는 것과 그렇지 않은 것이 있다.) 위의 비듬층이 연화되어 떨어지고 점차 통증과 가려움, 조이는 느낌이 없어지며 침윤이 흡수된다.  

임상자료:
버짐 환자 30명을 도꼬마리 달인 물로 목욕을 시키는 방법으로 치료하였는데 모두 효과가 있었다. [고려의학 제 2권 179면; 누구나 할 수 있는 고려치료 394면]

2),
창이자(蒼耳子)를 가루내어 한번에 3g씩 하루 3번 식후(食後)에 먹는다. [동의치료경험집성]

3), 창이자(蒼耳子) 50g, 양제근(羊蹄根), 고삼(苦蔘), 유황(硫黃) 각 10g을 물에 달여 더운 것으로 매일 씻는다. [동의치료경험집성]

4), 창이자(蒼耳子) 탕액(湯液)으로 씻거나 목욕시킨다. [동의치료경험집성]


17,
창이자(蒼耳子)로 건선(乾癬)을 치료한 경험(임상보고)

[치료대상(治療對象)]

37예의 건선(乾癬)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치료방법(治療方法)]


창이자(蒼耳子) 100g에 물 1ℓ를 붓고 약한 불로 3∼4시간 달여 우려낸 물로 하루 2∼3번 국소(局所)를 씻는다.

[치료결과(治療結果)]


완전히 나은 환자가 78%였으며 나머지 환자들도 일정한 정도 좋아졌다. 대상환자들은 홍반(紅斑), 구진(丘疹)이 있었고 그 위에 고기비늘모양의 비듬이 있었다. 그리고 그 주위의 피부는 땀분비 및 피지분비(皮脂分泌)가 장애(障碍)되어 있었다. 이런 환자들에게 창이자(蒼耳子) 탕약(湯藥)으로 목욕을 시킨 결과 보통 1주일 내에 홍반(紅斑)이 사라졌고 구진(丘疹) 위의 인설층(鱗屑層)이 부드러워지고 떨어져 피부(皮膚)가 깨끗해지기 시작하였다. 목욕물이 병소(病巢)에 영향을 미치면서 점차 통증(痛症)과 소양증(搔痒症), 긴장감(緊張感)이 없어지고 침윤(浸潤)이 흡수(吸收)되었다.  또한 기분과 식욕(食慾)이 좋아지고 일부 잠을 자지 못하던 환자들이 잠을 잘 잘 수 있게 되었다. 원격관찰에서 2년 내에 재발(再發)한 환자는 7예였다. [동의치료경험-외과편, 1994]

18,
창이자수(蒼耳子水) 목욕에 의한 건선(乾癬)을 치료한 경험(임상보고)

[치료방법(治療方法)]

창이자(蒼耳子) 100g에 물 1ℓ를 붓고 약한 불로 3∼4시간 달여 우려낸 물로 하루 2∼3번 국소(局所)를 씻는 방법으로 112예의 건선(乾癬) 환자를 입원실 조건에서 치료하였다.

[치료결과(治療結果)]


완치(完治)된 환자가 78%였으며 나머지들도 다 일정한 정도 좋아졌다. 대상환자들을 3개 조로 나누어 신경증(神經症) 증상(症狀)이 있고 소양증(搔痒症)을 약하게 호소하는 진행기(進行期) 건선(乾癬) 44예(제1조)에게는 일반 탈감작제(脫感作劑)와 비타민B1, B12, C를 배합하였고 정지기(靜止期) 건선(乾癬) 31예(제3조)에게는 티레오이딘, 비타민제(劑), 비소제(砒素劑)를 함께 주었다. 그리고 소양(搔痒)과 신경증(神經症) 증상(症狀)이 없는 진행기(進行期) 건선(乾癬) 37예(제2조)에게는 창이자(蒼耳子) 탕약(湯藥) 목욕만으로 치료하였다. 대상자들은 다 홍반(紅斑), 구진(丘疹)이 있었고 그 위에 고기비늘 모양의 인설(鱗屑)이 있었다. 그리고 그 둘레의 피부(皮膚)는 땀분비 및 피지분비(皮脂分泌)가 장애(障碍)되어 있었다. 이런 환자들에게 창이자(蒼耳子) 탕약(湯藥) 목욕을 시킨 결과 보통 1주일 내에 홍반(紅斑)이 사라지고 구진(丘疹) 위의 인설층(鱗屑層)이 연화탈락(軟化脫落)되어 피부(皮膚)가 깨끗해지기 시작하였다. 목욕물이 병소(病巢)에 영향을 미치면서 점차 통증(痛症)과 소양증(搔痒症), 긴장감(緊張感)이 없어지고 침윤(浸潤)이 흡수(吸收)되었다. 또한 기분과 식욕(食慾)이 좋아지고 일부 잠을 자지 못하던 환자들이 잠을 잘 이룰 수 있게 되었다.  

