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초향 무엇인가?

봄철 어린순을 나물로 먹는 향신료 배초향

 

 

 

 

 

 

 

 

 

 

 

 

[배초향의 새싹, 자란잎 앞년 자란잎 뒷면, 사각형 줄기, 꽃이 핀 전초, 꽃 확대, 바른 열매, 종자의 모습, 사진출처: 일본/대만/한국 구글 이미지 검색]

▶ 항바이러스 작용, 항산화 작용, 항염 작용, 위액분비촉진 작용, 약한 발한 작용, 항진균 작용, 항스피로헤타 작용, 해서화습, 행기화위, 중서발열, 두통흉민, 식욕부진, 온중쾌기, 오심, 구토, 설사, 수족선, 상한에 의한 두통, 한열왕래, 천해, 심복냉통, 반위구오, 기사, 곽란, 장부허명, 전신허종, 산전 산후의 혈기자통, 산남장학, 소아감상, 무더운 여름철 구토하고 설사를 할 때, 학질(말라리아), 입냄새를 없앨 때, 어린 아이의 이가 흔들리고 이틀에서 피고름이 나며 입냄새가 심하게 나고 입이 부어 오를 때, 태아의 발육이 불안정하고 기가 오르내리지 못하며 신물을 토할 때, 피부나 점막이 짓무르거나 헐 때, 칼에 베인 상처로 피가 날 때, 서습증, 향신료, 봄나물, 메스꺼움, 감기, 거담, 건위, 고혈압, 노화방지, 당뇨병, 더위먹은데, 두통, 발열, 발한, 메스꺼움, 몸이 나른한 데, 버짐, 복부창만, 복통, 설태가 낀데, 소화불량, 속이쓰리고 아픈데, 습비, 옴, 신장혈관자극, 위액분비촉진, 위염, 위장병, 위장의 연동운동, 장 및 위 카타르, 전염병 예방, 종기, 종독, 종양, 중풍, 콜레라, 토사곽란, 풍습성 관절염, 항암, 여름 감기를 다스리는 배초향

배초향(排草香)은 쌍떡잎식물 통화식물목 꿀풀과의 여러해살이풀이다.

배초향의 학명은 <Agastache rugosa (Fisch. & Mey.) Kuntze>이다. 양지쪽 자갈밭에서 자란다. 높이 40∼100cm이다. 줄기는 곧게 서고 윗부분에서 가지가 갈라지며 네모진다. 잎은 마주나고 달걀 모양이며 길이 5∼10cm, 나비 3∼7cm이다. 끝이 뾰족하고 밑은 둥글며 길이 1∼4cm의 긴 잎자루가 있으며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다.

꽃은 입술 모양이며 6∼9월에 피고 자줏빛이 돌며 윤산꽃차례[輪傘花序]에 달리고 향기가 있다. 꽃차례는 이삭 모양으로서 길이 5∼15cm이다. 꽃받침은 5개로 갈라지고 화관은 길이 8∼10mm로서 윗입술 모양 꽃잎은 작고 아랫입술은 크며 5개로 갈라진다. 4개의 수술 중 2개는 길다. 결실기는 10~11월이다.

배초향은 동아시아 지역인 대만, 만주, 러시아 아무르 및 우수리, 일본, 중국, 베트남과 북아메리카에 여러종이 있으며 우리나라 전역에는 1종이 분포되어 있고 순수 토종 자생 식물이다. 

배초향의 꽃은 향기가 아주 진하여 기름을 뽑아 방향제로 쓰며 봄철에 어린순을 나물로 먹기도 한다. 성숙한 잎은 쌈을 싸먹거나 송편을 싸서 찌기도 하고 추어탕이나 장어탕, 보신탕에 넣어 먹어 냄새를 제거하고 입안을 향기롭게하여 향신료로 사용되고 있다. 생선을 먹을 때 비린내를 없애는 용도로도 사용한다. 꽃이 아름다워 또한 집안에서 관상용으로 가꾸기도 한다. 또한 꽃속에 꿀이 많이들어 있어 곤충들이 즐겨찾고 꿀벌을 치는 사람에게 주요 밀원식물 중 하나이다.


열매는 분열과로서 납작하고 달걀 모양의 타원형이다. 중국에서는 곽향(藿香)이라 적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는 성숙한 배초향을 곽향이라 하여 약재로 사용한다. 곽향은 포기 전체를 소화·건위·진통·구토·복통·감기 등에 효과가 있다. 한국·일본·타이완·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 참조:
중국에서는 곽향이라는 약재 속에 아래의 2가지 식물을 함께 사용하고 있다.

1, 곽향[藿香=배초향: Agastache rugosa (Fisch. et Mey.) O. Ktze]
우리나라를 비롯한 중국의 흑룡강(黑龍江), 길림(吉林), 요녕(遼寧), 하북(河北), 하남(河南), 산동(山東), 섬서(陝西), 안휘(安徽), 강소(江蘇), 절강(浙江), 광동(廣東), 복건(福建), 호북(湖北), 호남(湖南), 강서(江西), 사천(四川), 귀주(貴州), 운남(雲南) 등지에 분포되어 있다.

2, 광곽향[廣藿香:
Pogostemon cablin (Blanco) Benth.]
중국의 광동(廣東), 운남(雲南)에서 주로 재배한다.


배초향의 여러 가지 이름은
곽향[
藿香=huò xiāng=후오시이앙: 명의별록(名醫別錄)], 토곽향[土藿香: 전남본초(滇南本草)], 배향초[排香草, 야곽향:野藿香, 두곽향:杜藿香: 중약대사전(中藥大辭典)], 카와미도리[カワミドリ=川緑, 카하미도리:カハミドリ=加波美止利, 카오리구사:カオリグサ=香草, 칵코우:かっこう=藿香, 도칵코우:どかっこう=土藿香, 코리안민토:コリアンミント, 아가스타-:アガスターシェ: 일문명(日文名)], Korean Mint[영명(英名)], 배초향[排草香], 깨나물, 깨풀, 대박하, 방아풀, 방애풀, 방아잎, 방앳잎, 배향초, 소단라향, 야곽향, 중개풀, 참뇌기, 토곽향, 합향 등으로 부른다.  

배초향의 뿌리의 다른 이름은
곽향근[
藿香根: 분류초약성(分類草藥性)]이라고 부른다.

배초향의 줄기와 잎을 증류하여 얻은 방향수의 다른 이름은
곽향로[
藿香露: 본초강목습유(本草綱目拾遺)]라고 부른다.

중국에서 자생하는 광곽향의 여러 가지 이름은
광곽향[
廣藿香=guǎng huò xiāng=꾸앙V후오시이앙, 지향:枝香: 중약대사전(中藥大辭典)] 등으로 부른다.

[채취]


<
중약대사전>: "1, <광곽향(廣藿香)>: 6~7월의 생징이 무성할 때에 채취한다. 중국의 해남(海南) 지역에서는 매 년 2번 채취하는데, 첫 번째는 5~6월, 두 번째는 9~10월에 한다. 수염뿌리와 진흙을 제거하고 2~3일 정도 햇볕에 말려 쌓아 놓고 2일후 다시 햇볕에 말려 쌓아 놓고 2일 후 다시 햇볕에 말리고 다시 꼭 덮어 놓는다. 이처럼 건조할 때까지 쌓고 말린다."

2, <곽향(藿香: 배초향)>:
첫 번째는 6~7월 꽃이 필 때에 채취하고 두 번째는 10월에 한다. 채취한 다음 햇볕에 말리거나 그늘에서 말린다. 다만 굳은 줄기를 쓸 때의 약재명은 "곽경(藿梗)"이다."


[약재(藥材)]

<
중약대사전>: "1, <광곽향(廣藿香)>: 말린 전초는 길이가 30~60cm이고 많은 가지가 마주 나 있다. 굳은 줄기는 네모졌고 지름은 4~10mm 가량이며 표면은 회갈색이거나 진한 녹색이고, 잔털은 비교적 적으며 질은 단단하고 쉽게 끊어지지 않으며 잘라 낸 면은 거칠고 황록색이며 한가운데에 백색의 고갱이가 있다. 여린 줄기는 대략 사각형 모양이고 잔털이 촘촘하게 덮여 있으며 질은 연하여 끊어지기 쉽고 잘라 낸 면은 진한 녹색이다. 잎몸은 진한 녹색이거나 황록색이고 쪼글쪼글하거나 또는 부서져 있고 양면에 모두 잔털이 촘촘하게 덮여 있으며 질은 연하고 두텁다. 향기가 진하고 맛은 조금 쓰고 맵다. 줄기가 굵고 단단하며 잘라 낸 면은 녹색을 띠고 잎은 두텁고 연하며 향기가 진한 것이 좋다. 주산지는 중국의 광동(廣東)이다. 보통 이 약물의 품질은 비교적 훌륭하다고 인정되고 있다.