평균 치료일수는 제 1치료조 44예가 55.4일(治癒率 72.7%), 제 2치료조 37예가 57일(治癒率 약 60%), 제 3치료조 31예가 49.9일(治癒率 76.1%)이었다. 원격관찰기간(遠隔觀察期間) 2년 내의 재발(再發)은 제 1치료조 29예 가운데 8예, 제 2치료조에서 28예 가운데 13예, 제 3치료조에서 31예 가운데 7예였다.

경험은 창이자(蒼耳子) 탕약(湯藥) 목욕만을 한 제 2치료조의 결과가 다른 치료조의 결과보다 좀 못하기는 해도 이것 한 가지만으로도 충분한 치료적 작용을 나타낸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외과, 1965-3]

19,
창이자(蒼耳子)로 건선(乾癬)을 치료한 경험(임상보고)

건선(乾癬)을 치료하기 위하여 각종 약제(藥劑)를 먹거나 국소(局所)에 바르는 동시에 물리(物理) 및 뢴트겐 치료(治療)를 했으나 현저한 효과를 보지 못하였다.그러므로 민간(民間)에서 피부병(皮膚病)에 많이 이용하고 있는 요법(療法)을 수집하여 임상(臨床)에 적용하였는데 현저한 효과를 거두었다.

[치료방법(治療方法)]


약제법(藥製法): 창이자(蒼耳子) 5되에 물 2말 5되 즉 1:5의 비례로 넣고 5시간 이상 끓여서 창이자(蒼耳子)의 백색지방양(白色脂肪樣) 물질(物質)이 나오도록 한다. 그러면 약물의 색은 간장처럼 된다. 손으로 만지면 매끈매끈한 감을 준다.

창이자(蒼耳子)는 늦은 가을에 채취해야 하는데 그때를 놓쳤을 때는 전초(全草)를 사용해도 된다(全草 : 물=1:3).

목욕 방법:
약물의 온도를 37∼38℃로 하며 한번에 5∼10분 정도씩 하루에 2∼3번 한다.

창이자(蒼耳子)를 가루내어 한번에 30g씩 하루에 3번 먹어도 좋다.

[치료결과(治療結果)]

구분 및 발병연한

1년 이하

1~2년

3~5년

6~10년

10년 이상

환자수

5

9

4

7

5

평균 치료일수

31

50

65

79

90

<표1> 발병기간(發病期間) 및 치료일수(治療日數) 분석

성별 및 결과

완치(完治)

경쾌(輕快)

불변(不變)

남자

15

4

-

여자

10

1

-

합계

25

5

-

<표2> 치료결과(治療結果) 분석

[판정 기준]


완치(完治): 모든 병적(病的) 증상(症狀)이 다 없어지고 정상상태로 된 것.

경쾌(輕快) - 자각증상(自覺症狀)은 없고 피부발적(皮膚發赤)의 흔적(痕迹)이 팔꿉관절과 무릎관절의 폄쪽 부위에 남아 있는데 그 색은 홍색(紅色) 또는 장미색(薔薇色)이거나 백색(白色)일 때를 경쾌(輕快)로 하였다.

경쾌 퇴원 환자 중 재발(再發)된 2명은 다시 입원시켜 같은 치료방법을 적용하여 경쾌 퇴원시켰다.

[증례(症例)1]


유OO, 남자, 30세.  

진단(診斷): 건선(乾癬).

발병(發病) 2개월 후에 내원하였다.

일반영양상태(一般營養狀態)는 좋다. 머리, 가슴, 팔, 다리에 어른 손바닥 크기의 경계가 명확하고 피부(皮膚)에서 약간 두드러진 두꺼운 마른 인설(鱗屑)이 덮인 홍반(紅斑)이 있었다.

창이자(蒼耳子) 약물 목욕을 35일간 한 결과 완치(完治)되었다.

[증례(症例)2]


이OO, 여자, 16세.

진단(診斷): 건선(乾癬).발병(發病) 1년 후에 내원하였다. 머리, 얼굴, 팔, 다리, 손등 등에 어린이 손바닥만한 경계가 명확하고 피부(皮膚)에서 약간 두드러졌으며 환상(環狀)처럼 두꺼운 마른 인설(鱗屑)을 가진 홍반(紅斑)이 대칭적으로 있었다.

창이자(蒼耳子) 약물
목욕을 5일간 한 결과 완치(完治)되었다.

[결론(結論)]

① 건선(乾癬)을 치료하기 위하여
창이자(蒼耳子)로 목욕시킨 결과 완치(完治) 25명, 경쾌(輕快) 5명의 결과를 얻었다.
② 약재(藥材)의 원천이 풍부하다.   
③ 이 치료방법은 간단하기 때문에 가정에서도 능히 적용할 수 있다.
④ 발병기간(發病期間)이 길면 길수록 치료일수(治療日數)도 오래 걸린다. [함흥의학대학병원 최학헌: 동의학, 1964-4]


20,
각종암증(各種癌症)
도꼬마리(잎, 줄기, 열매 중의 어느 것이나 다 좋다) 10g. 달여서 3차례로 나누어 복용한다. [중의약연구자료, 1978년 6월호.]

21,
비인암(鼻咽癌)
신이(辛夷) 15g, 창이자 7.5g, 백지 30g, 박하엽(薄荷葉) 1.5g. 가루로 하여 6g씩 차로 마신다. [경악전서(景岳全書), 비탁(鼻濁)]

"창이자, 야생국화, 패모, 반지련, 계수자(葵樹子) 등을 배합한다." [安徽醫學院學報, 5(1): 42, 1962.]

22,
뇌종양(腦腫瘍)
창이자, 관중(貫衆), 사육곡(蛇六谷: 선전:先煎)(37-7) 각 30g. 포황근(蒲黃根), 칠엽일지화(七葉一枝花) 각 15g.  하루 1첩씩 물로 달여 마신다. [실용항암약물수책(實用抗癌藥物手冊)]

23,
노뇌종유(顱腦腫瘤)
창이자, 사육곡(蛇六谷), 황약자(黃藥子), 곤포 등을 배합한다. [안휘의학원학보(
安徽醫學院學報), 5(1): 42, 1962.]

24, 류마티즘성 관절염

창이자(蒼耳子) 10∼15g을 물에 달여 하루 2번에 나누어 식간(食間)에 먹인다. [동의치료경험집성]

25,
전립선염(前立腺炎)과 정자결핍증(精子缺乏症)
창이자(蒼耳子) 15g을 물에 달여 하루 2∼3번에 나누어 먹인다. [동의치료경험집성]

26,
부고환결핵(副睾丸結核)
창이자(蒼耳子), 회향(茴香) 각 15g을 물에 달여 하루 2∼3번에 나누어 식후(食後)에 먹인다. [동의치료경험집성]

27, 두통

창이자(蒼耳子) 15그램을 물에 달여 하루 2∼3번에 나누어 먹이거나 잎과 줄기를 달여 먹인다. [동의치료경험집성]

28,
신생아제염(新生兒臍炎)
창이자(蒼耳子)를 완전히 익기 전에 따서 짓찧어 즙을 내어 배꼽에서 진물이 나올 때에 바른다. [동의치료경험집성]

29,
농가진(膿痂疹) 및 화농성 피부염
창이자(蒼耳子) 전초(全草)를 진하게 달인 물로 농가진(膿痂疹)이 생긴 부위를 매일 여러 번 씻어주거나 깨끗한 천에 적셔 대고 찜질한다. [동의치료경험집성]

30, 무좀
(임상보고)