2, <곽향(藿香=배초향, 토곽향:土藿香: 전남본초(
滇南本草), 두곽향:杜藿香: 중약대사전(中藥大辭典)>: 말린 전초는 길이가 60~90cm 가량이다. 줄기는 네모졌고 지름은 3~20mm 가량이며 표면은 황록색이거나 어두운 황색이고 잔털은 극히 적거나 거의 털이 없다. 질은 무르고 잘라 낸 면의 한가운데에 백색의 고갱이가 있다. 굳은 줄기는 단단하여 나무와 같고 잘라 낸 면의 속은 비어 있다. 잎의 대부분은 이미 떨어졌고 남아 있는 잎은 어두운 녹색이며 쪼글쪼글하거나 부서져 있으며 양면에 얇고 무른 털이 조금 있다. 가지의 끝에는 원기둥 모양의 꽃차례가 있는 것도 있고 갈색이며 작은 꽃에 짧은 자루가 있고 꽃부리는 대부분 떨어져 없으며 작은 견과(堅果)는 꽃받침 속에 있다. 상쾌한 향기가 나며 맛은 싱겁다. 줄기와 가지는 청록색이고 잎이 많으며 향기가 진한 것이 좋다. 주산지는 중국의 사천(四川), 강소(江蘇), 절강(浙江), 호북(湖北), 운남(雲南), 요녕(遼寧) 등지 이다."

[성분]


<
중약대사전>: "1, <광곽향(廣藿香)>: volatile oils 약 1.5%를 함유하고 있는데 volatile oils의 주성분은 patchoulic alcohol이고 그 정유중의 함량은 약 52~57%를 차지한다. 이 이외로 benzaldehyde, eugenol, cinnamic aldehyde, pogostol, patchoulipyridine, epiguaipyridine 등을 함유하고 있다. 또 별도로 여러 가지 terpenes, 즉 carvophyllene, β-elemene, alloaromadendrene, y-patchoulene, β-gurjunene, α-guaiene, valencene, α-gurjunene, y-cadinene, δ-guaiene, α-patchoulene, calamenene 등도 함유되어 있다.

2, <곽향(藿香: 배초향)>:
volatile oils 0.28%를 함유하고 있으며 주요 성분은 methylchavicol이고 8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또, anethole, anisaldehyde, d-limonene, p-methoxycinnamaldehyde, α-pinene, β-pinene, 3-octanone, 3-octanol, p-cymene, 1-octen-3-ylangene, β-farnesene, y-cadinene, calamenene 등도 함유되어 있다. 중국 북동부에서 산출되는 곽향을 바람에 쐬어 말린 재료는 전초에 volatile oils 0.54%를 함유하고 있으며 또 아주 적은 양의 tannin 및 고미질도 함유하고 있다."

[약리작용]


<
중약대사전>: "1, 항진균 작용: 곽향의 전제(煎劑: 8~15%)은 in vitro에서 Schoenlein's fungus 등 여러 가지 병원성 진균에 대하여 억제 작용이 있다. 곽향의 ether 추출액(3%) 및 알코올 침출액(1%)도 여러 가지 병원성 진균을 억제하였고 수침액의 항진균력도 전제(煎劑)와 비슷하다. 족지간의 모선균(毛癬菌) 및 발바닥의 모선균(毛癬菌)에는 전제(煎劑) 15%일 때에 억제가 나타났고 ether 추출액은 3%, 알코올 침출액은 5%, 물추출액은 10% 등의 농도일 때 항균작용이 나타났다. 이와 같이 곽향의 추출액은 전제(煎劑)에 비하여 항균력이 강하다.

2, 항스피로헤타 작용:
곽향의 전제(煎劑: 15mg/ml)는 Leptospira에 대한 억제 작용이 있지만 Leptospira를 죽이려면 농도를 31mg/ml로 증가시켜야 한다.

3, 담낭에 대한 영향:
곽향의 전제(煎劑)를 내복하고 X선 담낭조영술을 이용하여 곽향이 담낭에 대하여 수축작용이 없다는 것이 증명되었다."

[포제(
炮製)]

<
중약대사전>: "1, <곽향(藿香)>: 잡물을 가려 없앤 다음 날 뿌리와 굳은 줄기를 제거하고 먼저 잎을 따로 두고 줄기를 물로 축축하게 하여 잘게 썰어서 햇볕에 말린 다음 잎과 골고루 섞는다."

2, <곽경(
梗)>: 굳은 줄기를 채취하여 물에 담가 물기가 충분히 스며든 다음 얇게 잘라 햇볕에 말린다."

[성미]


<전초>


1, <
중약대사전>: "맛은 맵고 성질은 약간 따뜻하다."

2, <남방초목상>: "맛이 맵다."

3, <명의별록>: "성질이 약간 따뜻하다."

4, <진주낭>: "맛이 달고 쓰다."