창이자 탕액(蒼耳子湯液)으로 무좀을 치료

[치료대상(治療對象)]

무좀 환자 106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치료방법(治療方法)]


5∼7월 사이에 창이자(蒼耳子)(全草)를 채취하여 1㎝ 정도로 자른 다음 100g에 물 300㎖ 정도 붓고 약한 불에서 200㎖가 될 때까지 천천히 달인다. 다음 2∼3겹의 가제로 걸러서 발을 씻고 물기를 없앤 다음 경증(輕症) 환자는 하루 한번 자기 전에 바르며 중증(重症) 환자들은 하루 3번 바른다. 7∼10일 동안 치료하였다.

[치료결과(治療結果)]


나은 환자 63예, 좋아진 환자 43예였다. [동의치료경험-외과편, 1994]

31, 습진

창이자(蒼耳子)를 진하게 달여 그 물로 매일 여러 번 씻는다. [동의치료경험집성]

32, 은진

창이자(蒼耳子) 달인 물로 자주 가려운 곳을 씻는다. [동의치료경험집성]

33, 피부소양증

창이자(蒼耳子) 50g(생것은 120∼130g)을 물에 달여서 그 물로 국소(局所)를 자주 씻는다.  [동의치료경험집성]

34,
심상성 백반(尋常性 白斑)
창이자(蒼耳子)(全草)를 보드랍게 가루내어 한번에 4g씩 하루 3번 식후(食後)에 먹는다. [동의치료경험집성]

35,
피부궤양(皮膚潰瘍)과 과잉육아종(過剩肉芽腫)
창이자(蒼耳子)를 볶아서 보드랍게 가루내어 돼지기름에 풀처럼 되게 개어서 바른다. 겨울에는 4∼6일, 여름에는 2∼3일에 한번씩 궤양면(潰瘍面)을 갈아 붙인다. 살균작용(殺菌作用)과 소염작용(消炎作用)이 있다. [동의치료경험집성]

36,
비염 및 부비강염(副鼻腔炎)
창이자(蒼耳子)를 보드랍게 가루내어 95% 알코올에 12일 동안 담가서 가라앉혔다가 가루를 말려 꿀로 반죽하여 0.5g 되게 환약(丸藥)을 만들어 한번에 2알씩 하루 3번 2주일 동안 먹인다. [동의치료경험집성]

<도꼬마리의 전초인 창이 요법>

37, 부인의 혈풍공뇌(血風攻腦), 두선민절(頭旋悶絶), 졸도, 인사 불성

갈기초(
喝起草: 도꼬마리 전초)의 눈심(嫩心: 금방 나온 싹)을 그늘에서 말려 가루내서 1큰잔을 술로 자주 복용한다. [두문방(斗門方)]

38, 중풍상한(中風傷寒)에 의한 두통 및 소양성 정종(
疔腫)으로 몸이 무거운 증상
신선한 도꼬마리의 뿌리와 잎을 찧어서 사내아이 소변과 섞어 즙을 짜내서 하루에 3회, 1되를 찬 것을 그대로 마신다. [식료본초(食療本草)]

39, 중풍, 두통, 습비(濕痺), 사지의 경련 동통

창이의 유묘엽(幼苗葉) 즉 도꼬마리의 어린싹잎 600g, 수(
: 타락죽수: 찹쌀을 믹서나 맷돌에 갈아서 우유 또는 양유를 넣고 끓인 죽) 37.5g을 준비하여 먼저 도꼬마리의 어린싹잎을 달여 3~5번 끓여 여과한 후 시() 1홉을 물 2큰컵 반으로 1컵 반이 되게 달여서 창이 및 오미(五味)를 넣고 탕을 만들어 수(: 타락죽수: 찹쌀을 믹서나 맷돌에 갈아서 우유 또는 양유를 넣고 끓인 죽)를 넣어서 복용한다. [태평성혜방(太平聖惠方), 창이엽갱(蒼耳葉羹)]

40, 적백하리(赤白下痢)

창이초(蒼耳草)를 양에 관계없이 깨끗이 씻어 으깨어질 정도로 달여서 찌꺼기를 제거하고 꿀을 넣어 센 불에 깨어질 정도로 달여서 찌꺼기를 제거하고 꿀을 넣어 센 불에다 푹 달여서 고(膏)로 만든다. 한 번에 1~2 숟가락을 끓인 물로 복용한다. [의방적원(醫方摘元)]