<방향수>

<중국의학대사전(中國醫學大辭典)>: "맛은 맵고 성질은 약간 따뜻하며 독이 없다."

[귀경(歸經)]


<전초>

1, <
중약대사전>: "폐(肺), 비(脾), 위경(胃經)에 들어간다."

2, <탕액본초>: "수(手), 족태음경(足太陰經)으로 들어간다."

3, <뇌공포제약성해>: "폐(肺), 비(脾), 위경(胃經)에 들어간다."

4, <본초재신>: "심(心), 간(肝), 폐경(肺經)으로 들어간다."

[약효와 주치]

<전초>


1, <
중약대사전>: "쾌기(快氣), 화중(和中), 벽예(辟穢), 거습(祛濕)하는 효능이 있다. 감모서습(感冒暑濕), 한열(寒熱), 두통, 흉완비민(胸脘痞悶), 구토, 설사, 학질, 이질, 구취(口臭)를 치료한다."

2, <명의별록>: "풍수독종(風水毒腫)을 치료하고 나쁜기를 제거하며 곽란, 속이 쓰리고 아픈 증상을 치료한다."

3, <본초도경>: "비위(脾胃)가 허약해서 생기는 구토증상을 치료하는 가장 중요한 약이다."

4, <진주낭>: "위기(衛氣)를 자양하고 위기(胃氣)를 보충해 주며 식욕을 촉진시켜 주는 효능이 있다. 토사곽란을 치료한다."

5, <탕액본초>: "온중쾌기(溫中快氣)하는 효능이 있다. 폐허(肺虛)로 한(寒)이 있고 상초에 열이 쌓여 있으며 음주로 입에 좋지 아니한 냄새가 날 때에는 달인 물로 양치질 한다."

6, <본초술>: "한습(寒濕), 서습(暑濕), 울열(鬱熱), 습열(濕熱)을 제거하는 효능이 있다. 한사(寒邪)를 받아들이고 음식에 의해 내상하거나 또는 음식이 상해 습체(濕滯)한 증상, 산람장기(山嵐
瘴氣), 기후에 적응치 못하는 증상, 한열(寒熱)로 생긴 학질 등의 병증을 치료한다."

7, <본초재신>: "해표산사(解表散邪), 이습제풍(利濕除風), 청열지갈(淸熱止渴)하는 효능이 있다. 토사곽란, 학질, 이질, 옴을 치료한다. 곽경(
藿梗)은 급성 인후염 따위로 목이 부어 음식을 삼킬 때 심한 통증이 있는 증상을 치료하고 가래를 삭이며 기침을 멎게 하는 효능이 있다."

<방향수>

1, <본초강목습유(本草綱目拾遺)>: "청서(淸暑), 정기(正氣)하는 효능이 있다."

2, <중약성방배본(中藥成方配本)>: "방향으로 탁기(濁氣)를 발산시키는 효능이 있다. 무더위로 기가 고르게 돌지 못하고 한곳에 몰리어 가슴이 답답하고 구토하며 속이 메스꺼운 증상을 치료한다."

[용법과 용량]


<전초>


<
중약대사전>: "내복: 5.55~11g을 물로 달여서 먹는다. 또는 환을 짓거나 가루내어 먹는다.

외용: 달인 물로 양치질 하거나 또는 약성이 남게 태운 다음 갈아서 가루로 만들어 개어서 바른다."

<뿌리>


<
중약대사전>: "내복: 5.55~11g을 물로 달여서 먹는다."

<방향수>


<
중약대사전>: "내복: 74~148g을 따뜻하게 데워서 먹는다."

[배합(配合)과 금기(禁忌:
주의사항)]

1, <신농본초경소(神農本草經疏)>: "음허화왕(陰虛火旺)하고 위가 약하여 구토하거나 위열(胃熱)에 의해 구토하고 중초에 열이 강성하여 급성 열병에 걸렸고 양명병(陽明病)에 위의 병사가 실(實)하여 구토하고 배가 더부룩하게 불러 오를 때에는 금한다."

2, <본경봉원(本經逢原)>: "그 줄기는 기를 소모시키므로 사용하는 자는 이것을 자세히 알아야 한다."

배초향의 효능에 대해서
안덕균의《CD-ROM 한국의 약초》에서는 이렇게 기록하고 있다.

[곽향(藿香)

[기원]
꿀풀과의 여러해살이 초본식물인 배초향 Agastache rugosa(Fisch. et Meyer) O. Kuntze의 지상부이다.

[성미]
맛은 맵고, 약성은 조금 따뜻하다.

[효능주치]
화습(化濕), 해표(解表), 거서(祛暑), 지구(止嘔), 치선(治癬)한다.

[임상응용]


1. 습(濕)이 비위(脾胃)에 정체된 것을 치료하므로 복부창만, 식욕부진, 메스껍고 구토, 설사, 설태가 두껍게 끼는 증상을 다스린다.

2. 특히 감기에 소화장애를 겸비한 증상에서 발열, 두통, 가슴이 답답하고 메스껍고 구토, 설사, 몸이 나른한 증상에 유효하다.

3. 여름철 구토, 설사에 신통력이 있고, 차로 항상 복용하면 더위를 잊게 한다.

4. 옴이나 버짐(특히 손, 다리)에는 달인 물에 30분간 담가서 치료한다.

5. 입안에서 구취가 날 때에 달인 물로 양치질을 하면 제거된다.

[약리 작용]
피부진균, 황색포도상구균, 녹농균, 대장균, 이질균, 용혈성연쇄상구균, 폐렴균 등에 억제작용이 있다. 또한, 위액분비를 촉진시켜 소화력을 증가시킨다. 달인 물은 담낭수축작용이 없었다.

[화학성분]
methychavicol, anethole, anisaldehyde, d-limonene, p-methoxycinnamaldehyde, pinene, 3-octanone, 1-octen-3-ol, linalool, 1-caryphyllene, β-elemene, β-humulene, α-ylangene. β-farnesene, γ-cadinene, calamenene, cis-β-acacetin, tilianin, linarin, agastichoside, isoagastachoside, agastachin, maslinic acid, crategolic acid, oleanolic acid, 3-O-acetly oleanolic aldehyde, deaucosterol, β-sitosterol, dehydro-agastol, β-sitosterol, dehydro-agastol 등을 함유하고 있다.
]

배초향의 효능과 관련하여 배기환의
<한국의 약용식물> 432면 541호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
배초향 [꿀풀과]

학명/
Agastache rugosa (Fischer et Meyer) O.Kuntze

여러해살이풀. 높이 1~1.5. 꽃은 자줏빛으로 7~9월에 가지나 원줄기 끝에 많이 달린다. 꽃받침은 5개로 갈라지고 15맥이 있으며, 꽃잎은 5개로 갈라지고 아랫입술이 크다. 수술은 2개가 길게 밖으로 나온다. 열매는 분과로 달걀 모양이다.

분포/
전국의 산과 들에서 흔히 자라며, 일본, 중국, 만주, 대만, 아무르에 분포한다.

채취/
전초를 가을에 채취하여 말린다.

약효/
전초를 곽향(藿香)이라고 하며, 쾌기(
快氣), 화중(和中), 지구(止嘔), 화습(化濕)의 효능이 있고, 감기에 의한 두통, 열, 구토, 설사, 구취를 치료한다. 줄기나 잎을 증류해서 얻은 방향수를 곽향로(藿香)라고 하는데, 해서(解暑)의 효능이 있고, 서열(暑熱)에 의한 기체(氣滯), 흉번(胸煩), 오심 등을 치료한다.

성분/
정유의 주성분은 methylchavicol이고, 그밖에 anethole, anisaldehyde,
α-limonene, p-methoxycinnamaldehyde, α-pinene 등이다.

약리 작용/
물로 달인 액은 백선균과 무좀균에 대하여 항진균 작용이 있다.

사용법/
전초 10g에 물 700mL를 넣고 달인 액을 반으로 나누어 아침 저녁으로 복용하거나 환제 또는 산제로 하여 사용한다. 외용에는 달인 액을 입에 물고 양치질을 해서 씻거나 약간 구워 환부에 바른다. 곽향로는 60mL를 따뜻하게 하여 복용한다.

참고/
중국에서는 Pogostemon cablin (Blanco) Benth.의 전초 또는 잎을
광곽향(廣藿香)이라 하여 사용하며, 우리 나라에 수입되는 곽향도 대부분 이것이다.]

배초향의 효능에 대해서 북한에서 펴낸
<약초의 성분과 이용>에서는 이렇게 기록하고 있다.

[방아풀(Agastache rugosa 'Fischer et Meyer' O.Kuntze)

다른 이름:
배초향, 방애풀, 토곽향, 곽향이다.

식물:
높이는 1~1.5미터 되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심장 모양의 긴 잎이 마주 붙는다. 가지 끝에 하늘색, 분홍색, 가지색 또는 드물게 흰색을 띤 작은 입술 모양의 꽃이 모여 꽃이삭을 이루고 여름과 가을에 핀다. 전국 각지의 길섶, 집 주변, 산기슭, 개울가에서 자란다. 씨로 번식한다.