41, 목상성예(目上星
: 각막성예:角膜星)
신선한 창이초를 짓찧어서 고제(膏劑)를 만들어 태양혈(太陽穴)에 붙인다. [절강민간초약(浙江民間草藥)]

42, 대풍(大風: 나병=한센병) 및 제풍질(諸風疾)

창이를 양에 관계없이 갈아서 곱게 가루내어 대풍자(大風子)의 기름에다 벽오동시 크기의 환약을 만들어 한 번에 30~40알을 형개(荊芥)의 차로 수시로 복용한다. [
이참암본초(履岩本草)]

43, 나(癩: 나병=한센병)

어린 창이, 하엽(荷葉)의 같은 양을 가루내어 한번에 7.5g을 따뜻한 술로 복용한다. [수진방(袖珍方)]

44, 정(
)이 부어 근(根)이 나온 경우
창이를 태운 재를 음력 12월의 저지(猪脂: 돼지기름)을 섞어서 밀봉한다. [본초습유(本草拾遺)]

45, 열독이 수족에 퍼져 벌겋게 붓고 화끈거리는 느낌이 있으며 수족(手足)이 빠질 듯이 아픈 경우

창이초(蒼耳草)를 짜낸 즙에 담근다. [천금방(千金方)]

46, 중이염(中耳炎)

신선한 창이의 전초 19g(건조품은 11g)을 끓는 물에 녹여서 반사발을 복용한다. [복건민간초약(福建民間草藥]

47, 개창(疥瘡), 치루(
痔漏)
창이의 전초를 달여서 약기운을 쐰다. [
민동본초(東本草)

48, 풍진과 전신의 습진 소양(瘙
)
창이의 전초를 달여서 환부를 씻는다. [
민동본초(東本草)]

49, 적백한반(赤白汗斑: 홍색, 흰색의 땀띠)

창이의 어린 잎 끝과 청염(靑鹽)을 짓찧어서 5~6월 사이에 5~7회 문질러 살에 스며들게 한다. [적원방(摘元方)]

50, 화지주(花蜘蛛)에 물린 상처

야겸사(野
絲)의 찧은 즙을 1컵 복용하고 찌꺼기를 바른다. [적원방(摘元方)]

51, 벌레에 의해 물린 상처, 피부염

신선한 창이의 경엽(莖葉: 줄기와 잎), 백반(白礬), 명웅(明雄) 각 적당한 양을 함께 찧어 고(膏)를 만들며 물린 사처의 환부에 바르고 고정시킨다. [중초약신의료법자료선편(中草藥新醫療法資料選編)]

52, 마풍(麻風: 나병=한센병)
[임상보고]
증상의 개선에 상당히 좋은 작용을 하며 투약 후에 환자의 결절이 소실되고 정상적인 피부로 회복되며 또는 홍반의 색이 연하게 되고 범위도 좁게 되며 얼굴, 귓불의 침윤성 손상도 경감되었다. 비대하여졌던 척골 신경도 부드럽고 연하게 되고 수족의 활동도 활발하게 되어 부분적인 지각이 회복되었다.

나균(癩菌)도 감소되는 경향이 있고 병리 침윤도 약간 개선되었다. 그러나 상술한 치료 효과도 흔히 투약 후 3~4개월 사이이고 그 후의 진전은 명확하지 않으며 일부의 환자에게서는 새로운 손상이 발생했다. 소수의 환자는 연속으로 12~15개월 사용한 결과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병세가 개선되었다. 그러나 초기의 효과처럼 뚜렷하지는 못하다. 때문에 창이초와 함께 설폰 제나 티디온을 동시에 또는 교대로 복용하면 비교적 만족할 만한 효과를 얻는 것으로 생각된다.

용량과 용법:
지금 통일된 복용량의 규준은 없다. 일반적으로 신선한 창이초를 엑스환이나 정제로 하여 내복한다. 엑스의 환제는 1알이 생약 37.5g~75g, 또는 150g에 상당한다.