전초:
꽃필 때에 줄기를 베어 그늘에 말린다.

성분:
정유는 전초에 약 0.3퍼센트, 잎에 0.2~2.3퍼센트, 꽃이삭에 5퍼센트, 줄기에 0.1퍼센트가 들어 있다. 정유의 주성분은 메틸카비콜, 아니스알데히드, 아네톨, d-리모넨, 세스쿠이테르펜, a-피넨, b-피넨, a-리모넨, 옥사논, p-시몰, 리날로올이다.

플라보노이드로 아카세틴, 틸리아닌, 리나린, 아가스카코시드가 분리되었다.

응용:
동의치료에서 건위약, 구풍약, 소화약, 열내림약으로 더위를 먹거나 먹은 것이 체했을 때, 감기, 머리아픔과 구토 설사에 쓴다. 또한 간혹 피질병, 종양 치료약으로도 쓴다. 특히 비장과 위장병에 쓰이는 중요한 약이다.

간장과 된장 등 식료품에 좋은 향료로 되며 벌레가 생기지 않는다.

배초향 달임약은 물 200씨시에 6~12그램을 넣고 하루 3번에 나누어 먹는다.
]

배초향의 효능에 대해 북한에서 펴낸
<동의학사전>에서는 이렇게 기록하고 있다.

[곽향(藿香)

꿀풀과에 속하는 방아풀(Agastache rugosa 'Fisch. et Meyer' O.Kuntze)과 광곽향(Pogostemon cablin 'Blanco' Benth.)의 전초를 말린 것이다.  

방아풀(배초향)은 각지의 산기슭과 산골짜기에서 자라고 광곽향(廣藿香)은 아열대에서 심는다. 방아풀은 여름에 꽃이 필 때 전초를 베어 그늘에서 말린다.

맛은 맵고 성질은 약간 따뜻하다. 폐경, 비경, 위경에 작용한다. 땀이 나게 하고 기를 잘 통하게 하며 비위의 기능을 강하게 하고 서습(暑濕)을 없애며 구토를 멈춘다. 약리실험에서 위액분비촉진작용, 약한 발한작용을 나타낸다는 것이 밝혀졌다. 서습증, 여름감기, 식욕부진, 소화장애, 메스꺼움, 구토, 설사 등에 쓴다.

하루 6~12그램을 물로 달여먹거나 환을 짓거나 가루내어 먹는다. 외용약으로 쓸 때는 거멓게 볶아 가루내어 기초제에 개어 붙인다. 달이 물로 양치하기도 한다.
]

배초향의 효능에 관하여 중국에서 펴낸 <중국본초도록> 제 2권 159면 791호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곽향(藿香)

기원: 순형과(脣形科=꿀풀과: Labiatae)식물인 곽향(藿香=배초향: Agastache rugosa ( Fisch. et Mey.) O. Ktze.)의 전초(全草)이다.

형태: 다년생 초본으로 높이 30∼120cm이고 향기가 있다. 줄기는 네모지고 약간의 홍색(紅色)을 띠고 있다. 잎은 마주나고 난형(卵形) 또는 타원상 난형(卵形)으로 잎끝은 첨두(尖頭)이며 엽저는 원저(圓底) 혹은 심장형(心臟形)에 가깝고 잎가장자리에는 둔치(鈍齒)가 있고 뒷면에는 털과 선점(腺點)이 있다. 윤상화서(輪狀花序)가 모여서 정생(頂生)하거나 액생(腋生)하는 수상화서(穗狀花序)가 되며, 꽃받침은 관상(管狀)이고 5갈래로 갈라지며, 화관(花冠)은 입술모양이며 자색(紫色), 담자홍색(淡紫紅色) 또는 백색(白色)이며, 수술은 4개이고 화관(花冠)의 밖으로 나와있다. 소견과(小堅果)의 정단(頂端)에 짧은 털이 있다.



분포: 산비탈, 길가에서 자라는데 현재는 대부분이 재배된다. 중국 대부분의 지역에 분포한다.

채취 및 제법; 여름에 채취(採取)하여 햇볕에 말린다.

기미: 맛은 맵고 성질은 약간 따뜻하다.

효능: 해서화습(解暑化濕), 행기화위(行氣和胃).

주치: 중서발열(中暑發熱), 두통흉민(頭痛胸悶), 식욕부진(食慾不振), 오심(惡心), 구토(嘔吐), 설사(泄瀉). 외용(外用)- 수족선((手, 足癬).

용량: 6∼12g. 외용시(外用時)에는 적량(適量)을 사용한다.

참고문헌: 회편(滙編), 상권 936면.]

배초향을 이용한 질병 치료는 다음과 같다.

1, 상한에 의한 두통, 한열왕래(寒熱往來), 천해(喘咳), 심복냉통(心腹冷痛), 반위구오(反胃嘔惡), 기사(氣瀉), 곽란(
霍亂), 장부허명(臟腑虛鳴), 전신허종(全身虛腫), 산전 산후의 혈기자통(血氣刺痛), 산남장학(山嵐瘴瘧), 소아감상(小兒疳傷)
대복피, 백지, 자소, 껍질을 제거한 복령 각 37그램, 반하국(半夏麴), 백출, 흰부분을 제거한 진피, 거친 껍질을 제거하고 생강즙으로 구운 후박(厚朴), 고경(苦梗) 각 74그램, 흙을 제거한 배초향 111그램, 구감초(灸甘草) 92.5그램, 상술한 약물을 갈아서 가루로 만들어 1번에 7.4그램, 물 1잔, 생강 3쪽, 대추 1개를 7할로 졸아들 때까지 달여서 뜨거운 채로 복용한다. 만약 땀을 내려면 옷을 두껍게 입고 다시 달여서 먹는다.
[국방(局方), 곽향정기산(藿香正氣散)]

2, 무더운 여름철 구토하고 설사를 할 때
볶은 활석 74그램, 배초향 10그램, 정향 1.85그램을 갈아서 가루로 만들어 1회 4~8그램을 쌀뜨물과 섞어서 먹는다.
[우강사경험방(禹講師經驗方)]

3, 토사곽란
흰부분을 제거한 진피와 잎과 흙을 제거한 배초향즙. 이 두가지 약물을 같은 양으로 하여 1회 18.5그램에 물 1잔 반을 붓고 7할로 졸아들 때까지 달여서 수시로 따뜻하게 데워서 복용한다.  
[백일선방(百一選方), 회생산(回生散)] 

4, 학질(말라리아)
고양강(高良薑), 배초향 각 18.5그램을 가루로 만들어 4첩을 균등하게 나누어 1회 물 1사발을 붓고 1잔으로 졸아들 때까지 달여서 따뜻하게 데워 복용한다. 낫지 않으면 다시 먹는다.
[계봉보제방(鷄峰普劑方), 곽향산(藿香散)]

5, 입냄새를 없앨 때

깨끗이 씻은 배초향을 달인 물로 매일 양치질을 한다.
[적원방(摘元方)]

6, 어린 아이의 이가 흔들리고 이틀에서 피고름이 나며 입냄새가 심하게 나고 입이 부어 오를 때

배초향에 고반을 조금 넣고 갈아서 가루로 만들어 치근 위에 바른다.
[전남본초(
滇南本草)]

7, 태아의 발육이 불안정하고 기가 오르내리지 못하며 신물을 토할 때
향부, 배초향, 감초 각 7.4그램을 가루로 만들어 1회 7.4그램에 적은 양의 소금을 넣고 달인 물에 타서 먹는다.
[태평성혜방(太平聖惠方)]

8, 피부나 점막이 짓무르거나 헐 때
배초향의 잎과 좋은 차 같은 양을 태운 재를 기름에 개어서 잎에 발라 붙인다.
[포회응험방(包會應驗方)]

9, 칼에 베인 상처로 피가 날 때
배초향과 용골(龍骨) 적은 양을 가루로 만들어 바른다.
[전남본초(
滇南本草)]

[배초향 및 광곽향 재배 방법]

1, 곽향(藿香: 배초향)


1) 기후와 토양:
따뜻하고 습윤한 기후가 좋다. 배수가 잘되고 두터우며 비옥하고 푸석푸석한 사질 토양이 좋다. 가물과 서리를 싫어한다.

2) 심기:
종자로 번식시킨다. 추파(秋播)는 9~10월, 춘파(春播)3~4월에 한다. 파종법에 흩어뿌리기, 점파, 줄뿌리기 3가지가 있다. 이랑사이의 거리를 30cm로 하고 포기사이의 거리를 20cm로 하여 씨뿌리기를 할 때 종자를보드라운 흙과 잘 섞은 다음 골고루 뿌리고 1cm 가량 흙을 덮고 다진 다음 물을 준다.

3) 경작관리:
묘의 높이가 3~4센티미터 쯤 되면 솎아 낸다. 생장 기간에는 흙을 부드럽게 하고 김매기를 3번한다. 비료는 보통 사람의 인분과 소변 병비(餠肥: 콩깻묵, 땅콩깻묵 등 비료의 총칭)를 덧거름으로 쓰지만 황산암모늄, 과인산 석회를 덧거름으로 쓸 수도 있다. 만약 가물면 제때에 물을 주어야 한다.  