처음에는 150g을 하루에 1회 복용하고 3일 후에 환자의 건강 상태와 병상에 따라서 조금씩 사용량을 증가하며 최대량으로서는 하루에 600g을 2회에 나누어 복용한다. 경우에 따라서 하루에 300g~900g을 연속 3개월 복용하고 2주일간 휴식한다. 또 하루에 450g을 3회에 나누어 복용하고 만약 부작용이 있으면 적당히 수량을 감소하며, 부작용이 없고 효과가 늦은 것은 정황에 따라 수량을 증가해도 좋다고 하는 의견도 있다. 부작용으로는 식욕 감퇴, 변비와 발열, 신경 증상 등이 있는데 그 증상은 가볍다. 대량 복용할 때에는 중독 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안전에 주의하여야 한다고 지적하는 사람도 있다. [중약대사전]

53, 만성 비염
[임상보고]
50례 남짓되는 임상 관찰에 의하면 유효율은 50% 이상이었다. 항알레르기 작용을 하고 급성 부비강염에도 효과가 있다.

용법:
창이의 전초 주사액 한 대에 2ml(생약 2g에 해당함)를 하루에 1~2회 근육 주사를 한다. [중약대사전]

54, 기능성 자궁 출혈
[임상보고]
창이초 75g(건조품은 37.5g)을 물로 달여서 하루에 1회 복용한다. [중약대사전]

55, 조기 주혈흡충증
[임상보고]
창이의 전초 75g, 빈랑(檳
) 56g을 달여서 60ml를 만들고 한 번에 10ml를 하루에 3회, 연속 10회를 식전에 복용한다. 치료한 32례의 환자는 식욕 증진, 체력 증강 등 일반적으로 건강이 모두 호전되었다. 3개월 후에 28례에 대하여 대변 재검사를 하였는데 주혈흡충란의 음성 전환율은 78.6%이었다. 흔히 나타나는 약물 반응은 복통, 설사, 현기증, 오심 등이다. [중약대사전]

<도꼬마리의 뿌리인 창이근 요법>

56, 모든 정종(
疔腫)
창이 뿌리 3냥 반, 오매(烏梅) 5개, 연수총(連鬚蔥) 3개를 술 2공기로 1공기가 될 때까지 달여 뜨거울 때 복용하고 땀을 낸다. [비전경험방(秘傳經驗方)]

57, 잔등에 난 옹저(癰疽), 두(頭)가 나오지 않은 악창(惡瘡), 종독정절(腫毒
癤), 풍양(風), 겨드랑이에 난 창(瘡), 치통, 후비(喉痺: 인:咽, 구두결핵:口頭結核의 류:類)의 치료
창이의 뿌리, 잎 여러 개를 씻어 햇볕에 말려 시들어지면 잘게 썰어 5개의 큰 가마에 넣고 약재가 뭉근해질 때까지 푹 달인 후 체로 걸러서 거친 찌꺼기를 없앤다.

또 이것을 명주천에다 받아 깨끗한 가마에 옮겨 센 불에 달여 끓기 시작하면 약한 불에 찐해질 때까지 저으면서 달여 고약을 만들어 새 단지에 밀폐하여 둔다. 치통에는 치아 위에 바르고 후비(喉痺)에는 혀 위에 바르거나 입안에 물고 녹이는 외에 하루에 1숟가락을 술로 복용한다. [빈호집간방(瀕湖集簡方), 만응고(萬應膏)]

58, 전후비풍(
喉痺風: 인후의 림프절종양 등)의 치료
창이초(蒼耳草)의 뿌리, 묵은 생강 1개를 갈아서 즙을 받아내어 따뜻한 무회백주(無灰白酒)와 함께 복용한다. [경험양방(經驗良方)]

59, 단독(丹毒)

창이초(蒼耳草)의 뿌리와 잎을 달여 벌겋게 부은 곳을 약기운을 쐰다. [귀양시비방험방(貴陽市秘方驗方)]

60, 고혈압

창이 뿌리 5돈~1냥을 물로 달여 복용한다. [섬서중초약(陝西中草藥)]

61, 이질

창이 뿌리 1냥에 홍당(紅糖)과 물을 넣어 약한 불에 오랫동안 달여 복용한다. [귀주초약(貴州草藥)]

62, 신염(腎炎)에 의한 수종

창이 뿌리 1냥을 물로 달여 복용하거나 다른 약재와 배합하여 사용한다. [운남중초약(雲南中草藥)]

<도꼬마리의 줄기 속에 기생하는 유충의 요법>

63, 일체의 정종(
疔腫) 및 무명 종독, 악성 종기의 치료
① 누렇게 볶은 마충(麻蟲), 백강잠(
白殭蠶), 강차(江茶: 차의 일종) 각 같은 양을 가루로 하여 꿀고 개어 바른다. [성제총록(聖濟總錄)]

② 창이(蒼耳) 줄기 속 벌레 1마리, 백매(白梅)의 과육(果肉) 3~4푼을 질퍽하게 찧어서 바른다. [보수당경험방(保壽堂經驗方)]

③ 창이 줄기 속 벌레 49마리를 두들겨 찧어서 인언(人言) 소량을 넣어 두들겨서 덩어리 모양으로 한다. 창(瘡)을 찔러 터뜨려서 약을 바르고 약간 지나면 손으로 창(瘡)의 근(根)을 뽑아낸다. [본초강목(本草綱目)]
 
④ 창이충(蒼耳蟲)을 적당량, 빙편(氷片), 웅황(雄黃) 각 소량을 가루낸 것, 비렴(飛廉) 1개를 짓 찧어서 즙을 낸 것, 감초(甘草) 5돈을 끓인 맹물에 담가 즙을 낸 것 약 1냥을 모두 참기름에 넣었다가 사용한다. 사용할 때에는 벌레를 1마리 꺼내어 정(
)의 두(頭)에 단단히 고정한다. [강소성중초약신의료법전람자료선편(江蘇省中草藥新醫療法展覽資料選編)]

64, 치질

창이충(蒼耳蟲) 5푼을 참기름에 담갔다 상처에 붙인다. [민간상용초약휘편(民間常用草藥彙編)]

[각가(各家)의 논술(論述)]


<열매>


1, <본초휘언(本草彙言)>:
"시이실(
耳實)은 전정(頂)을 통하게 하여 풍사(風邪)를 몰아내고 습사(濕邪)를 없애는 약이다. 단 것은 익혈(益血)하고 쓴 것은 습사를 제거하며 온(溫)은 통창(通暢)하기에 상, 중, 하 전신의 풍습의 각종 병에는 없어서는 안 되는 것이다."

2, <본초정의(本草正義)>:
"창이자(蒼耳子)은 온하하고 소달(疏達)한다. 관절을 유리(流利)하게 하고 맥락을 통하게 하며 공규기부(孔竅肌膚)에 도처에 이르고 게다가 조열(燥烈)에만 쏠리지 않는다. 때문에 풍한습의 3기(三氣)의 비(痺)를 주치하는데 제일 유력하고 많이 사용된다. 또 특히는 전정(
頂)에 올라가서 뇌호(腦戶)의 풍한(風寒)을 소통하므로 두풍병의 중요한 약이다. 신향(辛香)이 없으므로 주찬(走)하지도 않고 과도하게 승설(昇泄)하지도 않아 정기(正氣)를 모산(耗散)할 염려도 없다. 세신(細辛), 강활(羌活) 등에 비하면 효능은 비슷하지만 그의 모양이 다르다. 예를 들면 천궁(川芎), 백지(白芷) 등의 기(氣)가 뛰어난 것과는 비교할 수가 없다. 그러나 완만한 점만은 매우 뚜렷하여 아마 하루 이틀에 효과를 보기는 어려울 것이다."

[비고(備考)]


<열매>


<남방주요유독식물(南方主要有毒植物)>: "창이는 전체에 독이 있다. 그중 열매에 가장 독이 많다. 싱싱한 잎이 마른 잎보다 독이 많고 어린 잎이 오래된 잎보다 독이 많다.

중독의 구조 방법: 가벼운 중독일 때는 몇 시간 내지 하루 음식을 중지하고 그 사이에 설탕물을 대량으로 마신다. 중증의 중독일 때는 조기에 위를 세척하고 설사시키며 2%의 생리 식염수로 고압 관장을 한다. 동시에 25% 포도당액에 비타민 C 500mg을 넣어 주사한다. 출혈 예방에는 비타민 K를 주사한다.