4) 병충해의 예방과 퇴치:
주요한 것은 굼벵이, 엽도조(葉跳
蚤: 벼룩류)에 의한 유해이다. 땅고르기 할 때에 6%의 BHC를 1이랑 당 3g을 뿌리면 굼벵이를 죽일 수 있다. 6%의 가습성(可濕性) BHC 1g에 물 200g을 섞어서 분무하면 엽도조를 없앨 수 있다.

2, 광곽향(
廣藿香)

1) 기후와 토양:
따뜻하고 습윤한 기후가 좋다. 배수가 잘되고 두터우며 비옥하고 푸석푸석한 사질 토양이 좋다. 가물과 서리를 싫어한다.

2) 땅고르기:
가을에 땅을 깊게 갈아 엎고 다음 해 경칩 전에 다시 한번 써레로 흙덩이를 잘 게 부수어 너비 80~90cm, 높이 25cm의 두둑을 만든다. 두둑의 고랑은 너비 30cm 가량으로 한다.

3) 심기:
꺽꽂이로 번식시킨다. 4월 상순(청명 전후)에 튼튼한 그루의 여린 가지를 골라 길이 15cm씩 꺾꽂이할 수 있도록 잘라 아래쪽 부분의 잎은 떼어 버리고 윗부분의 3개의 잎만 남겨 둔다. 이랑 간격과 포기 간격을 각 20cm로 하고 깊이 10cm 가량의 구멍을 판다. 꺾꽂이용 가지를 구멍안에 꽃고 흙으로 덮어 다지고 볏짚을 덮어 토양을 습윤하게 유지한다. 꺾꽂이용 가지의 끝을 반드시 지면에 드러나게 해야 한다.

4) 경작관리:
꺾꽂이 한 다음 항상 물을 주어 땅이 마르지 않게 한다. 잡초를 깨끗이 제거하고 새싹이 나온 다음에는 햇볕을 가려주는 것이 좋다. 약 40일 후에 비료를 주기 시작하고 부식화한 사람의 인분과 오줌을 1:8의 농도로 물을 가하여 희석시켜 매 무(
)에 800~1,000g씩 준다. 그 후에 매 1~2개월마다 한 번 비료를 주고 연속 3~4회 주는 동시에 북을 준다. 겨울에는 추위를 막는데 주의한다.

5) 병충해의 예방과 퇴치:
뿌리가 썩어 죽는 병이 발생하였을 때에는 병든 그루를 파 버리고 석회로 소독을 한다. 진디에는 BHC가루를 0.5%로 희석하여 분무한다. [중약대사전]

국산 토종인 배초향을 잘 가꾸어서 방향제, 화초, 식용, 약용, 향신료 등으로 사용해 보도록 강력히 추천한다. 그 용도의 쓰임새가 대단히 많다는 것을 확인하고 새삼 놀라지 않을 수 없다. 집안에 텃밭이 있다면 배초향을 직접 가꾸어 관찰하면서 한 식물이 우리 인간에게 이토록 큰 혜택을 가져다 준다는 것을 알고 감동을 받게 될 것이다. 그 모든 영광은 배초향을 설계한 조물주에게 돌아가는 것이 마땅하다. 배초향을 실용적으로 잘 활용한다면 국민 건강 증진에 큰 혜택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자료는 약초연구가로서 우리땅에 자라는 토종약초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고 질병으로 고통을 겪고 있는 환우들에게 희망을 주며 신약을 개발하는데 통찰력을 갖게하고 약초를 사랑하는 모든 사람에게 정보의 목적으로 공개하는 것임을 밝혀 둔다.

(글/ 약초연구가 & 동아대 & 신라대 대체의학 외래교수 전동명)

배초향 사진 감상: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네이버+구글+다음+일본구글+대만구글: 1, 2, 3, 4, 곽향5, 광곽향6,

배초향 상세 사진 웹사이트: 1,

문의 및 연락처: 010-2545-0777 ; 051-464-0307

홈주소: http://jdm0777.com

페이스북 주소: http://www.facebook.com/jdmsanyacho

이메일: jdm0777@naver.com


아래의 비슷한 식물도 함께 고려해 보시기 바랍니다.


 

 

  1. 방아풀(연명초) 무엇인가?
  2. 배초향 무엇인가?
  3. 산박하 무엇인가?

 

 

※ 아래에 jdm 필자가 찍은 배초향 사진도 감상해 보시고 행복하시기 바랍니다~~~^.^

 

 

홈페이지 주소 : http://jdm0777.com 클릭하시면 홈으로 갑니다.