필요할 때에는 수혈을 고려한다. 간장을 보호하기 위하여 구연산콜린을 복용하고 메틸오닌을 근육 주사한다. 저 지방의 음식물을 먹는다. 민간에서는
감초녹두탕을 사용하여 해독하고 있다."


<벌레>


<본초강목(本草綱目)>:
"
창이두충(蒼耳蠧蟲)은 창이(蒼耳)의 병(柄: 줄기)안에 있다. 모양은 작은 누에와 비슷하다. 이것을 채취할 때에는 자루가 크고 벌레먹은 구멍이 있는 것을 찾아 그 자루의 구멍이 없는 양단을 칼로 베어 낸다. 흔히 끈으로 동여서 처마 밑에 드리워 놓는다. 벌레는 그 속에서 몇 년이고 살아 있으므로 사용할 때에 꺼낸다. 가는 것은 3마리를 1조로 사용한다."

가을에 시골 들판을 다니다보면 작은공처럼 생긴 것이 몸전체에 가시가 붙어 있어 옷에 잘 달라 붙는 것이 바로 도꼬마리의 열매인 창이자이다. 적당량을 채취해 놓았다가 언제든지 가정 상비약으로 잘 응용한다면 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항상 유의해야 할 점은 지나친 양은 독성이 있어 해를 가져온다는 것을 명심하고 동양의학의 5천년 역사에서 경험을 통해서 알게된 각종 의서들을 잘 읽고 묵상하여 용량을 유효적절하게 사용함으로 유익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자료는 약초연구가로서 우리땅에 자라는 토종약초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고 질병으로 고통을 겪고 있는 환우들에게 희망을 주며 신약을 개발하는데 통찰력을 갖게하고 약초를 사랑하는 모든 사람에게 정보의 목적으로 공개하는 것임을 밝혀 둔다.  

(글/ 초연구가 & 동아대 & 신라대 대체의학 외래교수 전동명)

참조: 아래에 누구나 프린터할 수 있는 아래한글 문서입니다. '주는 것이 받는 것 보다 더 행복하다'는 취지를 실천하기 위한 사랑과 자비의 서비스입니다. 경제적인 부담(종이값, 잉크, 토너 비용 등)이 되신다면 아래의 문서를 각자의 컴퓨터 및 기타 저장매체에 담아 놓고 볼 수 있습니다. 소중한 자원낭비가 되지 않기 위하여 프린터하기 전에 한번더 개인적으로 결정해 보시기 바랍니다. 여러분 모두도 다른 사람에게 더 많이 주어서 더 행복하시기 바랍니다.

아래한글문서 28쪽 분량을 프린터할 수 있는 사랑과 자비의 서비스: 1, 도꼬마리 무엇인가?

아래한글문서 2쪽 분량을 프린터할 수 있는  사랑과 자비의 서비스: 2, 도꼬마리 무엇인가?

큰도꼬마리/도꼬마리 사진 감상: 1, 2, 3, 45, 6, 7, 8, 9, 10, 11, 12, 13, 14, 15, 네이버+구글+다음+일본구글+대만구글: 1, 2, 3, 4, 5,

 1, 도꼬마리 상세 사진 웹사이트: 1,

2, 큰도꼬마리 상세 사진 웹사이트: 1, 2, 3,

3, 가시도꼬마리 상세 사진 웹사이트: 1, 2,

4, 바늘도꼬마리 상세 사진 웹사이트: 1, 2, 3, 4, 5,

문의 및 연락처: 010-2545-0777 ; 051-464-0307

홈주소: http://jdm0777.com ; http://www.eherb.kr

페이스북 주소: http://www.facebook.com/jdmsanyacho

이메일: jdm0777@naver.com ;
jdm0777@hanmail.net

 

 

※ 아래에 jdm 필자가 찍은 큰도꼬마리 사진도 감상해 보시고 행복하시기 바랍니다~~~^.^

 

 

홈페이지 주소 : http://jdm0777.com 클릭하시면 홈으로 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